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은하]][[분류:천문학]][[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NGC]][[분류:소마젤란은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마젤란은하)] [include(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291|{{{+1 '''NGC 291'''}}}]][br]고래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292'''}}}[br]큰부리새자리, 물뱀자리의 불규칙은하 }}} ||<:> {{{+1 →}}} ||<:> [[NGC 293|{{{+1 '''NGC 293'''}}}]][br]고래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3>
{{{#FFFFFF '''{{{+1 소마젤란 은하}}}'''[br]Small Magellanic Cloud}}} || ||<-3> [[파일:eso1714a.jpg|width=100%]] [* 사진의 오른쪽과 맨 위쪽의 [[구상성단]]은 각각 [[NGC 104]]와 [[NGC 362]]로 모두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이다.][* NGC 104의 바로 위에 있는 별 같은 천체는 NGC 121이라는 구상성단으로, 소마젤란은하의 구상성단이다.]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0h 52m 44.8s || || {{{#FFFFFF 적위}}} || -72° 49' 43" || || {{{#FFFFFF 별자리}}} || [[큰부리새자리]], [[물뱀자리]][* 극히 일부] || ||<-2> {{{#FFFFFF '''겉보기 등급'''}}} || 2.7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Irr형 [[불규칙은하]]/SB(s)m형 [[막대나선은하|막대나선은하]] || ||<-2> {{{#FFFFFF '''거리'''}}} || 62.44 [[국제단위계#s-4.1|k]][[파섹|pc]][br]203,700 [[광년]] || ||<-2> {{{#FFFFFF '''질량'''}}} || 7^^9^^''M'',,☉,,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18,900광년[* 하지만 천체관측을 할 때 볼 수 있는 주요 천체가 있는 여역는 이보다 훨씬 작다.] || ||<-2> {{{#FFFFFF '''겉보기 크기'''}}} || 5°20' × 3°5'[* 달의 시직경이 30'이다.] || ||<-3> {{{#FFFFFF '''명칭'''}}} || ||<-3> Small Magellanic Cloud(SMC), [[NGC]] 292, PGC 3085, Nubecula Minor || [목차] == 개요 == {{{+1 Small Magellanic Cloud (SMC)}}} 소마젤란 은하는 [[우리 은하]] [[위성은하]]로, 제법 큰 위성은하들[* 최근에는 우리 은하 근처에서 [[목동자리 왜소은하]]를 비롯한 수백 광년 정도의 초소형의 붕괴된 왜소은하들이 여럿 발견되어 이러한 은하들의 잔해까지 포함시킬 시 소마젤란 은하는 '''23번째(!)'''로 가까운 은하가 된다.] 중에서는 궁수자리 왜소 타원은하, [[대마젤란 은하]] 다음으로 세 번째로 가깝다. == 상세 == 소마젤란 은하는 지구로부터 20만 3천 광년 떨어진 은하로, 지름은 18,900광년이다. Sm(s) pec형 특이 [[막대나선은하]]로, 대부분 [[불규칙은하]]로 분류된다. 그러나 소마젤란 은하는 중심 막대 구조가 존재하며, 이는 예전에 초소형 막대나선은하였지만 [[우리 은하]]와 [[대마젤란 은하]]와의 상호작용[* 실제로 마젤란 은하와 우리 은하를 연결하는 [[우리 은하#마젤란 흐름(Magellanic Stream)|마젤란 흐름]]과 소마젤란 은하와 대마젤란 은하를 연결하는 마젤란 다리(Magellanic Bridge)가 존재하는 등 상호작용의 증거가 발견되었다.]으로 불규칙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크기는 [[우리 은하]]나 [[대마젤란 은하]]와 같은 나선 은하들보다는 작고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수많은 [[왜소은하]]들 보다는 [[국부은하군]] 한정 중간 정도의 은하로, 비슷한 은하로는 [[NGC 6822]], 안드로메다 은하의 위성은하인 [[메시에 110|M110]], [[NGC 185]] 등이 있다. 수억 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체 질량은 태양 질량의 70억 배에 달한다. 소마젤란 은하에도 여러 [[성운]]과 [[성단]]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데, 그중에는 NGC 346과 같은 200광년이나 되는 비교적 큰 성운들도 존재한다. 대마젤란 은하의 [[타란툴라 성운]]에 비하면 매우 느린 속도로 별들이 만들어지며, 성간 물질이 대마젤란 은하보다 적다. [[R136a1]]과 같은 극도로 거대한 항성까지 만들어지지는 않지만, HD 5980 등의 매우 무거운 [[밝은 청색변광성]]이 몇 개 존재한다. 소마젤란 은하에서도 여러 밝은 [[산개성단]]을 관측할 수 있으며, NGC 121, NGC 419 등의 [[구상성단]]도 존재한다. 소마젤란 은하에서는 많은 X선 쌍성이 발견되었으며, 펄서 또한 많이 발견되었다. === 역사 === 고대부터 호주 원주민 등 남반구 문명에서 알려져 왔으며, 페르시아 천문학자 알 수피 또한 [[대마젤란 은하]]와 함께 언급했고, 대항해시대 때부터 서양인들에게도 알려지기 시작하여 대마젤란 은하와 함께 [[마젤란은하]]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요한 바이어, 존 허셜[* [[윌리엄 허셜]]의 아들이다.] 등도 이 은하를 관측했고, 20세기 초에 헨리에타 스완 레빗은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하여 최초로 이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시도를 했다. == 소속 천체 == === 성운 === 소마젤란은하에는 600 파섹 이상의 크기를 가진 3개의 초거품구조가 위치해 있으며 각각 대마젤란 은하 남쪽에 위치한 초거품은 37A 초거품, 북쪽에 위치한 초거품은 304A, 은하 남서쪽 멀리 떨어져 있는 초거품은 494A로 명명되었다.[* 이중 494A 초거품은 해당 지역에 전리수소영역이나 OB 성협이 발견되지 않았고, 은하 자체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어 밝혀진 것이 없다.] * 37A 초거품: 소마젤란은하의 북쪽 대부분을 차지하는 초거품으로 소마젤란은하에서 가장 거대한 초거품이다. *NGC 346: 대형 [[전리수소영역]]으로, --지1 교과서 등-- 몇몇 책에서는 이 성운 사진을 걸고 소마젤란 은하라고 잘못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 304A 초거품: 소마젤란은하의 남동쪽에 위치한 초거품으로 소마젤란은하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초거품이다. *[[NGC 248]] *NGC 249 *NGC 261 * 밑의 두 성운들은 소마젤란은하에서 서쪽으로 멀리 떨어진 나선팔에 위치해 있는 성운들이다.[* 위치가 초거품 494A 바로 위쪽에 위치해 있어 관련이 있을수도 있으나, 상술했듯이 알려진 것은 없다.] 참고로 해당 나선팔은 소마젤란은하의 소속 항성들과 가스가 대마젤란은하의 중력에 이끌려 당겨지면서 생긴 중성수소다리인 마젤란다리로 이어진다. *NGC 456: 소마젤란은하의 서쪽 나선팔에 위치한 성운이며, NGC 460등의 성운들과 함께 성운 복합체를 이룬다. *NGC 602: 소마젤란 은하의 서쪽 끝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SMC SGS-1이라는 별개의 초거품에 N89등의 성운들과 함께 속해 있다. === 산개성단 === *NGC 152 *NGC 176 *NGC 220 *NGC 222 *NGC 231 *NGC 241 *NGC 265 *NGC 267 *NGC 269 *NGC 290 *NGC 294 *NGC 299 *NGC 306 *NGC 330 *NGC 346의 산개성단 *NGC 361 *NGC 371 *NGC 376 *NGC 422 *NGC 458 *NGC 460 === 구상성단 === *NGC 121 *NGC 339 *NGC 411 *NGC 416 *NGC 419 *에리다누스자리 III[* 추정] *DES 1[*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