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집트 파라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A0522D '''고대 이집트 제4왕조 제7대 파라오[br]{{{+1 솁세스카프}}}[br]Shepseskaf'''}}}}}}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bydos_KL_04-06_n25.jpg|width=100%]][br]{{{-2 아비도스 역대 파라오 리스트에 새겨져 있는 솁세스카프의 카르투슈}}}}}} || ||<-2> '''이름''' ||솁세스카프(Shepseskaf)[* 솁세스카프(Shepseskhaf), 세베르체레스(Sebercherês), 세베르케리스(Severkeris)로 하기도 하며, '그의 영혼은 고귀하다'라는 뜻이다.][br]Σεβερχέρης || ||<-2> '''출생''' ||미상 || ||<-2> '''사망''' ||미상|| ||<-2><|2> '''재위 기간''' ||이집트 파라오 || ||기원전 26세기 후반~25세기 중반[br]'''(4년 혹은 7년)''' || ||<-2> '''전임자''' ||[[멘카우레]]|| ||<-2> '''후임자''' ||[[우세르카프]] 혹은 [[탐프티스]]로 추정 || ||<-2> '''부모''' ||[[아버지]] : [[멘카우레]] || ||<-2> '''배우자''' ||켄트카우스 1세(Khentkaus I)[*추정][br]부네페르(Bunefer)[*추정] || ||<-2> '''자녀''' ||부네페르(Bunefer)♀[*추정][br][[우세르카프]]♂[*추정] || ||<-2> '''무덤''' ||알 피라운(al-Fir'aun) 마스타바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이집트]]의 4왕조 [[파라오]]이다. 4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보기도 한다. == 통치 == 재위 기간이 짧다보니 한게 별로 없을 뿐더러 알려져 있지도 않다. 그래도 아버지 [[멘카우레]]의 [[멘카우레의 피라미드|피라미드]]를 완공하고, 사카라(Sakkara) 남부에 자신이 쓸 피라미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피라미드]]형식은 포기하고 마스타바 형식으로 지었다.[* 이를 내부 권력이 변화했다고 보는 사람도 있고, 경제적으로 쇠퇴하였기 때문에 피라미드를 짓기 어려웠을 거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또한 원시적인 법령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사카라에 자신의 무덤을 세웠는데, 피라미드 양식이 아니라 마스타바 양식이다. 이는 태양 숭배를 포기했다고 보는 의견도 있으며, 또한 파라오와 [[고대 이집트 종교|종교]]와의 암투도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이외에도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걸어다니는 축제를 수행한 사실도 알려져 있다. == 알 피라운 마스타바 == [[파일:Mastaba-faraoun-3.jpg]] ||이름||불명|| ||뜻||불명|| ||높이||18m|| ||경사||~70°|| 알 피라운 마스타바는 솁세스카프가 묻힌 것으로 알려진 마스타바이다. 해당 마스타바는 사카라(Sakkara) 북부에 있는 마스타바들의 양식을 따랐으며, [[화강암]]과 [[석회암]]을 이용해 만들었다. 19세기 중반에 존 페링(John Perring)이 처음 발견했으며, 1924/25년에 구스타브 제퀴에르(Gustave Jéquier)가 해당 마스타바가 솁세스카프의 마스타바인 것을 밝혀냈다.[* 그 전에는 [[우나스]]의 마스타바로 알려졌었다.] 내부에 남은 유물은 거의 없으며, 솁세스카프의 이름이 새겨진 [[석회암]] 비석 조각 일부만이 발견되었다. [[분류:파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