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몽골 관련 문서)] [[한국어]]: 소욤보 문자 [[몽골어]]: Соёмбо бичиг [[영어]]: Soyombo alphabet, Soyombo script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oyombo_letters_mn.png]] [[1686년]] [[몽골]]의 [[승려]]인 자나바자르(zanabazar)가 [[인도]]계 [[문자]]들에 영향을 받아 만든 문자. 소욤보는 [[산스크리트어]]인 "스와얌부(Swayambhu)"에서 기원한 단어로 "스스로 나타난다"라는 뜻이 있다. 이 어휘는 [[브라흐마]]의 이칭이기도 했으며, [[대승 불교]]의 문헌 《대승장엄보왕경》에서는 본초불(아디붓다)이나 [[관세음보살|자비무상불]]에 대한 수식어로 사용되고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자생자(自生者)라는 어휘로 번역되었다. 소욤보 문자는 [[알파벳]]이라기 보다는 [[자음]]에 [[모음]]부호를 붙여 만드는 [[아부기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태국 문자]] 등의 인도계 문자와 같이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를 표기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외형상으로는 [[티베트 문자]]와 유사하게 생겼다.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바로 문장 시작 및 끝을 나타내는 부호인데, 소욤보 심벌이라고 주로 불린다. 우리가 흔히 몽골 [[국기]]에서 볼 수 있는 그 문양이며, [[러시아]]의 [[부랴티야 공화국]]에서도 문양 일부를 국기에 쓰는 만큼 [[몽골]]뿐만 아니라 [[몽골인]]을 상징하는 것들 중 하나로서 기능하고 있다. 같은 사람이 만든 문자로 '[[https://omniglot.com/writing/mhss.htm|방형(方形) 문자]]'라는 것이 있다. 이름답게 네모난 모양이 특징. 몽골의 다른 문자인 [[파스파 문자]]도 방형 문자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구분하기 위해 '가로쓰기 방형 문자'[* 파스파 문자는 기본적으로 [[세로쓰기]]이다.]나 '자나바자르 방형 문자'라고도 한다. [[분류:몽골어]][[분류:아부기다]][[분류:브라흐미계 문자]][[분류:국가의 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