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Sora_full.png]] [[나루토]]의 등장인물. 성우는 [[히라카와 다이스케]]/[[이호산]]/[[마이클 신터니클라스]]. 유년기는 [[네모토 케이코]]. 나이는 16세, 신장은 166cm. == 작중 행적 ==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에피소드에서 등장했다.[* 소라가 등장하는 에피소드가 '''좀 길어서''' 아예 질풍전 2기 오프닝에서는 소라와 카즈마 일당이 등장했다.] [[불의 절]]의 수행 중인 중이자 수호닌자 십이지의 일원이었던 [[카즈마(나루토)|카즈마]]의 아들. 자신이 5살 때에 돌아가신 아버지를 영웅으로 생각하여 매우 존경하고 있다. 자신의 뜻을 위해 아들을 이용하려던 아버지가 나뭇잎 마을에서 구미호가 날뛸 때 흘러나온 다량의 차크라를 손에 넣어 그 차크라를 배양한 후 5년 뒤 소라의 몸에 봉인시켰다.[* 물론 구미 본체는 아니며 어디까지고 구미가 흘리고 다닌 흔적 수준의 차크라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폭주할 때 주변에 상당한 피해를 입힌 걸 보면 미수의 차크라가 소량으로도 차원이 다른 힘을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봉인 직후 힘을 제어하지 못해 폭주하여[* 미수의 힘을 제어 못해 폭주하는건 별로 이상할 일도 아니다. 정식적으로 미수 본체를 다 담은 채로 봉인한 인주력도 제어력이 부족하면 폭주의 위험을 달고 살게 된다. 구미 본체를 봉인한 나루토도 몇 번 폭주의 위기를 겪었고, 대다수의 인주력들이 마을 사람들에게 두려움과 멸시를 받는 이유 역시 폭주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나루토보다도 더 빨리 미수를 완전히 제어했던 킬러비도 미수를 완전히 제어하기 전까진 다른 인주력들과 취급이 비슷했다. 한술 더 떠서 안개 마을의 경우 이를 역이용해 [[제3차 닌자대전]] 시기에 [[노하라 린|딴 마을 어린애]]에게 미수를 박고 불안정한 인주력으로 만들어 살아있는 생체폭탄으로 만들 정도.] 10여년 전에 자신이 자라던 불의 절의 봉인철벽을 부수는 등 날뛰었다. 그 때문에 나루토처럼 불의 절에서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며 멸시하였고 그 때문에 비뚤어진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치리쿠]]의 경우, 그에 대해 안쓰러워했던 듯. 아스마도 그를 안쓰럽게 생각해서 여기저기 신경써준다. 그 때문에 불의 절에 있는 수호닌자 십이지 중의 빛의 닌자라 불리는 4명의 시체를 보호하는 임무를 하러 온 나루토와 사사건건 충돌하였고 [[나뭇잎 마을]]로 갔을 때도 사사건건 다른 닌자들과 충돌하였다. 자신의 아버지인 카즈마가 정체를 숨기고 계속 그에게 접근하여 나뭇잎 마을과 싸우게 부추기려 하였고 결국에는 그에게서 자신의 아버지를 죽인 것이 [[사루토비 아스마]]라는 것을 듣게 된다. 이 때문에 아스마에게 복수하기 위해 [[나뭇잎 마을]]을 공격하고 결국에는 아버지인 카즈마에 의해 구미호의 힘이 폭주하게 되지만 나루토에 저지되고 구미의 차크라가 완전히 빠져나가면서 사건이 끝난 이후에는 동료를 모으고 수행을 하기 위해 세상을 떠돌아다니기로 한다. '''그리고 그 덕에 [[히단|목숨을]] [[카쿠즈|건졌다.]]''' 그러나 그의 보호자 겸 양부 포지션인 [[치리쿠]]가 히단에 의해 살해당하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목숨을 구하긴 했어도 양가족을 잃은 셈이다.게다가 단발성 에피소드의 캐릭터라는 한계 탓인지 이후는 묘사되지도 않는다.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였으나 정사에도 편입되고 후속작인 보루토 에서도 언급되는 [[쿠로스키 라이가]]와 비교해보면 천지차이. == 전투력 == 소라는 불의 절 닌자승들이 사용하는 체술만으로도 [[우즈마키 나루토|나루토]]의 수많은 [[환영분신술|그림자분신]]을 해치웠고, 나루토와 마찬가지로 [[풍둔]]의 차크라를 타고났는데, 뛰어난 풍둔 술법을 구사한다. 첫 등장에서 나루토와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허나, 소라의 무서움은 오른팔 정확히는 소라 몸안에 있는 [[쿠라마(나루토)|구미]]의 차크라다. 그는 유사 [[인주력]]이며 그의 감정이 동요될 때마다 폭주하여 오른쪽 팔이 마치 괴물처럼 변한다. 과거 폭주했을 때는 불의 절의 봉인철벽을 부술 정도이다. 허나, 인주력으로써의 그릇은 부족해 차크라를 억제하지 못했고 결국 세번째 꼬리를 드러낸 요호의 옷 상태까지 갔지만 차크라가 방출되어 구미의 차크라로부터 해방됐다.[* 일반적인 인주력이라면 제어하지 못한 시점에서 그대로 미수의 부활로 이어지지만 소라의 몸속에 있던 것은 제대로 된 미수가 아닌 구미의 차크라 일부였기에 봉인이 풀림과 동시에 그릇을 잃고 사라졌다. 즉, 소라의 차크라는 남겨두고 구미의 차크라만이 소멸했기에 미수를 잃은 인주력임에도 죽지 않았다. [[바리온 모드]]의 리스크로 쿠라마를 잃은 나루토와 비슷한 격.] 구미의 차크라를 제외한 소라의 전체적인 실력은 중급닌자 수준이다. == 사용 술법 == === 닌자도구 === * '''차크라 클로'''[br]사용자의 [[차크라(나루토)|차크라]] 향상시킬 수 있는 3개의 날이 있는 [[클로(무기)|클로]]. [[사루토비 아스마|아스마]]의 차크라도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소라가 휘두른 원래 클로는 [[카즈마(나루토)|후리도]]와의 전투에서 부서졌지만, 아스마가 그를 위해 나중에 그의 차크라도와 동일한 특수 금속으로 제작해줬다. 꼬리 4개의 상태에서 소라는 자신의 폭주를 막기 위해 부러진 발톱 조각을 사용하여 자신을 다치게 했다. 카즈마도 이 클로를 사용해 아스마를 대적했다. === 검술(劍術) === * '''비연(飛燕)'''[br]랭크는 B. 사용자는 [[사루토비 아스마]], [[카즈마(나루토)|카즈마]], [[소라(나루토)|소라]], [[나라 시카마루]], [[사루토비 코노하마루]], [[사루토비 미라이]]. [[차크라(나루토)|차크라]]를 흘려보내 철제 무기에 절단력을 향상시키는 근거리 검술. 술법 사용 시, 차크라로 이루어진 칼날이 무기 주위에 형성되어 공격 범위가 확장된다. 사용자는 차크라도의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은 사용자의 공격을 완전히 예측할 수 없다. 아스마는 그가 사용하는 독특한 차크라도에 [[풍둔|바람의]] 차크라를 사용해 칼날이 돌이나 금속을 절단할 수 있을만큼 날카로워지도록 만들 수 있다.[br]풍둔의 차크라를 주입시키는 술법처럼 보여 풍둔의 성질변화 술법으로 착각되지만 설정집에는 풍둔인 아닌 검술로 분류된 것으로 보아, 그저 철제 무기에 차크라를 부여해 형태변화시켜 공격 범위를 늘리는 술법이다.[* 아스마는 무속성 차크라가 아닌 풍둔 차크라를 넣어, 칼날을 더욱더 예리하게 만들었을 뿐이다.] 애니메이션에서 나루토는 이 술법의 기초를 배웠고 이는 후에 나선수리검을 발명하는 기반이 된다.[* 나루토 질풍전 63화에 언급됐다.] === [[풍둔|풍둔(風遁)]] === * '''수파장(獣破掌)'''­[br]어떤 물질도 베는 [[풍둔|바람]]의 [[차크라(나루토)|차크라]]를 날리는 술법. 소라는 오른손으로 이 술법을 [[우즈마키 나루토|나루토]]에게 휘둘렀다. 또한 이 술법을 연속해서 날릴 수 있다. 이후 소라안에 있는 [[쿠라마(나루토)|구미]] 차크라가 흘러나왔을 때는 차크라가 붉은색이 되면서 위력이 더욱 강해졌다. * '''수파열풍장(獣破烈風掌)'''[br]수파장의 상위호환격인 술법으로, 대량의 [[풍둔|바람]]의 [[차크라(나루토)|차크라]]를 주입 및 응축하여 술자의 손에서 거대한 악마 같은 발톱을 형성하여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잡는 것은 물론 공격을 막을 수도 있다. 용도에 따라 사용자는 발톱의 크기와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범위에서 공격과 방어를 할 수 있다. [[츠나데(나루토)|츠나데]]를 공격할 때 사용했으나, [[사루토비 아스마|아스마]]의 저지로 막았다. === 구미 === * 요호의 옷 * 충격파 == 기타 == 사실 소라 에피소드가 중요한 이유는 '''[[인주력]]이 아니라도 몸에 [[미수]]의 차크라를 일부라도 가질 수 있다'''는 내용이 뒷날 본편의 [[킨카쿠]], [[긴카쿠]] 형제에게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물론 제대로 된 그릇이 아닌 소라는 폭주했고[* 비슷하게 안개 마을도 [[노하라 린|스포일러]]는 인주력 제어를 기대할 수 없는 간이 그릇에 [[이소부|삼미]]를 집어넣고 나뭇잎으로 가 폭주하는 것을 노렸고, 모래에서도 [[가아라]]를 제외한 나머지 두 아이의 경우 [[수학(나루토)|일미]]와 상성이 맞지 않았는지 수학의 완성된 인주력이 되지 못하고 사망했다고 한다. 이렇듯 인주력은 아무나 되는게 아니며 [[우즈마키 일족]]처럼 봉인에 적합한 차크라를 일족 단위로 가진다거나, 우즈마키가 아니더라도 체질이 잘 맞지 않으면 안 되는듯.] [[육도선인]]의 후손일지도 모른다는 금은형제는 제대로 사용했지만.[* 금은형제의 경우 이전 구름 마을이 구미를 잡으려다 실패했을 때 구미에게 삼켜졌다가 구미의 일부를 먹어치운 채로 배출행(...)을 당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그들은 어째서인지 생존하는데 성공했고 그 결과 구미의 차크라의 일부를 가지게 되었다. 이를 본 다른 구름 마을 닌자들도 미수를 먹어보려고 시도했던 것 같은데, 금은형제의 체질이 일반인들과 다르다는 것 ─ 즉 그들이 육도선인의 먼 후손이라는 것이 생존의 이유였으므로 육도 혈통 빨이 없었던 다른 닌자들은 미수의 일부를 섭취했다가 그대로 [[사망]]하고 말았다고 한다. 소라의 경우도 잘못하면 미수의 차크라가 별로 맞지도 않는 몸에 무리하게 유입된 것 때문에 그들처럼 죽었을지도 모르지만, 그를 이용하려던 친부 카즈마가 한 번에 구미 차크라를 유입시킨게 아니라 5년이라는 장기간에 걸쳐 차근차근 소라의 몸에 구미 차크라를 담았기에 몸이 인주력이 되기엔 적당하지 않았을지언정 내부로 유입된 구미 차크라 자체엔 어느 정도 적응을 해서 생존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소라는 매우 예리한 후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구마의 냄새 외에도 카즈마에 있는 숨겨진 무덤에서 흙 냄새를 구별할 수 있었다. == 관련 문서 == * [[사루토비 아스마]] * [[카즈마(나루토)]] * [[쿠라마(나루토)]] * [[인주력]] [[분류:나루토/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