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열혈강호/세외/인물]] [[파일:황소향.jpg]] [[열혈강호]]의 등장인물.게임판 성우는 [[김아영(성우)|김아영]][* 만화열전 시리즈에서도 동일.] 여러 의미로 [[한비광]]의 앞날이 꼬이게 만든 원인제공자. 풀네임은 황소향. 남림야수왕 [[황건우]]의 딸로 거대한 매 '뇌응' 과 표범 '혈표' 를 항상 데리고 다닌다. 그런데 이 설정이 하필이면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의 [[나코루루]]와 유사했고(뇌응이 마마하하, 혈표가 시크루와 겹쳐지는 위치) 복장도 나코루루를 연상시키는 면이 있었기 때문에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독자들 사이에서 '나코루루 짝퉁이냐', '한국판 나코루루냐' 며 상당한 악평이 오가기도 했다. 그러나 독자들 중에는 의외로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처음 등장할 무렵의 이 처자는 엄연히 '''유선제독부에 협력하던 인물이었다'''. 유선제독부가 자랑하던 사진(蛇陳)은 다름아닌 소향이 빌려준 물건. 때문에 처음 등장할 무렵에는 또다른 흑막이거나, 최소한 아직 유선제독부 관련 후속 스토리와 관련될 것이란 예측도 있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 그런 건 없었다.''' 어찌되었든 우연히 만난 [[한비광]]과 오해가 생겨 하룻밤을 같이 지내게 되는데[* 진상필 에피소드에서 유선제독부의 비현이 한비광의 이야기를 잘못 듯고 술에 취해 곯아 떨어진 두 사람을 같은 침대에 눕혔을 뿐 그렇고 그런 의미는 아니다.] 이 사건으로 한비광을 서방님이라고 철석같이 믿어버리게 되어 그 이후로 가는 곳마다 불쑥불쑥 나타나 난처한 상황에 빠뜨리고 만다. 훗날 호협곡을 찾아간 [[황건우]]가 [[최상희]]와 일전을 치르게 만든 계기가 된 것이 바로 이 사건. [[한비광]]과 있을 때는 언뜻 아무것도 모르는 초 순정녀 같은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사실은 그것도 일종의 영업용 기믹일 뿐 집채만한 바위를 가뿐히 내던져서 벌을 잡는다던가, 호협곡 사건에서 분혼마인들을 맨주먹으로 '날려' 버린다거나(나중에 발을 묶여서 환영문에게 한 방 맞긴 했지만) 하는 등등 남림야수왕의 혈통답게 무지막지한 [[괴력]]과 엄청난 [[외공]]의 소유자. [[최상희]]가 괜히 맞고 다닌 게 아니다.[* 분혼마인들을 날려버리는 걸 보며 [[남궁현배]]가 "정말 가공할 외공을 지닌 아가씨군요"라고 하자 최상희가 "내가 괜히 맞고 다니겠어?"라고 답한 바 있다.] 별다른 언급은 없었지만 당연하게도 황건우의 여식답게 내공도 제법 있는 편인 듯하다. [[천운악]]이 실수로 쏜 '''분노가 첨가된''' 벽사쌍봉장이나 엽민천의 '''자하신공'''[* 자하신공은 작중 최강급의 위력을 가진 무공으로 가볍게 날린 공격도 웬만한 무림인들이 맞으면 몸이 걸레짝이 되어 죽을 정도의 위력이다. 최상희 조차 소향이 자하신장을 맞았을 때 당연히 죽었을거라 생각하고 분노했었다.]을 맞고도 기절만 하고 죽지 않았다. 벽사쌍봉장에 기절했을 당시 [[천유현|약선]]의 평에 의하면 "'''잠시 정신을 잃은 것 뿐이라 이 소녀는 이대로 두어도 곧 깨어날 거다'''"라고. 나이를 좀 먹으면 황건우에 못지 않은 강자가 될 가능성도 있는 듯 하다. 단행본 10권을 보면 경공도 쓸 줄 안다. 함께 다니는 짐승들인 뇌응과 혈표도 평상시에는 개그 담당이지만 '''무림 제일의 부대인 [[흑풍회]] 대원들을 상대해도 이기는 수준이다.''' 심지어 당시 뇌응과 혈표는 이틀 밤낮을 자지 못하고 뛰어다녔던지라 정상 컨디션이 아니었다. 물론 흑풍회 대장보다는 떨어지는 듯. [[파일:Screenshot_20180428-133145.png]] [[파일:황소향2.png]] 열혈강호M에서 단편 스토리북으로 그려진 최상희와 소향. 하지만 정작 이래놓고 나중에는 [[최상희]]에게 반해버리는 바람에 결국 25권에서 잔뜩 오해받을 편지만 덜렁 남겨두고([[황건우]] 항목 참조) 사라진 이후로는 행방이 묘연... [[열혈강호]]는 무협을 소재로 한 작품 특성상 자주 피비린내 나는 전개로 빠지는데, 그런 분위기의 전환이 필요할 때 등장하여 작품에 가벼운 [[러브코미디]]적 테이스트를 가미하여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던 깜찍한 조연이었다. [[부용(열혈강호)|부용]]과 마찬가지로 진지한 전개에 걸리적거리는 캐릭터 특성 때문인지, 아니면 나코루루 짝퉁론 때문인지 알 수 없으나, 극중 편지 한 장 남겨놓고 사라진 뒤 최상희 및 황건우처럼 20년이 넘도록 등장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