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센츄리 시리즈)] [목차] == 정의 == Century Series.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개발된 미 [[공군]]의 [[전투기]] 중 식별번호 100번대의 기종들을 총칭하는 이름이다. Century가 '100'을 뜻하기도 한다. 이에 영향을 받아서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사이에 연구개발된 10번대의 기종([[F-14]], [[F-15]], [[F-16]], [[F/A-18]])들을 묶어서 [[틴 시리즈]](Teen Series)로 총칭하기도 한다(센츄리 시리즈와는 달리 '10'). 센츄리 시리즈는 [[한국전쟁]]에서 사용하던 미 공군의 주력기 [[F-86]]을 대체할 미래의 공군기 개발이 주요목적이었으며, 그에 따라 개발된 기종들은 개발순서에 따라서 100번대 번호가 부여되었다. F-86에서 F-99까지 있기는 하다. 다만 대부분 설계도에서 끝났다. 이 기종들은 [[베트남전]] 초기에 미 공군에서 이들 전투기들을 투입한 결과가 영 좋지 않자 일선주력기로 [[F-4 팬텀 II|F-4]]를 채택한 이후 비교적 빠르게 도태되는 바람에 [[흑역사]]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센츄리 시리즈가 유명하지 않은건 국내 뿐이다. 순전히 '''한국에서 볼일이 거의 없었다는 이유로'''. 허나 이는 어쩔 수 없는 것이 미국이나 기타 이 기종들을 운용해본 나라들에서야 인지도도 높고 실제 조종하거나 접해본 사람들이 많은데다 실물기 견학도 가능하기 때문에 매니아가 상당수 있지만 대한민국 공군에서는 이들 기종을 운용해본 적이 없고, 당시엔 그래도 미 공군의 주력기체였던 이들 시리즈를 구매할 능력도 되지 않아 처음부터 한국같은 2티어 동맹국에 먼저 뿌릴 목적으로 개발한 [[F-5]]부터 들어갔기 때문에 이들 시리즈가 한반도에 보일 일이 없었던 것이다. 이후 전시된 실물기도 없으며 주한미군마저도 이들 기종 중 운용했던 것은 F-102와 F-106 뿐, 그것도 매우 짧은 기간동안만 운용되다가 팬텀으로 대체되었기에 한국인들에게 있어 센츄리 시리즈에 대한 인지도라는 것이 있기가 힘들다. 게다가 이들 기종이 활약했던 베트남전을 소재로 한 대중매체마저도 이미 대중들의 뇌리에는 '''베트남전 미군 전투기 = 팬텀'''이라는 인식이 박혀있다보니 센츄리 시리즈는 언제나 뒷전으로 밀릴 수 밖에 없다. 이들 중 그나마 유명한 것이 베트남 실전에 투입된 F-100과 F-105. 그리고 '''[[과부제조기|다른 이유]]로 유명해진 F-104'''정도이다. 하지만 센츄리 시리즈는 엄연히 미 공군에서 채용하여 운용했던 기종들이고 명작이라 불리긴 힘들지만 나름대로 한 시대를 풍미한 기종들이다. 생산량도 매우 많아서 F-100이 2,294대, F-101이 807대, F-102가 1,000대, F-104가 2,578대, F-105가 833대, F-106이 342대가 생산되었는데 모두 합하면 총 7,854대나 된다. 이들은 대부분 초기 계획이었던 50~60년대 소련과의 핵전쟁 시나리오에서 누가 먼저 빨리 핵을 떨구고 튀냐 싸움을 위해 준비한 만큼 공중전 못지 않게 핵투발 능력을 중시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F-4 팬텀의 등장으로 이들의 한계가 빨리 드러나자 그동안 생산했던 물량을 공산권과의 충돌 혹은 충돌위험에 노출된 1티어 동맹국중 전투기 조립생산 능력이 있던 나라에 1.5티어 공군전력으로 쓰라고 뿌렸다. 공교롭게도 그 나라들은 다름아닌 과거 [[추축국]]이었던 서독,이탈리아(둘다 [[NATO]] 회원국),일본이었다. 그래서 이 세 나라 중심으로 센츄리 시리즈는 명맥을 잇다가 F-4 팬텀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즉, 1티어 동맹국은 F-86→센츄리→F-4 단계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대만,한국같은 2티어 동맹국은 F-86→F-5→F-4로 넘어가게 된 것. 해당 시리즈의 해외 및 일부 국내 팬들 사이에서는 2차대전 이후 제트기 시대의 도래에 대한 낭만, 그리고 소련과의 치열한 항공기 개발 경쟁 구도 속에서 탄생한 아톰펑크스러운 디자인의 전투기들로 인기를 얻고 있다. == [[F-100]] 슈퍼 세이버(Super Sabre) == 노스 아메리칸 사가 개발 == [[F-101]] 부두(Voodoo) == 맥도넬 사가 개발 == [[F-102]] 델타 대거(Delta Dagger) == 컨베어 사가 개발 == [[F-104]] 스타파이터(Starfighter) == [[록히드]] 사가 개발 == [[F-105]] 썬더치프(Thunderchief) == 리퍼블릭 사가 개발 == [[F-106]] 델타 다트(Delta Dart) == 컨베어 사가 개발 == 유사 센츄리 시리즈 == 이 기종들은 간혹 센츄리 시리즈에 포함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엄밀하게 구분하자면 센츄리 시리즈에 포함되지 않는다. * 리퍼블릭 [[XF-103]] 미 공군 요격기 사업에서 [[F-102]]와 경쟁하여 탈락한 기종. 이 F-103이 될뻔한 기체는, 최고속 침투력을 극단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로 설계하다보니 전투기가 맞나 싶을 정도로 정신나간 디자인이 나와버렸고, 도저히 양산해 써먹을 물건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 페이퍼 플랜으로 끝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paltizan&logNo=220821696370|###]]. * 노스 아메리칸 [[YF-107]] 울트라세이버 전술핵 공격기 사업에서 [[F-105]]와 경쟁하여 탈락한 기종 * 노스 아메리칸 [[XF-108 레이피어]] 소련의 전략 핵폭격기를 막기 위해 본토에서 사용할 요격기 및 [[XB-70]] 발키리 초음속 폭격기의 호위전투기로 개발하려다가 개발 중지 * [[벨]] XF-109 8개의 GE [[J85]] 터보제트 엔진[* 4개는 비행 및 [[수직이착륙]]을 위해 기울일 수 있었으며, 남은 4기의 엔진들은 각 2개씩 동체에 앞 뒤 부분에 달 예정이었다.]을 달아 수직이착륙 전투기로 개발하려다가 개발 중지 * [[맥도넬 더글라스]] [[F-110]] 스펙터(Spectre) [[F-4 팬텀 II]]의 공군버전인 F-4C의 초기 이름이다. 본래 미 공군과 미 해군은 라이벌 의식때문에 같은 기종을 도입하지 않았는데 [[맥도넬 더글라스]]가 미 해군에 납품한 F-4B를 본 미 공군이 훌륭한 스펙으로 도입했으나 해군놈들과 같은 이름을 쓸 수는 없다는 라이벌 의식 때문에 제식명을 F-110 스펙터로 명명했다. 그러나 1962년 당시 미 국방부장관은 다름아닌 가성비광 [[로버트 맥나마라]]... 애초에 해군,공군 라이벌 의식따위 관심없는 맥나마라가 행정편의를 위해 양 군에서 각각 다르게 사용해오던 제식명들을 강제로 통일하면서 F-4C로 변경되어 사라진 이름이다. 이름을 통해 알 수 있겠지만 팬텀과 스펙터 모두 유령이라는 뜻이다. 스펙터라는 이름은 후일 [[AC-130]]이 이어받았다. * 제너럴 다이내믹스 [[F-111]] 아드바크 공군 해군 통합 전투기로 개발된 것이라 센튜리 시리즈에 포함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는 공군만 썼지만 [[공격기]]로 쓰여 전투기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 록히드 [[F-117]] 나이트호크 해당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애초에 100번대에서 이어 받은 번호가 아니다. 개발시기 상으로도 전혀 맞지 않기도 하다. [[분류:항공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