[include(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목차] == 개요 == {{{+1 세페이드 변광성/Cepheid variable}}} 세페이드 [[변광성]]은 별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여 크기가 변하면서 별의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맥동 변광성 중에서 특히 변광 주기가 1일에서 50일 사이인 별을 말하며 이름은 최초의 세페이드 변광성인 [[세페우스자리]] 델타에서 따왔다. == 상세 == 천문학자들은 여러 변광성을 관측한 결과 밝기의 변화가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별들이 있음을 알게되고 이들을 '맥동변광성'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맥동변광성들이 주기와 광도 사이에 특정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 냈고, 이것으로부터 주기-광도 공식을 도출하였다. 참고로 델타별 자체는 5.366일을 주기로 3.48등급에서 4.37등급까지 밝기가 변한다. 이런 성질을 가지는 변광성을 '세페이드 변광성'이라고 부른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를 측정하면, 이 별의 [[별의 등급|절대등급]]을 알 수 있고, 절대등급과 겉보기등급의 차이를 이용하면,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이 방법으로 해당 별 또는 해당 별이 속한 성단이나 은하 까지의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이런 성질로 인해서 '세페이드 변광성'을 '[[거리의 사다리|표준 광원]]'이라고 부른다. [[에드윈 허블]]은 [[안드로메다 은하]]에 포함된 세페이드 변광성을 관측하여, 안드로메다은하까지의 거리가 150만 광년[* 실제로는 250만 광년 떨어져 있다. 당시 관측 기술의 한계에 따른 오차이다.]이나 멀리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당시 알려진 [[우리 은하]]의 크기인 10만 광년을 훨씬 넘는 크기여서, 우주의 크기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거대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관련 문서 == * [[세페우스자리]] * [[변광성]] * [[거리의 사다리]] [[분류:변광성]][[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