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카드군. || 한국판 명칭 ||'''손 프리즈너''' (비공식 번역명)|| || 일본판 명칭 ||'''[ruby(茨の囚人, ruby=ソーン・プリズナー)]'''|| || 영어판 명칭 ||'''Thorn Prisoner'''|| || 속성 || 종족 || || [[유희왕/속성|어둠]] || [[유희왕/종족|악마족]] || [목차] == 개요 == [[유희왕 ARC-V]]의 등장인물인 [[세르게이 볼코프(유희왕)|세르게이 볼코프]]가 사용한 카드군. 식물의 가시 줄기가 몬스터를 감싸 가두는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일러스트에 그려진 악마들이 [[고문 바퀴(유희왕)|고문을 받고 있는 모습]]으로 끔찍하게 묘사되어 나온다. 생긴 것은 영락없는 식물족이건만, 공격력 0의 악마족 몬스터들로 이루어진 카드군이다. 하긴, 이 인간의 성격이라거나, 효과를 생각하면 맞는 것 같기도 하다. 효과를 사용할려면 자신의 LP를 지불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상대가 승리를 확신할 때 반 달리 즈마로 끝장내는 것이 전술의 핵심. [[장 미셸 로제]]에게 붙잡히기 전에는 반 달리 즈마가 없었기 때문에 예전 듀얼 방식은 듀얼리스트 크래셔라는 그의 이명을 생각하면 아마 파워로 밀어붙이는 타입이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생전에 그가 듀얼을 한 장면이 없어서 추측하기만 할 뿐이지만. 참고로, 자기 LP를 줄여가면서 싸우는 덱인 특성상, 번 덱에는 취약하다. 특히, [[노인의 맹독약]] 같은 카드. 그런데 92화부터는 손 프리즈너가 아닌 '''[[지박(유희왕)|지박]]'''이라는 새로운 카드군을 사용한다. 해당 덱은 로제가 싱크로 / 융합 소환을 동시에 사용하게 하는 비장의 한 수로 계획된 덱으로 보인다. 2020 애니메이션 카드 OCG화 투표에 왜인지 지박카드들이 아니라 실용성이나 카드수가 더 적은 이 카드들이 투표 후보로 올라갔다. 중간결과에서 6위를 달성했다. 한편 지박 카드들은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에서 OCG화 되었다. == 메인 덱 몬스터 == === 효과 몬스터 === ==== 손 프리즈너-반 ==== [[파일:external/f8bb3f1d94bbc8fec96690baf77ee69b94c68551745ccfba00be71447801c1cc.jpg]] || 한글판 명칭 ||||||||'''손 프리즈너-반'''(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茨の囚人, ruby=ソーン・プリズナー)]-ヴァン'''|| || 영어판 명칭 ||||||||'''Thorn Prisoner Van'''||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0 || 0 || ||||||||||①: 이 카드가 공격 대상이 되었을 경우, 패의 "손 프리즈너"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공개하고, 400 LP를 지불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으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한다. 그 후 데미지 스텝 종료시, 묘지에서 이 카드와 패에서 이 카드의 효과로 상대에게 공개한 "손 프리즈너" 몬스터 1장을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십자가에 매달려 있다. === 튜너 몬스터 === ==== 손 프리즈너-달리 ==== [[파일:external/3a735e80a47c2082f6e5453704db9570310beba831a26cefb5bc61f4c7b8e71e.jpg]] || 한글판 명칭 ||||||||'''손 프리즈너-달리'''(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茨の囚人, ruby=ソーン・プリズナー)]-ダーリ'''|| || 영어판 명칭 ||||||||'''Thorn Prisoner Darli'''|| |||||||||| [[싱크로 소환/튜너|튜너]]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0 || 0 || ||||||||||①: 이 카드 이외의 "손 프리즈너"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에 존재할 경우,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1번,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4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고문 바퀴(유희왕)|고문 바퀴]]처럼 매달려 있다.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 싱크로 몬스터 === ==== 손 옵저버-즈마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hornObserverZuma-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손 옵저버-즈마'''(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茨の戒人, ruby=ソーン・オブザーバー)]-ズーマ'''|| || 영어판 명칭 ||||||||'''Thorn Observer Zuma'''|| |||||||||| [[싱크로 소환|싱크로]]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0 || 0 || ||||||||||튜너 + 튜너 이외의 "손 프리즈너" 몬스터 1장 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필드의 모든 몬스터에 가시 카운터를 1개 놓는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가시 카운터가 놓여진 몬스터는 공격 선언할 수 없고, 플레이어는 각자의 턴의 엔드 페이즈시마다 서로의 필드의 가시 카운터의 수 × 400 데미지를 받는다. ③: 이 카드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경우, 이 카드의 싱크로 소환에 사용된 싱크로 소재 몬스터 1세트가 자신 묘지에 존재할 경우, 400 LP를 지불하고, 그 소재 몬스터 1세트를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으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한다. 그 후 데미지 스텝 종료시, 묘지에서 이 카드와 대상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왜곡된 번뇌를 드러내어, 가시덩쿨에 몸을 맡겨라! 싱크로 소환! 나타나라, 레벨 2! 손 옵저버-즈마!(歪曲した煩悩を曝け出し、茨に肉塊を委ねよ! シンクロ召喚! 現れよ、レベル2! 茨の戒人-ズーマ!)'''|| 죄인을 구금할 때, 목에 채우는 [[칼(계구)|칼]]을 차고 있다. 레벨 2 싱크로 몬스터는 튜너가 2장, 비튜너가 2장인데, 이 카드가 OCG화 되면 새로운 비 튜너로 쓰일 수 있을 지도 모른다. === 융합 몬스터 === ==== 손 오버저버-반 달리 즈마 ==== [[파일:external/6481f3a76edd5c8eee7bc56768e96af8f5361cf7b75f5f10ce4ad64dc1dcaddc.jpg]] || 한글판 명칭 ||||||||'''손 오버저버-반 달리 즈마'''(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茨の超越戒人, ruby=ソーン・オーバーザーバー)]-ヴァン・ダーリ・ズーマ'''|| || 영어판 명칭 ||||||||'''Thorn Overserver Vandarlizuma'''|| |||||||||| [[융합 소환|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0 || 0 || ||||||||||"손 프리즈너-반" + "손 프리즈너-달리" + "손 옵저버-즈마" 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2500에서 자신의 LP를 뺀 수치의 배가 된다. ②: 1턴에 1번, 100 LP를 지불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100이 된다.|| ||||||||||'''신고, 아픔, 평범한 가치를 몸으로 전부 벗어떠나 지금 가시의 길을 넘어라! 융합 소환! 나타나라! 손 오버저버-반 달리 즈마!(辛苦、痛み、凡庸なる価値を骸とし、全て脱ぎ去り今! 茨の道を越えよ! 融合召喚! 現れよ! 茨の超越戒人-ヴァン・ダーリ・ズーマ!)'''|| 이름의 유래는 [[반달리즘]]으로 추정된다. 다른 몬스터들의 이름도 반/달리/즈마 이런 식으로 분리한 것 뿐이다. 여태까지 세르게이가 자신의 LP를 계속해서 깎은 것도 이 카드로 원턴킬을 할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공격력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서 LP 4000으로 시작하는 원작 기준이라면 LP 500 이하인 상태에서 부를 경우 바로 원턴킬이 가능하다. 공격시에는 바퀴로 변형돼서 굴러온다. == 함정 카드 == === 가시 증식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ultiplyingThorns-JP-Anime-AV.png|width=300]] || 한글판 명칭 ||||||||'''가시 증식'''(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茨の増殖'''|| || 영어판 명칭 ||||||||'''Thorn Growth'''|| |||||||||| 지속 함정 || ||||||||||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양쪽 플레이어는 각각 자신 엔드 페이즈마다, 각 필드의 가시 카운터의 수 × 400 데미지를 받는다. ②: 가시 카운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 자신은 그 카운터의 수 × 100 데미지를 받는다. ③: 필드에 가시 카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가시벽]]과는 관계 없다.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