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링고 스타의 음반, rd1=Sentimental Journey)] ||<-2>
{{{#373a3c,#dddddd '''{{{+1 센티멘탈 져니}}}''' (1998)[br]センチメンタルジャーニ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KOwGXm.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로맨스]] || || '''{{{#373a3c,#dddddd 원작}}}''' ||마커스(マーカス) || || '''{{{#373a3c,#dddddd 원안}}}''' ||쿠보타 마사요시(窪田正義) || || '''{{{#373a3c,#dddddd 감독}}}''' ||<|2>[[카타야마 카즈요시]]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 || '''{{{#373a3c,#dddddd 각본}}}''' ||[[아라카와 나루히사]] || || '''{{{#373a3c,#dddddd 캐릭터 원안}}}''' ||카이 토모히사(甲斐智久)[br]丞久幸宏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히라야마 마도카(平山まどか) || || '''{{{#373a3c,#dddddd 비주얼 디렉터}}}''' ||[[사토 케이이치]]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아사쿠라 치토세(朝倉千登勢)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나카사토 치에(中里智恵)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후루바야시 카즈히로(古林一太) || || '''{{{#373a3c,#dddddd 편집}}}''' ||모리타 세이지(森田清次)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미조구치 아야(溝口 綾) || || '''{{{#373a3c,#dddddd 음악}}}''' ||하마다 토모유키(濱田智之)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2>[[선라이즈(브랜드)|[[파일:선라이즈(기업) 로고.svg|width=80]]]] || || '''{{{#373a3c,#dddddd 제작}}}'''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1998년 4월|1998. 04. 09.]] ~ 1998. 07. 02.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V 도쿄]] / (목) 01:45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2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게임 [[센티멘탈 그래피티]]를 원작으로 한 오리지널 TV 애니메이션. 부제는 12도시 12소녀 이야기(12都市12少女物語)로 게임 본편 시점의 1년 전[* 애니메이션 시점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센티멘탈 그래피티 게임 본편 시점에서 등장인물들은 고등학교 3학년이다.]을 다루고 있는 [[프리퀄]] 격인 작품이다. 센티멘탈 그래피티 게임처럼 12도시 12소녀의 이야기를 다루기 때문에 1회당 1명의 히로인의 이야기를 다루는 [[옴니버스]]식 전개의 스토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12화로 제작되었다. 전체적인 작품 주제는 [[타나카 이치로|게임 주인공(플레이어)]]과의 [[첫사랑]]을 추억하는 이야기. 제작사는 [[선라이즈(브랜드)|선라이즈]]이고, 감독은 [[카타야마 카즈요시]], [[TV 도쿄]]에서 [[애니메이션/1998년 4월|1998년 4월 8일]]부터 7월 1일까지 방영되었다. 선라이즈가 만든 최초의 미소녀 애니메이션으로 꼽힌다. [* 이후로는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series|러브 라이브! 시리즈]] 같은 작품도 잘 만들고 있지만 이때만 해도 로봇 애니메이션, 액션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마초 제작사 이미지였다.] 한국에서는 굉장히 마이너하지만 감독 카타야마 카즈요시가 자신의 최고 명작이라고 하는 작품으로 [[ToHeart(애니메이션)|ToHeart]]와 함께 셀 애니메이션 시대에 나온 미소녀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 중 명작으로 거론되는 작품이다. 특히 [[아라카와 나루히사]]의 각본과 영화적인 연출들이 호평을 받는다. 방영 후 20년이 넘었음에도 팬덤이 여전히 활동하고 재상영회가 열리기도 했다. 다만 방영 당시에는 일본에서 원작 게임인 [[센티멘탈 그래피티]]가 [[쓰레기 게임]]으로 낙인 찍히는 사태가 있어서 그다지 성공하지 못했고 나중에 입소문으로 재조명된 애니메이션이다. [[https://www.youtube.com/@sentimentalgraffiti/videos]] 유튜브에서 한글 자막이 지원되는 센티멘탈 져니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주제가 == 오프닝곡으로는 '''천사를 만나고 싶어서(天使にあいたくて)''', 엔딩곡은 '''Keep On Smile'''. 두 곡 모두 게임에서 국제판 오프닝 곡인 'Truly One', 엔딩곡인 '''My only love'''를 불렀던 [[http://blog.livedoor.jp/candypot2006|와타나베 카오루(渡辺かおる)]]가 불렀다.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아라카와 나루히사]] ||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少女のためのヴァイオリン・ソナタ〜[br]소녀를 위한 바이올린 소나타 || [[카타야마 카즈요시]] || 사토 이쿠로[br](佐藤育郎) || [[신보 타쿠로]] || 1998.04.09. || || 제2화 || 〜書けないラブソング〜[br]쓸 수 없는 러브송 ||<-2> 키무라 테츠[br](木村 哲) || 요코테 히로토[br](横手博人) || 1998.04.16. || || 제3화 || 〜星降る夜の天使〜[br]별이 내리는 밤의 천사 || [[모치즈키 토모미]] || 니시야마 아키히코[br](西山明樹彦) || 야마모토 히로시[br](山元 浩) || 1998.04.23. || || 제4화 || 〜微熱少女〜[br]미열소녀 || [[스나가 츠카사]] || 오카모토 히데키[br](岡本英樹) || 히라야마 마도카[br](平山まどか)[br]호리이 쿠미[br](堀井久美) || 1998.04.30. || || 제5화 || 〜友情の通天閣スペシャル〜[br]우정의 [[통천각]] 스페셜 || [[스기시마 쿠니히사]] || 사토 이쿠로 || 신보 타쿠로[br][[나카다 에이지]] || 1998.05.07. || || 제6화 || 〜莫煩悩〜[br]번뇌말라 || 카타야마 카즈요시 || 요시무라 아키라[br](吉村あきら) || 요코테 히로토 || 1998.05.14. || || 제7화 || 〜中部戦線異状あり!〜[br]중부전선 이상있음! || 요시나가 나오유키[br](吉永尚之) || 니시야마 아키히코 || 야마모토 히로시 || 1998.05.21. || || 제8화 || 〜Dreams will never die.〜 ||<-2> 오카모토 히데키 || 히라야마 마도카[br]호리이 쿠미 || 1998.05.28. || || 제9화 || 〜私らしく明日へ〜[br]나 답게 내일로 || 모치즈키 토모미 || 사토 이쿠로 || 신보 타쿠로[br]요네야마 코헤이[br](米山浩平) || 1998.06.11. || || 제10화 || 〜はてしない物語〜[br]끝없는 이야기 ||<|2> 이이다 유키코[br](飯田幸子) || 요시무라 아키라 || 히라야마 마도카[br]호리이 쿠미[br]야마모토 히로시 || 1998.06.18. || || 제11화 || 〜ほろにがトライアングル〜[br]쌉싸름한 트라이앵글 || 오카모토 히데키 || 신보 타쿠로[br]야마모토 히로시 || 1998.06.25. || || 제12화 || 〜ほのかな恋の物語〜[br]어렴풋한 사랑 이야기 || 카타야마 카즈요시 || 사토 이쿠로 || 히라야마 마도카[br]호리이 쿠미[br]신보 타쿠로 || 1998.07.02. || == 에피소드 가이드 == ||
'''회차''' || '''메인 캐릭터''' || '''배경 도시''' || '''비고''' || || 제1화 || [[엔도 아키라]] || [[나가사키시]] ||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을 차용했다. || || 제2화 || [[마츠오카 치에]] || [[후쿠오카시]] || || || 제3화 || [[나나세 유우]] || [[히로시마시]] || 서브 캐릭터인 세리자와 코토네(芹沢琴音)의 성우를 [[미츠이시 코토노]]가 담당했다. || || 제4화 || [[스기하라 마나미]] || [[타카마츠시]] || 게임에서 등장하지 않는 마나미의 부모님을 볼 수있다. || || 제5화 || [[모리이 카호]] || [[오사카시]] || || || 제6화 || [[아야사키 와카나]] || [[교토시]] || 와카나가 첫사랑의 감정을 번뇌라고 생각하여[br]작중 현악[[스님]]과 [[화두]]를 통해 깨우치는 에피소드로[br]센티멘탈 져니 12회 전체 에피소드 중 가장 무겁고 철학적이다.[br]작중 서브 캐릭터인 현악스님의 성우는 [[노다 케이이치]]가 담당 || || 제7화 || [[야마모토 루리카]] || [[나고야시]] || 게임 본작과 다르게 루리카의 오빠가 쌍둥이라는 설정.[br]작중 서브캐릭터인 이마나가 카스미의 성우는 [[야지마 아키코]]가,[br]루리카의 오빠인 야마모토 마사히로는 [[이시다 아키라]]가 담당 || || 제8화 || [[호시노 아스카]] || [[요코하마시]] || 서브 캐릭터인 타자키 타츠야 프로듀서는 [[야라 유사쿠]]가,[br]동료인 오키 프로듀서는 [[니시무라 토모미치]]가 담당했다. || || 제9화 || [[호사카 미유키]] || [[카나자와시]] || 서브 캐릭터인 타카하시 카오루의 성우를 [[우에다 유지]]가,[br]미유키의 친구 중 한명인 미카를 [[타무라 유카리]]가 담당했다. || || 제10화 || [[나가쿠라 에미루]] || [[센다이시]] || [[미스터리]] 호러물 장르. 원래 에미루가 [[오컬트]]에 심취했다는 것을 의도한 모양이다. || || 제11화 || [[아다치 타에코]] || [[아오모리시]] || || || 제12화 || [[사와타리 호노카]] || [[삿포로시]] || || == 기타 == 오프닝을 보면 알겠지만 스폰서로 [[반프레스토]]와 [[미쓰비시그룹|미츠비시 상사(三菱商事)]]가 참여하였다. 12도시 12소녀의 이야기인만큼 해당 도시의 유명한 관광지나 장소가 작중에 등장한다. LD와 DVD로 발매되었고, OST와 캐릭터 싱글앨범도 발매, 1998년 9월에는 동명의 [[플레이 스테이션]]용 게임으로도 발매되었다. 원본 게임의 스토리를 모르고 애니메이션 단독으로 시청해도 무리가 없으며, 12편이 각각 [[옴니버스]]식으로 제작된 관계로, 장르와 주제가 다채로운 것이 특징이다. 클래식 악장을 차용한 1화, [[철덕]][[여행]]인 3화, 로맨스 소설풍의 4화, 90년대 [[갸루]]패션으로 대두되는 [[신세대|신인류]] 문화를 다룬 8화, 전통과 신세대의 충돌을 다룬 9화, 미스테리 호러물[* 작중 나레이션을 사람이 아닌 화자가 진행한다.]인 10화 등. 그 중의 백미는 단연 '''6화'''로 농담 아니라 '''여고생과 스님이 25분 내내 번뇌와 사랑을 주제로 [[화두|선문답]]을 하는''' 본격 [[불교]] 철학 애니메이션(!)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런 파격적인 구성때문에 2010년대에도 회자되고 있을 정도. 심야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과 옴니버스 이야기 구조, 쓸데없이 빵빵한 성우진들 덕택에 제작사인 선라이즈가 폭주한 사례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하는 등, 숨겨진 양작으로 평가되는 작품. 묘하게 [[철덕]]스러운 면이 있는데, 유우의 에피소드인 3화에서 급행 [[키타구니]]가, 카호의 에피소드인 5회에서는 급행 타카야마호가 나왔으며, 에피소드 가이드 3화에서도 급행 [[치쿠마(열차)|치쿠마]]가 나왔다.[* 세 열차 지금은 모두 폐지] 전기 공급방식이 바뀌는 [[절연구간]]을 지나는 것으로 열차가 지나는 위치를 알아내는 유우의 모습[* 벌써 [[나가하마역|나가하마]]인가? 교류구간에서 직류구간으로 들어왔으니까...라는 말을 한다(...)]이 그려질 정도. 3화 시작부분에 유우가 서 있는 철도역은 [[JR 시코쿠]] [[도산선]]의 [[츠보지리역]]이 배경. 9화에서는 카나자와역을 바라보며 '''"곧 [[호쿠리쿠 신칸센|신칸센]]이 들어오지요?"'''라는 대사를 한다. 실제로 카나자와역에 신칸센이 들어온건 무려 17년이 지난 2015년이었다. 덧붙여 이 작품에서 나오는 철도회사 [[JR그룹]]은 모두 'UR'로 표시되었다. (...) [[파일:TMf780H.jpg]] 종영한지 10년차인 [[2008년]]에 [[CM's 코퍼레이션]]에서 센티멘탈 져니 등장 히로인 12명의 콜렉션 [[피규어]]를 뜬금없이(!) 발매했다. 각 5개씩 3개 시리즈로 발매되었고, 시리즈별 1개의 시크릿 피규어가 존재한다.[* 시리즈 1은 웨이트리스 복장의 아스카가, 2는 궁도부 복장의 와카나, 3은 기모노 차림의 미유키가 시크릿 피규어이다.][* 시크릿 피규어까지 합치면 총 18종의 피규어가 발매된 것. 18종 중 조형이 2개(사복/교복)인 캐릭터는 아스카, 미유키, 유우, 호노카 4명.] [[센티멘탈 그래피티#s-9|센티멘탈 그래피티 20주년 기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8년 3월 22일 정오부터 반다이 채널에서 센티멘탈 져니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https://twitter.com/SUNRISE_web/status/973032206804414464|선라이즈의 안내 트윗]], [[http://www.sunrise-inc.co.jp/work/news.php?id=15158|오피셜 공지]], [[https://www.b-ch.com/ttl/index.php?ttl_c=5941|반다이 채널 링크]] 2018년 7월 6일에는 [[http://www.sunrise-inc.co.jp/sunfes/2018/lineups/?id=0720|선라이즈 페스티벌 2018 (光焔 - SUNRISE Festival 2018)의 상영작 중 하나로 선정]]되어 7월 20일에 신주쿠 피카딜리에서 리바이벌 심야 상영을 하였다. 상영회에는 카타야마 감독이 게스트에 참여하여 작품에 대한 소개와 제작 비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선라이즈 페스티벌 홈페이지에서는 12편 중 4편을 선택하여 상영한다고만 공지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어떤 에피소드를 상영하는지는 비공개였는데 당일 카타야마 감독이 선택한 1화, 7화, 8화, 9화가 상영되었다. 상영회 기념으로 20년 만에 센티멘탈 져니 명의로 된 새로운 굿즈도 발매되어 20주년을 맞은 센티멘탈 그래피티 시리즈의 팬들에게 깜짝 선물을 안겨준 것은 덤. 선라이즈는 이듬해 이 애니와 같은 방식의 애니메이션 [[세라핌 콜]]을 만들었지만 연출을 난해하게 하고 각 에피소드의 분위기를 통일하지 않아 흥행에 실패했다. 센티멘탈 저니는 재조명이라도 받아서 그럭저럭 팬덤이 존재하지만 세라핌 콜은 진짜 매니아 중의 매니아만 보는 영역.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98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센티멘탈 그래피티 시리즈]][[분류:게임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선라이즈(브랜드)]][[분류:아라카와 나루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