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소련)] [include(틀:세계의 국기)] [include(틀:소련 관련 문서)] ||<-2> {{{#ffd700 '''역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국기'''}}}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ffffff '''최초 국기 (1922. 12. 30. ~ 1923. 11. 12.)'''}}} || {{{#fcd116 '''1차 개정 국기 (1923. 11. 12. ~ 1924. 4. 18.)'''}}}[* 7월 6일 소련 집행위원회(CIK) 2차 회의에서 승인되었고 11월 12일 3차 회의에서 교체되었다.] || || [[파일:소련 국기(1922-1923).svg|width=100%]] || [[파일:소련 국기(1923-1924).svg|width=100%]] || || {{{#ffd700 '''2차 개정 국기 (1924. 4. 18. ~ 1936. 12. 5.)'''}}} || {{{#fcd20f '''3차 개정 국기 (1936. 12. 5. ~ 1955. 8. 19.)'''}}} || || [[파일:소련 국기(1924-1936).svg|width=100%]] ||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100%]] || || {{{#ffd700 '''4차 개정 국기 (1955. 8. 19. ~ 1980. 8. 15.)'''}}} || {{{#ffd700 '''최종 개정 국기 (1980. 8. 15. ~ 1991. 12. 26.)'''}}} || ||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width=100%]] || [[파일:소련 국기.svg|width=100%]] || }}}}}}}}} || [목차] == 개요 == 이 문서는 [[소련]]의 [[국기]]에 대해서 다룬다. == 연방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флаг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состоит из красного или алого полотнища, с изображением на его верхнем углу у древка золотых серпа и молота и над ними красной пятиконечной звезды, обрамленной золотой каймой. Отношение ширины к длине 1:2.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국기는 깃봉에 가까운 상부 구석에 [[금색]]의 [[낫과 망치]], 그리고 '''금색 테두리를 두른 [[붉은 별|붉은색 별]]'''이 포함된 [[적색]] 혹은 [[홍색]]의 천으로 구성된다. 세로와 가로의 비율은 1:2이다. >---- >[[1924년]]판 [[소련 헌법]] 제71조[* [[1936년]]판 헌법과 [[1977년]]판 헌법에도 이 조항은 거의 그대로 계승된다.] [[러시아 제국]]의 하양, 파랑, 빨강의 가로 3색기는 [[1917년]]의 [[러시아 혁명]]으로 폐지되었고,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결성되고 1년 뒤인 [[1923년]], 붉은 바탕에 [[노란색]](혹은 [[금색]])의 [[낫과 망치]], 오각의 별 무늬가 그려진 깃발이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본래는 [[도검|칼]]을 국기에 포함시키자는 논의도 있었지만, [[노동자]]의 상징이 아니라는 이유로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기각되었다.--맞잖아?--] [[빨강색]]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공산]] 혁명을, 낫과 망치는 [[노동자]]와 [[농민]]을, 오각의 별 무늬는 "혁명을 위한 오대륙 인민들의 영웅적 투쟁"을 상징한다고 한다. 이후에는 국색(나라를 상징하는 색)에 가까운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소련 국기는 총 네 종류가 있는데, 본래 [[1923년]] 6월에 지정된 국기는 붉은 바탕에 소련의 [[소련/국장|국장]](Coat of arms)을 그려넣은 형태였다가, 4개월 만인 당해 10월에 낫과 망치, 별 문양을 포함한 국기로 변경되었다. 이후 [[1955년]] 8월 망치의 손잡이와 낫의 길이가 미묘하게 바뀌어 본문 서두의 모습이 되는데, 바로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2/Flag_the_USSR_schema_Sbornik_zakonov_1938-1956.svg/1459px-Flag_the_USSR_schema_Sbornik_zakonov_1938-1956.svg.png|규격화된 작도법]]이 제정되었기 때문이다. [[1980년]] 8월에는 중요한 변화가 있었는데, 뒷면의 낫과 망치를 없애고 국기의 뒷면에는 낫과 망치와 별을 그리지 않는다는 것이 그것(각 공화국 국기도 마찬가지). 사실 이것이 엄격하게 지켜지지는 않아서 뒷면에서도 낫과 망치와 별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또 중요한 변화가 있었는데, 바탕을 좀 더 밝은 색으로 칠했(색 표현이 정확하지 않은 디스플레이에서는 차이가 없이 보일 수 있음)다고 한다. 채도가 낮은 붉은색은 조도가 조금만 어두워지면 색감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붉은 광장]]에 걸린 국기의 경우, 날씨가 좀 흐리기라도 하면 채도가 확 떨어져 거의 흑기로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소련]]은 생각보다 이 붉은색 상징물의 채도 문제로 골머리를 썩었다. 소련은 [[크렘린]]의 주요 첨탑들에도 커다란 [[루비]] 별을 설치했는데, 찬란히 붉은색으로 빛날 것이란 예상과 달리 날씨가 조금만 흐리면 붉은 별이 아니라 '검은 별'로 보이는 문제 때문에 그 위에다가 붉은색 코팅을 하는 등의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다. 심지어 지금도 햇빛이 세지 않으면 좀 거무튀튀하게 보인다.](이 부분은 출처를 알 수 없어 출처가 필요하다.) [[공산권]] 국가들의 상징과도 같았던 이 국기는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이 출범하면서 공식적인 자리에서 더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낫과 망치를 뺀 붉은 바탕에 노란 별이 그려진 국기는 현재에도 [[러시아]]의 공식 국기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며 [[승리의 날]] 행사 등에 사용되고, 소련 시절의 국기 역시 상징물로 종종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정식 국기는 아니어도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기념일 등 퍼레이드에서는 은색 낫과 망치가 그려진 150소총병사단[* [[베를린 전투]] 당시 [[독일 국회의사당]]을 점령하고 붉은 깃발을 꽂은 사단이다. 즉 승리 그 자체의 상징과 같은 부대이다.]의 승리의 깃발이 등장하며 소련을 뜻하는 СССР가 써진 붉은 국기, 레닌의 초상화가 그려진 국기들이 등장하기도 한다.[* 러시아 혁명이 일어났던 [[11월 7일]]에 [[러시아 연방 공산당]]의 주최로 이 국기로 길거리를 행진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지도자였던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의 초상화와 함께 등장한다.] 예시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에는 [[러시아/국기|러시아 국기]]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어서[*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 항목 참조.] 러시아 응원단이 소련 시절 국기를 들고 갔었다. 소련 국기뿐만 아니라 [[소련 해군]]기, 러시아 제국시절 국기도 등장했었다.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36522478|#]] 적색 바탕에 낫과 망치 등의 상징이 담긴 형태는 그 당시에도 [[사회주의]] 혁명가들 사이에서 유서깊은 깃발이었고, [[1903년]]에 결성된 [[볼셰비키]] 역시 이미 당기(黨旗)로 사용하고 있었다. 때문에 이는 소련뿐 아니라 [[중국]], [[북한]] 등 공산권 국가나 옛 공산권 국가였던 [[몽골]], [[헝가리]] 등에서도 체제의 상징물 혹은 국기로 사용되곤 했다. 반면 [[미국]]이나 [[대한민국]] 등 반공 성향이 짙던 제1세계 국가[* '자유진영' 국가라 할지라도 [[공산당]]의 세력이 강했던 [[이탈리아]], [[프랑스]] 등은 해당 없다.]에서는 소련이 존재했던 시절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거나 금기시된 국기이기도 하였다. 이들의 입장에서는 그 당시 '''적대관계''', '''적성국가'''의 이미지를 지녔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도 [[북한]]의 [[인공기]] 등과 함께 한국 내에서 사용해서는 안 되는 국기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88 서울 올림픽]] 때 [[소련]]이 참가하게 되면서 대회기간 한정으로 일시적으로 사용된 적이 있었다가 [[1990년]] 한국과 소련이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이 때부터 공식 사용이 허용되었다. 지금도 [[1988년]] 서울 올림픽 참가국 국기들이 전부 게양되어 있는 [[서울 올림픽공원]] 광장에서 소련 국기가 펄럭이고 있는걸 볼 수 있다. 하지만 소련의 압제에 시달렸던 [[동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하켄크로이츠]]에 버금갈 정도로 취급이 좋지 못하다. [[헝가리]], [[폴란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와 [[리투아니아]]에서는 공공장소에 [[낫과 망치]]를 보이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2차 대전 당시 적국이던 [[나치 독일]]의 [[무장친위대]]에 들어가 소련에 맞서기도 하는 등 독립 의지가 매우 높았다.] 러시아에서는 [[승리의 날]] 등에 소련 국기와 군기를 게양한 집이나 달고 다니는 자동차 등이 많이 보이는 사례처럼 심심치않게 볼 수 있는 추억의 상징으로 자주 쓰이기는 하지만. 재현을 할 때 자주 범해지는 오류가 있는데, 공식 국기에 그려진 별은 금색 테두리에 붉게 칠해진 별이어야 한다. 내부가 금색으로 메워져서도 틀린 것이고, 붉은 배경과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 별의 속을 비우는 것도 틀린 것이다. 하지만 [[아폴로-소유즈 테스트 프로젝트|아폴로-소유즈 실험]] 등의 [[우주비행사]] 단체 사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Portrait_of_ASTP_crews_-_restoration.jpg]]]에서 보이는 소련 국기에서도 볼 수 있듯 공식 석상에서도 오류가 보이며, 소련 내부에서도 금색으로 메워진 별을 가진 깃발이 발견되는 등 그리 빡빡하게 지켜지지는 않았다. [[파일:Berlin31.jpg]] 소련 국기가 가장 인상적으로 묘사된 [[베를린 공방전]] 당시 사진에서도 ‘붉은 별’이 아니다. 이렇게 프로파간다 면에서 중요한 장면도 편집하거나 새로 촬영하지 않고 그대로 둘 정도면 소련 내에서 이 부분은 상당히 느슨하게 적용하였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위 이미지의 국기보다 망치날이 조그마한 건 덤이다. 공식적으로 소련 국기는 낫과 망치 모양이 보이도록 접어야 했다. 먼저 위아래로 2등분해서 접은 뒤, 반으로 접힌 국기를 뒤집어 3등분 하고 두번 접으면 된다. == 소련 구성국 국기 == ||<-5> {{{#ffd700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국기'''}}}[* 1988년 기준.] || ||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4-1991).svg|width=100%]] ||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2-1991).svg|width=100%]] || [[파일: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 [[러시아 SFSR|{{{#ffd700 '''러시아[br]SFSR'''}}}]] || [[우크라이나 SSR|{{{#ffd700 '''우크라이나[br]SSR'''}}}]] || [[벨로루시 SSR|{{{#ffd700 '''벨로루시[br]SSR'''}}}]] || [[우즈베크 SSR|{{{#ffd700 '''우즈베크[br]SSR'''}}}]] || [[카자흐 SSR|{{{#ffd700 '''카자흐[br]SSR'''}}}]] || || [[파일: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1-1990).svg|width=100%]] || [[파일: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6-1991).svg|width=100%]] || [[파일: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88).svg|width=100%]] || [[파일: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2-1990).svg|width=100%]] || [[파일: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90).svg|width=100%]] || || [[그루지야 SSR|{{{#ffd700 '''그루지야[br]SSR'''}}}]] || [[아제르바이잔 SSR|{{{#ffd700 '''아제르바이잔[br]SSR'''}}}]] || [[리투아니아 SSR|{{{#ffd700 '''리투아니아[br]SSR'''}}}]] || [[몰도바 SSR|{{{#ffd700 '''몰도바[br]SSR'''}}}]] || [[라트비아 SSR|{{{#ffd700 '''라트비아[br]SSR'''}}}]] || || [[파일: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파일: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2-1990).svg|width=100%]] || [[파일: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73-1991).svg|width=100%]] ||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3-1990).svg|width=100%]] || || [[키르기스 SSR|{{{#ffd700 '''키르기스[br]SSR'''}}}]] || [[타지크 SSR|{{{#ffd700 '''타지크[br]SSR'''}}}]] || [[아르메니아 SSR|{{{#ffd700 '''아르메니아[br]SSR'''}}}]] || [[투르크멘 SSR|{{{#ffd700 '''투르크멘[br]SSR'''}}}]] || [[에스토니아 SSR|{{{#ffd700 '''에스토니아[br]SSR'''}}}]] || 초창기 소련을 구성하는 공화국들의 국기는 국기 위에 공화국 국명을 쓴 단순한 디자인이었다. 하지만 1945년 [[유엔]]에 가입하면서 어느 정도 가맹국의 국기를 제정할 필요를 느꼈고, 1947년 1월 20일 "연방 공화국 국기에 관한 칙령"을 발표하여 어느 정도 차별화를 둘 것을 제안했다. 이에 각 공화국들은 1949년부터 1954년까지 소련 국기를 바탕으로 지역 공화국의 디자인을 제작했다. 연방 구성국 이외에도 자치공화국이나 자치구 또한 또한 국기를 제정할 수 있었으나, 실질적으로는 각 자치지역이 소속된 국가의 깃발양식을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https://ru.wikipedia.org/wiki/Флаг_Башкирской_АССР#/media/Файл:Flag_of_the_Bashkir_ASSR.svg|예시(바시키르 자치공화국)]]] 소련 해체 이후에도 소련 시절 제정된 공화국 국기는 독립국에서 새 국기가 제정되기 전까지 사용된 이력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우즈베키스탄을 제외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소련으로부터 독립 직후 새 국기가 제정되기 전까지 소련시절 깃발을 사용했었던 전적이 있었으며, 오늘날 친러 정권이 집권하고 있는 [[벨라루스]][* 1991년 독립 이후부터 1995년까지는 과거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의 백적백 삼색기를 사용했다가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집권 이후 바꾸었다. 백적백 삼색기는 현재 벨라루스 반정부 진영의 상징으로도 활용되고 있다.]와 [[미승인국]]인 [[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SSR의 자치공화국 출신(트란스니스트리아 ASSR), 소련 해체로 몰도바가 독립할때 몰도바로의 합병을 거부해서 현재의 미승인국 트란스니스트리아가 된것이다.]에서는 소련 시절 도안을 승계하여 사용하고 있다. --빨간색으로 칠하고 무늬를 넣고 [[낫과 망치]] 넣으면 끝인가?-- == 외부 링크 ==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onstruction_sheet_of_the_flag_of_the_Soviet_Union.png|위키미디어 공용]] - 소련 국기 도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소련/상징, version=145, paragraph=3)] [[분류:소련]][[분류:유럽의 국기와 깃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