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SoulHunter-DM2-JP-VG.png]]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소울 헌터'''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ソウル・ハンター'''||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Soul Hunter'''|| ||<-5><#F8F8A0>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7.] || 악마마족 || 악마족 || 2200 || 1800 || ||<-5>이 피에로에게 당한 자는 도마뱀 괴물에게 혼을 잡아먹히게 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OCG와 마찬가지로 [[융합 소환]]이 가능했지만, 소재는 [[머더 서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파충류족으로 현 OCG와는 전혀 달랐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card100293450_1.jpg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한글판명칭=소울 헌터 (미발매), 일어판명칭=ソウル・ハンター, 영어판명칭=Soul Hunter,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200, 수비력=1800, 종족=악마족, 소재="램프의 마인" + "이차원에서 온 침략자")] 제 1기 후반에 등장한 레벨 6 융합 몬스터 중에서는 [[홍양조]], [[아쿠아 드래곤]] 다음으로 공격력이 높았고, 제 3기에서는 [[마도 사이언티스트]]와 [[중강갑 거북]]을 활용한 번 덱의 탄환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다만 등장 당시라면 몰라도 현 시점에서는 레벨에 비해 능력치가 마땅치도 않고 아무런 효과도 없는 융합 몬스터에 불과하다. 각종 소재로 활용하거나 지명된 융합 소재 2장을 활용하는 덱에서 채용해보게 될 것이다. [[DD(유희왕/카드군)#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의 엑시즈 소재, [[천형왕 블랙 하이랜더]],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 등에 이용할 수 있으며, 공격력도 그냥저냥 있으니 마찬가지로 [[레토르트 퓨전]]에 대응하는 [[모래의 마녀]]와 함께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다크 가이아]] 덱에 투입해봐도 좋을 것이다. 마침 [[이블 히어로 마리셔스 데블]], [[이블 히어로 마리셔스 베인]]의 융합 소재로도 쓸 수 있다. 일단 정규 융합으로 꺼낼 경우라면 악마족 융합 몬스터라 [[다크 퓨전]]이나 [[DD(유희왕/카드군)#마신왕의 계약서|마신왕의 계약서]]로도 융합 소환은 가능하다. 융합 소재는 [[융합 주술봉인 생물-어둠]] 등으로도 대응이 가능하다. 여담으로 비주얼만 보면 [[동굴에 숨은 용]]과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우드 조커|우드 조커]]가 융합한 몬스터 같지만 둘 다 소재와 무관하고, 전혀 어울리지 않은 몬스터들이 소재로 필요하다. ||수록 시리즈 || ||<(> 1999-10-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부스터(유희왕)|Booster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0-1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3-29 | [[부스터(유희왕)|Booster R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1-08-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C-65 | [[부스터(유희왕)|Booster Chronicle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6-0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AP07-EN021 | '''ASTRAL PACK SEVE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램프의 마인 ==== [[파일:card10004209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램프의 마인, 일어판 명칭=ランプの魔人(まじん), 영어판명칭=Lord of the Lamp,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4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소재=마법의 램프에서 나타난 마인. 불러내준 자에게 복종한다.)] 융합 소재 서포트를 받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데스 사탄]]의 하위 호환. [[램프의 요정 라 진]]과 비슷한 컨셉이지만, 공/수의 수치가 라 진보다 아래라는 것이 문제. 다만 라진과는 달리 킬러 토마토로 덱에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융합 소재로 지정된 악마족 하급 몬스터 중에서는 가장 높은 공격력을 보유했지만, 상급 몬스터까지 포함하면 [[데몬 소환]] 등이 존재한다. [[마법의 램프]]에서 나타나는 마인이라고 소개되었지만, 정작 OCG에서는 딱히 연관점이 없다. ||수록 시리즈 || ||<(> 1999-10-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부스터(유희왕)|Booster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0-1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3-13 | [[부스터(유희왕)|Booster R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1-08-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C-52 | [[부스터(유희왕)|Booster Chronicle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4-103 | DUELIST LEGACY Volume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098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0-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HL1-EN001 | '''HOBBY LEAGU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098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6-0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AP07-EN021 | ASTRAL PACK SEVE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098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이차원에서 온 침략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