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방준감]] [include(틀:소방계급)] || [[파일:소방준감 계급장.svg|width=125]] || ||<#ccc,#333> 계급장 || [목차] {{{+2 消防準監 / Major Fire Cheif}}} == 개요 == 여기서부터는 소방사 출신은 진급이 매우 어렵다고 보면 되고, 소방간부후보생 출신들도 승진하기 굉장히 어렵다. 소방정보다 높고 소방감보다 낮다. 일반직공무원의 부이사관(3급)에 대응한다. [[행정안전부]] 인사관리상으로는 고위공무원단 나급의 대우를 받는다. [[대한민국 국군|국군]]의 [[준장]], 경찰공무원의 [[경무관]]에 대응하는 계급으로 볼 수 있다. 계급장으로는 육각수로 만들어진 '''별'''(태극 육각수)을 사용한다. 형사소송법상 [[특별사법경찰관리]]로 인정받는 최상위 계급이다. == 보직 == 소방준감 계급정원 36명이다. 소방청 소속으로는 소방청 대변인, 119종합상황실장, 운영지원과장, 화재예방국 소속 화재예방총괄과장, 119대응국 소속 대응총괄과장 장비기술국 소속 장비총괄과장, 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 [[지휘관]]급으로 [[충청북도 소방본부|충북소방본부]]장, [[대전소방본부]]장, [[전북소방본부]]장, [[광주소방안전본부]]장, [[대구소방안전본부]]장, [[울산소방본부]]장,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장, [[제주소방안전본부]]장 서울, 경기[[소방학교]]장 등의 보직을 맡는다. 이외에도 행정안전부 장관실 소방정책관(준감), 세종연구소 교육파견 청와대 파견으로 4자리 정도가 유연 배치된다. 지방 소방본부 소속으로는 [[제주소방안전본부]][* 제주특별자치도가 되면서 본부장을 국가가 임명하지 않으나, 실질적으로 소방청의 지명을 도지사가 수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세종소방본부]]장, [[창원소방본부]]장[* 소방정도 가능],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경기북부소방본부]]장, 서울종합방재센터장, 서울, 경기, 부산본부 과장, 경기재난지휘센터장 등을 맡는다. 일반적으로 소방서장은 소방정(4급)이 보임되지만 인구 100만 명 이상의 시에 설치된 두 곳 이상의 [[소방서]] 중 한 곳의 [[소방서장]]은 소방준감(3급)이 보임 될 수 있다. 2022년 4월 현재, 수원소방서·용인소방서·고양소방서 이 세 곳의 소방서장이 소방준감이다. 경찰의 [[중심경찰서]], 군대의 [[여단]]과도 비슷한 개념이다. 계급정년은 6년이다. 2021년 7월, 대한민국 최초 [[여성]] 소방준감에 119구조상황실장 경력이 있는 [[고민자]] 소방정이 승진했으며, 이후 소방분석제도과장을 거쳐 광주소방안전본부장에 취임하였다. 이 계급의 정모/근무모 부터는 소방정의 것에서 챙의 잎이 총 14개가 챙 아래에 추가로 들어간다. == 외국 == * [[중국]]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계급#지휘장|고급~1급지휘장]]([ruby(指挥长, ruby= zhǐhuīzhǎng)])이 존재하며, 지방총대장을 담당한다. [[파일:고급지휘장 견장.png|width=80]][[파일:1급지휘장 견장.png|width=80]] * 일본 소방공무원 계급으로는 소방정감([ruby(消防正監, ruby=しょうぼうせいかん)]/First Assistant Chief)이다. [[파일:JF seikan.gif]] * 영국 소방 계급으로는 Area Manager이다. [[파일:UK FF AM.gif]] * 미국 뉴욕 소방 계급은 직렬에 따라 Division Chief (Division Commander) / Chief Inspector Fire Prevention / EMS Division Chief / Senior Chaplain이다. 미군 준장 계급장(금색)을 사용한다. [[파일:1077px-1_Gold_Star.svg.png|width=120]] == 인물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당시 사고의 초기 진압 책임자였던 [[레오니트 텔랴트니코프]]가 이 계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