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팔]][[분류:손]][[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extensor digitorum'' '''}}}[br]{{{#ffffff ''' ''(손가락폄근, 지신근)'' '''}}} || |||| [[파일:손가락폄근.jpg|width=100%]] || || 이는 곳[br](origin) || 가쪽위관절융기[br](lateral epicondyle) || || 닿는 곳[br](insertion) || 둘째~다섯째 손가락 중간/끝마디뼈 바닥[br](2nd~5th middle/distal phalanges) || || 동맥[br](artery) || 뒤뼈사이동맥[br](posterior interosseous artery) || || 신경[br](nerve) || 뒤뼈사이신경[br](posterior interosseous nerve) || || 기능[br](action) || 손목과 둘째~다섯째손가락들을 폄[br](extension of wrist and 2nd~5th fingers) || [목차] [clearfix] == 개요 == 손가락폄근(extensor digitorum muscle)은 [[위팔뼈]]에서 일어나 손가락들의 중간마디뼈와 끝마디뼈에 닿는 아래팔 뒤칸 얕은층의 근육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지신근([[指]][[伸]][[筋]])[* [[손가락 지]], [[펼 신]], [[힘줄 근]].]. == 구조 == || [[파일:아래팔뒤칸얕은층.jpg|width=100%]] || [[파일:손등힘줄들.jpg|width=100%]] || || 아래팔 뒤칸 얕은층[* [[팔꿈치근]](aconeus m.)은 일반적으로 위팔 뒤칸의 근육으로 분류하지만 이 사진에는 같이 나타나 있다.] || 손등의 힘줄들 || 손가락폄근은 위팔뼈의 가쪽위관절융기와 근육사이막(intermuscular septum) 일부에서 일어나서 이후 아래팔을 따라 주행한다. || [[파일:손등윤활집.jpg|width=100%]] || || 손등의 힘줄과 윤활집 || 힘줄은 손목을 지날 때쯤 4개로 나뉘는데 이 부분에서 힘줄들은 깊은쪽의 [[집게폄근]](extensor indicis m.) 힘줄과 함께 온윤활집(common synovial sheath)에 싸여 [[폄근지지띠]](extensor retinaculum)에 고정된 채 지나간다. 손등에서 각각의 힘줄들은 2~5번째 손가락들로 갈라져 이동하고, 이때 힘줄들끼리는 힘줄사이연결(intertendinous connection)[* 위의 2번째 그림에서 extensor digitorum 힘줄들끼리 가로로 연결된 것.]이 있다. 이로 인해 각 손가락을 완전히 독립적으로 펴는 것은 불가능하다. 손가락뼈에 도달한 힘줄들은 손의 [[폄근널힘줄]](extensor expansion; extensor hood) 형성에 기여한다. 그 후 힘줄은 세갈래로 갈라져서 중간 갈래만 손가락 중간마디뼈바닥에, 나머지 두갈래는 손가락 끝마디뼈바닥에 닿는다. || [[파일:벌레근붙은폄근널힘줄.jpg|width=100%]] || || 벌레근과 등쪽뼈사이근의 가쪽 모습 || [[벌레근(손)|벌레근]](lumbrical mm.)들과 [[등쪽뼈사이근(손)|등쪽뼈사이근]](dorsal interossei mm.)들이 폄근널힘줄과 이 힘줄의 가쪽 갈래에 붙어 있다.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은 [[노신경]](radial n.) 깊은가지가 [[손뒤침근]](supinator m.)에 근육가지를 낸 이후 이름이 바뀐 [[뒤뼈사이신경]](posterior interosseous n.)이다. 혈액을 주로 공급하는 동맥은 [[자동맥]](ulnar a.)의 가지인 [[뒤뼈사이동맥]](posterior interosseous a.)이다. == 기능 == 힘줄이 닿은 2~5번째 손가락을 펴는 것이 주된 작용이다. 손허리손가락뼈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 MCP)에서 첫마디뼈를 펴는 것이 우선적이다. 그 후에 몸쪽손가락뼈사이뼈관절(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PIP)에서 중간마디뼈를, 먼쪽손가락뼈사이관절(distal interphalangeal joint, DIP)에서 끝마디뼈를 편다. 이 작용들이 이미 일어났다면 손목관절에서의 폄 작용에도 관여한다. [[대항근]]은 당연히 2~5번째 손가락을 굽히는 [[얕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과 [[깊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m.)이다. == 사진 == || [[파일:아래팔단면들.jpg|width=100%]] || || '''아래팔의 단면들''' || (단면 사진의 글자가 안 보이면 클릭해 파일 문서에서 확대하여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