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노팅엄 포레스트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9481 10%, #FFFFFF 10%, #FFFFFF 90%, #029481 90%)" '''셰이쿠 쿠야테의 역임 직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10%, #1C8C66 10%, #1C8C66 90%, #FFFFFF 90%)"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53f 20%, #fdef42 20%, #fdef42 80%, #e31b23 80%)" {{{#029481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장'''}}}}}} || || [[보우나 콘돌]] [br] {{{#000 (2014~2015)}}} || {{{+1 {{{#191919 →}}}}}} || {{{#1C8C66 '''{{{#fdef42 셰이쿠 쿠야테 [br] (2015~2019)}}}''' }}} || {{{+1 {{{#191919 →}}}}}} || [[칼리두 쿨리발리]] [br] {{{#000 (2019~ )}}} || }}}}}} || ||<-2><#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55037_23-24.png|width=100%]]}}} || ||<-2> '''{{{#fff 노팅엄 포레스트 FC No. 8}}}''' || ||<-2> '''{{{#CF102A {{{+1 셰쿠 쿠야테[* 프랑스어에서 ch는 "시"로, ei는 "ㅔ"로 발음한다.]}}} [br] Cheikhou Kouyate}}}''' || ||<|2> '''{{{#fff 출생}}}''' ||[[1989년]] [[12월 21일]] ([age(1989-12-21)]세) || ||[[세네갈]] [[다카르]]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세네갈)]''' | {{{-2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크기=20)]}}} || || '''{{{#fff 신체 조건}}}''' ||[[키(신체)|키]] 189cm / [[체중]] 83kg || || '''{{{#fff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센터백]] || || '''{{{#fff 소속 클럽}}}''' ||RWDM 브뤼셀 (2007~2008) [br] [[RSC 안데를레흐트]] (2008~2014) [br] → {{{-1 [[KV 코르트레이크]] (2008~2009 / ^^임대^^)}}} [br]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14~2018)''' [br] [[크리스탈 팰리스 FC]] (2018~2022) [br] '''[[노팅엄 포레스트 FC]] (2022~ )''' || || '''{{{#fff 국가대표}}}'''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84경기 4골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 2012~ )^^[* 2022년 11월 21일 기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팅엄 포레스트 FC]]와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의 축구선수이다. == 클럽 경력 == 쿠야테는 2007년 RWDM 브뤼셀에서 축구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프로 첫 해에 10경기밖에 나오지 못했고, 2008년 [[RSC 안데를레흐트]]로 이적한다. 안데를레흐트 이적 첫 해에 임대생활을 했지만, 쿠야테는 안데를레흐트에서 2014년까지 무려 153경기를 출장했다. 또한 안데를레흐트 시절 리그 타이틀을 4번[* 2009-10 시즌, 2011-12 시즌, 2012-13 시즌, 2013-14 시즌]이나 따냈고, 벨기에 슈퍼컵 타이틀을 3번[* 2010-11 시즌, 2012-13 시즌, 2013-14 시즌]이나 따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2014년 6월 18일, 쿠야테는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와 4년 계약을 맺는다. 웨스트 햄에서는 주로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했으며 웨스트 햄에서 4시즌간 107경기동안 12골을 넣었다. === [[크리스탈 팰리스 FC]] === 2018년 8월 2일, 크리스탈 팰리스로 이적을 하였다. ==== 2019-20 시즌 ==== 19라운드 웨스트햄전에서 아이유가 헤딩으로 띄워놓운 공을 밀어넣으며 동점골을 기록했다. 22라운드 아스날전에서 아이유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했다. 시즌 말, 센터백에서 자리를 잡았다. ==== 2020-21 시즌 ==== 이번 시즌에도 계속해서 센터백으로 뛰고 있다. 3라운드 에버튼전에서 타운센드의 코너칵 크로스를 머리로 밀어넣어 동점골을 기록했다. 14라운드 리버풀전 홈에서 기록적인 0:7패배의 원흉 중 하나로 지적되어 제일 먼저 교체아웃 당했다. ==== 2021-22 시즌 ==== 비에이라 체제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나서며 최악의 폼을 보여주었던 저번 시즌보다는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시즌 종료 후 [[셰이크 두쿠레]] 영입 후 미드필더 뎁스가 강화된 수정궁에서 자리가 없다고 느꼈는지 현재 [[노팅엄 포레스트 FC]]와의 링크가 뜨고 있다. 이적이 유력하다. === [[노팅엄 포레스트 FC]] === 2022년 8월 13일, [[노팅엄 포레스트 FC]]로 이적했다. 3년 계약. ==== [[노팅엄 포레스트 FC/2022-23 시즌|2022-23 시즌]] ==== 6라운드 [[AFC 본머스]]전 전반 33분 코너킥 상황 [[모건 깁스화이트]]의 크로스를 완벽한 헤딩으로 꽂아넣어 득점했다. == 국가대표 경력 == [[파일:Kouyaté-041.jpg]] 2012년 2월,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자국의 A대표팀]]에 데뷔했다. 그리고 2015년 1월에 [[201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적도기니|201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종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A대표팀 소속으로 첫 메이저대회에 참가했다.[* 그가 참가한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는 U-23대표팀 소속으로 참가.] 대회 이후 9월부터는 대표팀의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또한 2018년 6월에는 러시아에서 개최된 [[2018 FIFA 월드컵|FIFA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3경기 모두 나섰으나 토너먼트 진출에는 아깝게 실패했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 승점이 동률이었으나 페어플레이 점수에 3위로 밀려났다.] 이후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주장으로 결승까지 전 경기를 출전했으나 결승전에서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알제리]]에게 패하며 우승의 문턱에서 좌절했다. 2021년 현재까지 3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과 1번의 월드컵 무대에 참가하며 대표팀의 레귤러 멤버로 활약 중이다. 그리고 끝내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에서 첫 금메달을 딴다.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네덜란드와 조별예선 경기를 치루다가 헤딩경합 과정에서 착지하던 도중, [[프랭키 더용]]의 손바닥이 [[영 좋지 못한 곳]]을 가격하여 자세가 무너졌고, 그 상태로 떨어져서 근육부상을 당해 부상으로 아웃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좋은 신체조건을 갖춘 3선 미드필더로, 자신의 좋은 신체조건을 이용한 경합 상황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다. 신체조건과 수비력이 좋아서 센터백도 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큰 키를 바탕으로 세트피스 같은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 장점이 빛을 발한다. 운동능력과 활동량도 뛰어난 편이라 이를 바탕으로 중원을 장악하는 데에 능하다. 다만 발밑이 투박해서 빌드업을 기대하기는 힘들고, 소위 말하는 축구지능이 떨어지는 듯한 플레이가 많다. 따라서 선발로 출전 시 지능적이고 패스를 잘 뿌려주는 파트너가 있을 때 좋은 경기력을 보여준다. 그리고 수비력이 좋긴 하나 수비 스킬이 정교하진 않아서 카드 수집이 잦은 편이다. 웨스트햄 이적 후 2시즌 동안은 노블의 파트너로 출전하며 PL 탑급의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여러 차례의 잔부상과 나이로 인한 폼 감소로 인해 16-17시즌부터 실력이 많이 녹슬게 되었다. 일단 주력이 느려져서 커버 범위가 상당히 좁아졌는데, 때문에 원래부터 좋지 않았던 위치선정 능력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수정궁으로 이적 후에는 4-3-3 시스템에서 원볼란테로 뛰고 있는데, 좋지 않은 빌드업 능력과 축구지능이 돋보였고, 거기에다 장점이었던 운동능력까지 감소해서 공수 양면에서 좋지 않은 폼을 보여주고 있다. == 여담 == == 같이 보기 == [include(틀:노팅엄 포레스트 FC)] [include(틀: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분류:1989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분류:다카르 출신 인물]][[분류:세네갈의 축구선수]][[분류:RWDM 브뤼셀 FC/은퇴, 이적]][[분류:KV 코르트레이크/은퇴, 이적]][[분류:RSC 안데를레흐트/은퇴, 이적]] [[분류: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크리스탈 팰리스 FC/은퇴, 이적]][[분류:노팅엄 포레스트 FC/현역]][[분류:세네갈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세네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분류:201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적도기니 참가 선수]][[분류: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봉 참가 선수]][[분류: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참가 선수]][[분류: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참가 선수]][[분류:세네갈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12 런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