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1978년 속리산 지진|| ||발생일||[[1978년]] [[9월 16일]]|| ||발생시각||오전 2시 7분 5초경|| ||규모||KMA : M 5.2[br] USGS : [[http://earthquake.usgs.gov/earthquakes/eventpage/usp0000wjp#executive|M 4.6]] || ||부상자||없음|| ||가옥피해||일부 노후가옥 파손.|| 진앙지 : 36.6N 127.9E == 개요 == 속리산 지진은 [[1978년]] 9월 16일 오전 2시 7분경 발생한 지진으로 당시에는 한반도 내륙에서 일어난 지진중에서 2위, 남한 내에서 일어난 지진중에서는 가장 강했던 지진이다. 2020년 기준으로는 4번째로 강한 지진이다. 이때 지진은 서울 등 전국 각지에서도 느낄수 있었을 정도였으며 [[보은군]]에서는 진도 Ⅳ의 진동이 느껴졌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일어나는 대지진이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은만큼 이 지진도 1976년 7월 28일의 [[탕산 대지진]]의 영향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include(틀:지진/한국 역대 지진)] == 피해 == 규모 5.2, 한반도에서는 약하지 않은 지진이었지만 주변에 큰 마을이 없었고 진원지가 깊었던 덕분에 부상자는 없었으며 가옥피해 또한 노후화된 주택 몇채 파손에 그쳤다. == 영향 == 지진 안전지대로 인식되었던 한국에서 규모 5.2의 지진이 일어났고, 1달도 안 지나서 비슷한 규모의 [[홍성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따라 한국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리는 인식이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약 38~39년 뒤에 [[2016년 울산 지진|5.0 이상의]] [[2016년 경주 지진|지진이]] [[2017년 포항 지진|연달아 일어나면서]] 그 인식이 확산되었다. == 관련 문서 == [include(틀:지진/20세기)] [[분류:1978년 지진]][[분류:지진/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