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 [목차] == [[유희왕]]의 부스터 팩 == 정확히는 Mythological Age -蘇りし魂-으로 앞에 영어가 붙는다. 메인 일러스트는 [[라스트 배틀!|라스트 배틀]]. 발매일은 [[2001년]] [[11월 29일]]. [[스피릿(유희왕)|스피릿]]을 필두로 [[주사천사 리리]],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 [[나락의 함정 속으로]] 등 [[카이바 노아|노아편]]에서 사용되었던 카드들이 대거 수록되었으며, [[파샤스]]도 여기서 첫 데뷔를 했다. [[야타 까마귀]]부터 [[도둑의 연막탄]]까지 상당히 넓은 스펙트럼의 금제 기록을 보유하는 팩이기도 하다. 오직 일본에서만 발매되었으며, 그 외의 국가에서는 어둠을 지배하는 자에 있던 카드들과 함께 통합된 부스터 팩 [[어둠의 유산]]으로 발매되었다. == [[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724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소생 혼, 일어판 명칭=(よみがえ)りし(たましい), 영어판 명칭=Soul Resurrection,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그 몬스터는 파괴된다. 그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부스터 팩 [[천공의 성역]](일본판은 파라오의 유산)에 등장한 카드. 부스터 팩의 이름과 같은 이름을 지닌 카드들 중 하나지만, 한국에서는 소생 혼 부스터 팩이 [[어둠의 유산]]으로 발매되었기 때문에 [[암흑의 침략자]]처럼 알기 쉽지 않다. 성능은 [[정통한 혈통(유희왕)|정통한 혈통]]의 상호 호환. 하지만 일반 몬스터는 보통 어태커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비 표시로 소환해버리는 이 카드를 정통한 혈통보다 우선하기는 힘들다. 정통한 혈통과는 달리 대상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만 파괴되므로 필드 위에 남은 걸 패로 되돌려 재활용할 수 있긴 하지만 그 패로 되돌릴 수단이 있어야 쓸모가 있는 이야기이고, 애초에 그 정통한 혈통도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가 무제한으로 풀려버리고 [[은룡의 굉포]] 같은 카드도 나오는 바람에 잘 들어가지 않는 판이라 일반적인 일반 몬스터 [[비트 다운]] 덱에서 이 카드까지 눈길을 돌릴 일은 거의 없다. 게다가 [[전선복귀]]라는 상위 호환 카드가 나와버려서 지속 함정이란 점을 살리지 않으면 쓰이지 않을 듯 하다. 다만 수비 표시로 소환하는 함정이라는 점은 분명 유니크하긴 하기 때문에 [[네오 물의 조종자]]나 [[천년(유희왕)|천년 방패]]같이 수비력이 높은 일반 몬스터를 많이 이용하는 덱이라면 리빙 데드나 정통한 혈통보다 오히려 우선할 수도 있다. 어태커형 몬스터라도 [[라비 드래곤]]이나 [[가가기고|고기가 가가기고]], [[스파이럴 드래곤]] 같은 경우는 수비력도 공격력과 별 차이없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상대 턴에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를 무서워하지 않고 부활시킬 수 있다. 정통한 혈통보다 한참 먼저 나온 카드이기 때문에 사실 정통한 혈통이 나오기 전에는 일반 몬스터 덱에서 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카드였다. 당시 나란히 존재했던 [[침묵의 죽은자]]와 비교해봐도 즉효성 있고 뒤끝도 없지만 아예 공격을 할 수 없게 만드는 치명적인 디메리트가 있는 침묵의 죽은자와 달리 이쪽은 나중에 공격 표시로 돌리면 공격은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가장 디메리트 없이 일반 몬스터를 소생시킬 수 있게 해주는 카드였다. 배경은 [[스피릿(유희왕)|스피릿 몬스터]]의 배경이지만, 정작 이 카드로 스피릿 몬스터는 부활시키지 못한다. 효과 대상도 대상이지만 애초에 스피릿 몬스터 자체가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 단순히 카드명의 모티브가 된 부스터 팩이 스피릿 몬스터의 최초 수록 팩이라서 이런 디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아쉬운 대로 야마타 드래곤 그림 두루마기라도 부활시켜보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앨리스(유희왕 GX)|앨리스]]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 묘지의 [[돌 파츠|돌 파츠 골드]]를 소생시켜 [[돌 파츠|돌 키메라]]의 특수 소환을 위한 마법 카드 마리오넷의 매장의 발동 조건을 채우는 데에 사용했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에서는 [[팀 라그나로크|해럴드]]가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 중 [[정통한 혈통]]과 함께 패에 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듀얼 중 그는 물론이고 다른 [[팀 라그나로크]]의 멤버들이 사용한 카드들 중에서 [[일반 몬스터]]는 확인되지 않아 굳이 투입한 이유는 알 수 없다.[* 그냥 아무거나 집어넣었거나 해럴드 덱에 일반 몬스터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천공의 성역]] || AST-KR10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 2 || HGP2-KR222 || [[레어]] || 한국 || 절판 || || [[파라오의 유산|ファラオの遺産]] || 309-054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2]] || EE2-JP222 || [[레어]]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7]] || YSD2-JP038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덱 2014 |STARTER DECK 2014]] || ST14-JP037 || [[노멀]] || 일본 || || || [[천공의 성역|Ancient Sanctuary]] || AST-109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2]] || DR2-EN222 ||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17]] : [[전사의 일격|Warrior's Strike]] || SDWS-EN035 || [[노멀]] || 미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