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細胞群 == cell aggregates. 해리된 [[세포]](細胞)가 서로 뭉쳐 모여 있는 것을 뜻하는 생물학 용어. == 洗浦郡 == [include(틀:강원도(북한)의 시군)] {{{+1 洗浦郡/Sepho County}}} |||| {{{+2 세포군}}} [br] 洗浦郡 / Sepho County || || 국가 || [[북한]] || || 면적 || 969㎢ || || 광역시도 || [[강원도(북한)|강원도]] || || 행정구역 || 1읍 1로동자구 24리 || || 인구 || 61,113명 || || 시간대 || UTC+9 || ||<:><-2>[include(틀:지도, 장소=세포군, 높이=224px, 너비=100%)] || === 개요 === [[북한]] [[강원도(북한)|강원도]]의 행정구역. 북한이 1952년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평강군]] 세포면·유진면, [[회양군]] 난곡면, [[안변군]] 신고산면(3개리)를 조합하여 신설하였다. 군 이름의 유래는 평강군 세포면. 추가령구조곡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며, 강원선과 청년이천선 철도가 세포청년역에서 분기한다. 관내에 세포청년역·삼방역·낙원역·성산역·검불장역·이목역(이상 강원선)·새마을역·신생역·백산청년역·약수역·서하역·후평청년역·기산청년역(이상 청년이천선)이 있다. 삼방약수와 삼방폭포가 이곳에 있다. [[궁예]]의 왕릉 역시 이 곳의 삼방협에 있다고 전하지만, 이북 지역인지라 제대로 된 확인은 통일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지명 자체가 궁예가 칼을 씻었다는 일화에서 유래되었다. 국도는 [[5번 국도]][* 물론 대한민국의 국도 분류이다.], 철도는 [[강원선]] [[청년이천선]]이 통과한다. 이곳 출신 인물로는 조선후기 농업경제사 연구로 유명하며 경영형 부농을 근거로 한 [[자본주의 맹아론|내재적 발전론]]으로 [[식민사관]]의 정체성론을 극복하고자 했던 [[역사학자]] 김용섭이 있다. 20세기 [[최남선]]의 풍악기유에 의하면, 이곳에 [[궁예]]의 무덤으로 전해지는 궁예묘가 있다고 한다.[[https://m.news.nate.com/view/20040112n04566|출처]] === [[세포등판]]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세포등판)] [[분류:강원도(북한)]][[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