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C 다이노스/간략(코칭스태프))] ||
'''{{{#ffffff 손정욱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NC_Dios_2020_KoreanSeries_Champions.png|width=auto&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20년 한국시리즈|{{{#ffffff 2020}}}]]''' ||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14번}}}''' || || 팀 창단 || {{{+1 →}}} || '''손정욱[br](2013)''' || {{{+1 →}}} || [[에릭 테임즈|테임즈]][br](2014~2016)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50번}}}''' || || [[장현식]][br](2013) || {{{+1 →}}} || '''손정욱[br](2014~2015)''' || {{{+1 →}}} || [[장현식]][br](2016~2017)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30번}}}''' || || [[장현식]][br](2015.10.1.~2015) || {{{+1 →}}} || '''손정욱[br](2016~2017)''' || {{{+1 →}}} || 홍지운[br](2018~2018.7.1.)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14번}}}''' || || [[윤호솔]][br](2017) || {{{+1 →}}} || '''손정욱[br](2018)''' || {{{+1 →}}} || [[이호중]][br](2019) || || [[이호중]][br](2019) || {{{+1 →}}} || '''손정욱[br](2020~2021)''' || {{{+1 →}}} || [[오태양(야구선수)|오태양]][br](2022)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50번}}}''' || || [[소이현(야구선수)|소이현]][br](2020~2021) || {{{+1 →}}} || '''손정욱[br](2022~2022.5.18.)''' || {{{+1 →}}} || [[맷 더모디|더모디]][br](2022.8.12.~2022) || ||<-5> '''{{{#ffffff [[질롱 코리아|{{{#ffffff 질롱 코리아}}}]] 등번호 90번}}}''' || || 결번 || {{{+1 →}}} || '''{{{#ffffff 손정욱[br](2022-23)}}}''' || {{{+1 →}}} || 팀 해체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87번}}}''' || || [[박태원(야구선수)|박태원]][br](2022) || {{{+1 →}}} || '''손정욱[br](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손정욱2022프로필.png|width=100%]]}}}|| ||<-2> '''NC 다이노스 No.87''' || ||<-2> '''{{{+2 손정욱}}}[br]孫政煜 | Son Jeong-Wook''' || ||<|2> '''출생''' ||[[1990년]] [[12월 24일]] ([age(1990-12-24)]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도곡초등학교|서울도곡초]] - [[홍은중학교|홍은중]]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 - [[경희대학교 야구부|경희대]] || || '''신체''' ||182cm, 84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s-3|2013년 2라운드]] (전체 10번, [[NC 다이노스|NC]]) || || '''소속팀''' ||'''[[NC 다이노스]] (2013~2022)''' || || '''지도자''' ||[[질롱 코리아]] 투수코치 (2022/23)[br][[NC 다이노스/2군|NC 다이노스 2군]] 투수코치 (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NC 다이노스/2군|NC 다이노스 2군]] 투수코치. 선수 시절 [[NC 다이노스]] 소속 좌완 투수이자, NC 다이노스 구단 최초 원클럽맨으로 은퇴한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등학교]] 1학년 때는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결승에 깜짝 호투로 팀 우승에 기여했지만, 2학년 때는 팔꿈치 인대 부상으로 쉬게 된다. 3학년 때는 [[성영훈]]과 함께 팀의 주축 투수로 활약하면서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우승을 이끌면서 우수투수상을 받았다. [[http://reporter.ncdinos.com/169736868|NC 입단 인터뷰]] 그러나 성영훈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평가를 받으면서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하고 [[경희대학교 야구부|경희대학교]]로 진학했고, 이후 대학리그에서 기량이 발전하면서 4학년 때는 대학 최고의 좌완 투수로 평가받았다. 2012년 [[회장기 전국대학야구 하계리그]] 결승전에서 [[인하대학교 야구부|인하대학교]]의 [[박준태(1991)|박준태]]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고 우승을 내준 아픔을 경험했다.[[https://sportnest.tistory.com/1399|#]] 2013년 신인 지명에서 KIA가 1라운드에서 [[손동욱]]을 선발하자 착각한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왔기도 했다. === [[NC 다이노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손정욱평가전220309.jpg|width=100%]]}}}|| ==== 2013 시즌 ==== 프로 데뷔 전에 대만 팀과의 연습 경기에서 제법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줬지만, 정작 프로 데뷔는 미뤄져서 7월에 이르러서야 가능했다. 퓨처스리그에서 6개월간 단련한 끝에 등장해서 나름대로 왼손 계투로서 역할을 보여줬다. 최종 32경기 20⅓이닝 0승 1패 0세이브 1홀드 방어율 1.77 WHIP 1.18이라는 좋은 성적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경기 수에 비해 이닝 수가 적었는데, 주로 [[원 포인트 릴리프]]로 등판했기 때문이다. 시즌 중반에 합류한 지라 그렇게 많은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다. 배짱 있는 투구를 보여주며 다음 시즌부터 왼손 셋업맨으로 중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14 시즌 ==== 4월 24일 SK전에서 4회말 등판하자마자 [[폭투]]와 이에 이은 실책으로 2점이나 [[분식회계(야구)|분식]]했지만 이후 타선이 불을 뿜었고 본인도 잘 막아준 덕분에 데뷔 첫 승을 거뒀다. 이날 인터뷰에서 단어 '이제'를 [[http://m.dcinside.com/view.php?id=ncdinos&no=340332&page=1&recommend=1|34번 사용해서]] '손이제', '손나우' 라는 별명이 붙었다.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79031|1분 58초부터 인터뷰 영상]] 6월 3일 [[키움 히어로즈|넥센]]전 9회초에 등판하여 ⅓이닝 소화, [[http://youtu.be/E8t7wPTp-Jg|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여담으로 다음날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eball&id=83607|경기전 인터뷰]]에서 XTM [[정순주]] 아나운서가 '''"손이제 선수"'''라고 말실수를 해 팬들에게 웃음을 주었다. 그 뒤로도 좌완 계투가 별로 없는 팀 사정 상 계속 계투로 등판하며 '''데뷔 첫 승과 함께 팀 내 최다 홀드(16개, 리그 5위)를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그러나 후반기엔 체력이 떨어졌는지 6.57의 방어율을 기록하며 성적이 떨어졌고, 급기야 일부 팬들에게 후반기 갑자기 비핵화를 선언한 [[이혜천]]보다 안정감이 떨어진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67경기 44이닝 2승 1패 16홀드 1세이브 ERA 4.70. [[KBO 준플레이오프/2014년|준플레이오프]] 엔트리에 포함되었는데, 팬들은 후반기 페이스를 보면 포함되지 못할 거라 예상했다며 의외라는 반응을 보였다. [[노성호]]가 부상으로 합류하지 못한 것도 있고 해서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준PO 1차전에서 팀이 2:8로 크게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7회에 등판해 [[박용택]]을 땅볼로 잡았지만 [[이병규(1983)|이병규]]에게 2루타를 내줬고, [[이진영]]을 땅볼로 잘 잡았으나 [[브래드 스나이더|스나이더]]에게 볼넷을 허용한 후 [[원종현]]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원종현이 실점하지 않고 이닝을 마치며 이 날 기록은 ⅔이닝 1피안타 1볼넷 무실점이 되었다. 다만 팀은 [[이민호(1993)|이민호]]와 [[이혜천]]의 추가실점으로 4:13으로 완패했다. 이후 더 등판하지 못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1승 3패로 [[KBO 플레이오프/2014년|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 2015 시즌 ==== 스프링캠프에서 허리 부상으로 조기 귀국하는 불운을 겪었다. 이후에 4월 말에 다시 1군에 등록되었지만 허리 통증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지지 못했다. 5월 31일 KIA전에서 데뷔 첫 선발로 등판했지만 2이닝 4실점으로 무너졌고, 이후에도 예전의 모습을 회복하지 못한 채 부진하다가 결국 6월에 2군으로 내려갔다. 이후에 9월달에 확장 엔트리 때 딱 한 경기를 더 뛰는 데 그쳤다. 시즌 최종 성적은 20경기 23⅓이닝 1승 0패 평균자책점 6.56으로 부진했다. ==== 2016~2019 시즌 ==== 이후 부상의 여파인지 예전 기량을 회복하지 못하며 2016, 2017 시즌 모두 1군에 올라오지 못했다. [[http://sports.hankooki.com/lpage/baseball/202007/sp2020070312362657360.htm|2020년 인터뷰]]에서 알려진 바에 따르면 2016년 왼쪽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아 긴 재활 기간을 거쳤다고 한다. 2018 시즌에는 해외 전훈 명단에 들었으나 1군 무대를 다시 밟지는 못했다. 시즌 중 육성선수로 전환되어 퓨처스리그 9경기에 등판해 2승 2패, ERA 4.50을 기록했으며 4월 28일 경찰과의 경기 등판을 마지막으로 이후 조용히 입대했다. 손정욱의 등번호는 9월에 [[강민국]]이 전역하면서 가져갔다. ==== 2020 시즌 ==== 4월에 소집해제해 퓨처스리그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8월 11일 1군에 콜업되었다. 2015 시즌 이후 5년 만으로, 좌완 불펜 원투펀치를 맡는 [[강윤구(야구선수)|강윤구]]가 시즌 내내 부진에 빠지면서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 감독이 2군에서 좌완 투수를 콜업한 듯 하다. 콜업 시점에서의 퓨처스 기록은 20경기 26이닝 2승 무패 6홀드 1세이브 ERA 2.08, 피안타율 0.267에 22K 무사사구로 매우 좋다. 드디어 8월 12일 롯데전에 긴 공백을 깨고 등판을 하였다. 볼넷 하나와 피안타 하나를 맞으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실점없이 마무리 하였다. 최고구속은 140km/h. 8월 13일 롯데전, 어제에 이어서 연속 등판. 1이닝을 탈삼진 하나와 함께 삼자범퇴로 깔끔하게 막아냈다. 8월 15일 LG전에서는 8회초 11-4로 크게 뒤진 상황에서 등판했다. 볼넷-뜬공-몸맞공-땅볼-2루타로 2실점했고 이후 [[박용택]]을 3구 땅볼로 잡아내며 이닝을 끝냈다. 9회에도 올라왔는데 [[김민성]]에게 안타를 맞고 [[로베르토 라모스]]를 2구 뜬공으로 잡은 후 원종현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이후 [[원종현]]이 잘 틀어막아 더이상의 자책점은 없었다. 다음날인 8월 16일, [[임창민]]과 [[박정수(야구선수)|박정수]]가 콜업됨에 따라 [[이재학]]과 함께 1군에서 말소되었다. 이후 퓨처스에서 주로 불펜 보직을 맡고 있으며, 9월 10일 롯데전에서 5회초 마운드에 올라와 4이닝 2피안타 1K 3사사구 무실점을 기록한 것을 보면 롱릴리프로서도 준비하고 있는 듯 하다. 이후에도 퓨처스리그에서 꾸준히 1이닝씩을 소화했고, 9월 25일 [[최성영]]이 말소되면서 1군에 다시한번 콜업되었다. 콜업 당일 창원 LG전 9회말 7-1로 크게 앞선 상황에서 마지막 투수로 올라와 [[이형종]]을 삼진으로 돌려세웠고, [[김민성]]-[[양석환]]에게 연속안타를 허용했으나 [[정주현]]에게 병살타를 잡아내며 무실점으로 경기를 끝냈다. 이후 10월 12경기 7⅔이닝을 소화하며 [[임정호(야구선수)|임정호]]와 함께 좌완 불펜으로 꽤 자주 등판했다. 월간 ERA 5.87, WHIP 1.83으로 기록은 다소 들쭉날쭉했다. 팀이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한 뒤 [[최성영]], 강윤구 등이 제구 난조를 극복하지 못하면서 임정호와 함께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합류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5차전까지 단 1경기도 나오지 못했고, 6차전에도 미출장 선수로 분류되었다. 결국 1경기도 나오지 못했으나 팀이 6차전에서 승리하면서 어찌어찌 반지는 따냈다.[* 나중에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우승 뒷풀이 사진을 인증하며 이모티콘으로 반지도둑 드립을 쳐서 셀프 디스를 하기도 했다.] ==== 2021 시즌 ==== 추격조와 패전조에서 간간히 나오다가 6월 6일 홈 [[한화 이글스]]전에서 9대1로 이기고 있는 상황에 1사만루를 만들고 강판된 [[문경찬]] 다음으로 등판해 3루타를 허용하며 실점을 허용했고 그후에도 볼넷을 퍼주다 내려왔다. 기록은 0이닝 3실점. 이후 팀이 13-10으로 패배하며 역적이 되었다. 6월 19일 홈 키움전에서 또 한번 거하게 말아먹으며 [[박준영(1997)|박준영]]과 함께 팀 패배에 일조했다. 1⅓이닝 6피안타 2볼넷 4실점을 기록했는데 지금까지의 시즌 기록은 6경기 6이닝 ERA 10.5, WHIP 2.83. 결국 전날 같이 신나게 불을 질러댄 [[김진성]]과 함께 말소되었다. 이후 꾸준히 퓨처스리그에서 불펜으로 등판했다. 9월 14일 [[최금강]]이 말소되면서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콜업 당시 성적은 30경기 3승 무패 3홀드 2세이브 33⅔이닝 8자책점 22피안타(1피홈런) 33K ERA 2.14로 좋았다. 콜업 당일 홈 키움전 6회초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팀은 6회말 대량득점으로 역전승을 거두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이는 마지막 승리를 거둔 2015년 5월 26일 홈 두산전 이후 '''2304일(만 6년 3개월 19일)''' 만의 승리였다. ==== 2022 시즌 ====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311/0001450291|상대 더그아웃에서도 박수갈채, 그들의 특별했던 2군 은퇴식]]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77/0000359995|"마지막 공 던지고 심장이 뛰더라"…눈물의 은퇴 경기 뒷이야기]]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311/0001450119|'뜨거운 안녕' 전민수-손정욱이 추억한 그날, 2021년 9월 14일]] 5월 18일 KIA 2군과의 경기를 앞두고 NC 퓨처스팀의 인스타그램으로 "오늘 경기를 끝으로 손정욱, [[전민수]] 선수가 선수 생활을 마감하게 되었습니다"라는 [[https://www.instagram.com/p/CdrmetAvCaG/?igshid=MDJmNzVkMjY=|포스트]]가 올라오며 은퇴가 확정됐다. >'''(마지막 투구와 타석을 끝낸 소감)''' >마지막 공을 던진 후 심장이 뛰었다. "야구 선수였구나" 하는 마음이었다. 선수를 빨리 그만둔 것에 대한 후회는 없다. 마음이 편하고 제2의 인생에 대해 고민을 해보겠다. >오늘 그냥 한 타자 상대하는 것이라고만 생각했는데, 후배, 선배 형들이 진심으로 박수를 쳐줘서 너무 기뻤다. 우승했을 때 보다 오늘 이 순간이 더 생각이 많이 날 것 같다. >함께 박수를 쳐준 KIA 선수단에도 감사드린다. > >'''(가장 기억에 남는 경기)''' >아무래도 1군 첫 승이 아닐까 생각한다. 생각에 2014년 4월 24일인 것 같은데, NC라는 팀에 지명이 되고 N팀에서 뛸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이런 기록도 가질 수 있었던 것 같다. >첫 승 인터뷰를 하면서 '이제'라는 말을 너무 많이 써서 '손이제'라는 별명도 생겼다. 그 때가 제일 기억이 남는다. 민수형이 만루홈런 친 경기 날, 나도 6년 만에 1군 승리투수가 돼서 의미가 더 컸다. > >'''(고마웠던 분들이 있다면?)''' >프로에서 10년 동안 NC에서만 있었다. 성격이 낯을 많이 가리는 성격이라 적응에 어려웠는데, [[이재학|재학이]]가 많이 챙겨줘서 정말 고마웠다, [[이민호(1993)|민호]]도 항상 응원해 줘서 고마웠다. >이번 시즌까지 함께 열심히 운동했던 [[김건태(야구선수)|건태]], [[강동연|동연]], [[임정호(야구선수)|정호]]도 생각난다. 최근에는 [[홍성민|성민이 형]]이 많이 챙겨줘서 고마웠다. 야구를 하면서 N팀에 있을 때 FA로 오신 많은 선배님들과 함께 뛸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 > >'''(야구인생에서 감사했던 분이 있다면)''' >대학교 감독님이셨던 지금 여주대 야구부 감독님이신 [[이국성]] 감독님이 제일 기억에 많이 남는다. 야구하면서 제일 편하게 할 수 있었던 여건을 만들어주셨다. 그리고 감독님 덕분에 높은 순위에 지명을 받을 수 있었다. > >'''(남아있는 우리 퓨처스 팀 선수에게)''' >올해 팀 분위기가 환경적으로 좋아졌다고 생각한다. 우리 선수들이 더 성장할 수 있을 것 같다. 데이터나 시스템 적으로도 어느 구단보다 훨씬 좋다 생각한다. 많이 공부하고 코치님들을 찾아가서 물어봤으면 좋겠다. >개인적으로 올해 우리 투수 파트가 좋아졌다고 생각한다. 지금 N팀의 선수들과 함께 여기 있는 선수들도 기회를 받고 충분히 잘 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환경적으로 훨씬 좋아졌으니 선수들이 더 열심히 공부했으면 좋겠다. >---- >2022년 5월 18일 선수생활 마지막 경기 종료 후 [[https://www.instagram.com/p/Cdsa2kkpb4d|인터뷰]]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손정욱220518은퇴식1.jpg|width=4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손정욱220518은퇴식2.jpg|width=4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손정욱220518은퇴식3.jpg|width=4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민수220518은퇴식4.jpg|width=4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d1KktEFWXo, height=281)]}}} || 6월 [[엔튜브]] C팀 컨텐츠 [[https://youtu.be/2wMtBtteYns|영상]]에 오랜만에 얼굴을 비췄다. 코치 연수중이라고 한다. 7월 27일 뒤늦게 웨이버 공시가 떴다. 은퇴임에도 임의해지가 아닌 웨이버로 처리되었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이후 구단에서 지도자 연수를 밟고 있는 가운데, 2022-2023시즌 호주 야구 리그에 참여하는 질롱 코리아의 투수코치로 선임되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NC 다이노스의 2군 투수코치도 맡게 되었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15260237)]}}} || || 2020년 8월 13일 롯데전 손정욱 피칭 하이라이트 || 준수한 제구력과 커브를 무기로 삼는 좌완 투수. 딱딱 끊어지는 괴랄한 투구폼과 더불어 좌타 상대로는 시야 밖에서 나오는 커브가 일품이다. 이 투구폼 때문에 타자들이 타이밍 맞추기가 까다로운 듯 하다. [[이병훈(야구)|이병훈]] 해설위원의 말대로 과거 [[최창호(야구선수)|최창호]]의 투구폼과 닮았다고 생각하는 팬들도 많다. 평균 130km/h 후반대의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체인지업, 스플리터도 던질 수 있다. 2015 시즌까지만 하더라도 [[노성호]]와 [[이민호(1993)|이민호]]에 더불어 선발승격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젊은 계투로 손꼽혔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3 ||<|10> [[NC 다이노스|NC]] || 32 || 20⅓ || 0 || 1 || 0 || 1 || 0.000 || 1.77 || 15 || 2 || 11 || 10 || 5 || 4 || 1.18 || || 2014 || 67 || 44 || 2 || 1 || 1 || '''16'''[br](5위) || 0.667 || 4.70 || 40 || 3 || 26 || 38 || 24 || 23 || 1.48 || || 2015 || 20 || 23⅓ || 1 || 0 || 0 || 0 || 1.000 || 6.56 || 37 || 3 || 9 || 17 || 17 || 17 || 1.97 || || 2016 ||<-15><|2> 1군 기록 없음 || || 2017 || || 2018 ||<-15><|2> 군복무(사회복무요원) || || 2019 || || 2020 || 16 || 12 || 0 || 0 || 0 || 0 || 0.000 || 5.25 || 16 || 1 || 6 || 5 || 8 || 7 || 1.75 || || 2021 || 15 || 12⅓ || 1 || 0 || 0 || 0 || 1.000 || 6.57 || 17 || 1 || 7 || 8 || 9 || 9 || 1.95 || || 2022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br](5시즌)''' || 150 || 112 || 4 || 2 || 1 || 17 || 0.667 || 4.82 || 125 || 10 || 59 || 78 || 63 || 50 || 1.61 || == 여담 == * 2016년 결혼해 자녀도 있다. 결혼 후 허리 통증과 팔꿈치 수술 후 재활로 힘든 시기에 아내가 많이 격려해주고 도와줬다고 한다. * 상기했다시피 NC 팬들은 '''손나우'''로 부른다. 2014년 4월 24일 SK전에서 데뷔 첫 승을 거둔 후 수훈선수 인터뷰에서 '이제'라는 단어를 총 34번이나 썼기 때문이다.[[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79031|#]] * NC 다이노스 내에서 최초로 [[원클럽맨]]으로 은퇴한 선수이다. * 생일이 [[크리스마스 이브]]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0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2022년 은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도곡초등학교 출신]][[분류:덕수고등학교 출신]][[분류:경희대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NC 다이노스/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