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4 '''{{{#ffffff 손현주의 간이역}}}''' }}} {{{#ffffff ''Son Hyunjoo's little station''}}} || ||<-3>[youtube(FqZSwLzylR8, width=500, height=300)] || ||<-3> [[파일:손현주의 간이역.png|width=150]]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시청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MBC15.png|width=22]]]] (주제, 언어) || ||<-2> {{{#ffffff '''본방송[br]시간'''}}} ||[[토요일]] 21:50 ~ 23:10 || ||<-2> {{{#ffffff '''방송 기간'''}}} ||[[2021년]] [[2월 27일]]([[토요일|토]]) ~ [[2021년]] [[7월 10일]][br] '''([dday(2021-02-27)]일)'''[br] || ||<-2> {{{#ffffff '''제작'''}}} ||[[MBC]] 콘텐츠협력센터, ASCENDIO[* 외주 프로덕션.], [[한국철도공사]] || ||<-2> {{{#ffffff ''' 본방송 채널 ''' }}} ||[[MBC]] || ||<|4> {{{#ffffff '''제작진'''}}} || {{{#ffffff '''기획'''}}} ||김형윤 || || {{{#ffffff '''프로듀서'''}}} ||민운기 || || {{{#ffffff '''작가'''}}} ||이민정, 김민지, 양규옥, 강솔지, 윤종빈, 김보람, 최선, 백수희, 이시우 || || {{{#ffffff '''연출'''}}} ||주명수, 박상준, 박상진, 이지선, 박정은, 이슬, 오예솔, 장현경, 엄기현, 권아람, 김상아, 김선진, 김민정 || ||<-2> {{{#ffffff ''' 출연진 ''' }}} ||[[손현주]], [[김준현]], [[임지연]] || ||<-2> {{{#ffffff ''' 링크 ''' }}} ||[[http://program.imbc.com/whistle-sto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x6jsZ02B4K3SECUrkgPyz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tv.naver.com/mbc.whistlestop|[[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 간이역을 통하면 세상과 이어진다! > 소통의 상징 ‘간이역’이 사라지지 않도록 > 역장 손현주와 역무원 김준현 & 임지연이 > 불철주야 전국 순회 근무에 나섰다! > > 비대면 시대, 낭만과 여유로 눈호강을 책임지며 > 코로나 19로 지친 국민들에게 힐링을 선사! > > 손역장님이 보우하사 아날로그 갬성 가득한 > <간이역>에서 잠시 쉬었다 가실래요? [[http://program.imbc.com/whistle-stop|공식 홈페이지]] 2021년 2월 27일부터 방영을 개시한 MBC 토요 예능 프로그램. [[손현주]], [[김준현]], [[임지연]]을 메인 출연자로 하여 매 회차 게스트 2~3인을 초청, 전국의 [[간이역]]에서 역무원 체험 및 해당 간이역이 있는 시골 마을의 생활을 체험해 보고 인근 명승지도 돌아는 콘셉트의 프로그램이다. 한 마디로 '''철도판 [[삼시세끼]] + [[한국인의 밥상]] +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시골에서 현업 체험이라는 측면은 동시기 방영작인 [[어쩌다 사장]]이나 [[윤스테이]]와도 유사하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철도공사]] 홍보문화실과 협업 제작하였다. == 소개 == 이름에 '간이역'이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간이역에서 일하는 역무원 모습만 보여주는 게 아니라 간이역이 소재하고 있는 동네 전체를 무대로 스케치하듯 일상을 담아내고 있다. 약간 [[치유계]] 느낌이 나는 잔잔한 편집이 특징으로, 실제로 기획의도에서도 힐링 예능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마치 영화 [[리틀 포레스트]]를 연상케 하는 면이 있는데, 실제로 제1회 에피소드 촬영지는 리틀 포레스트 촬영지인 [[경상북도]] [[군위군]]에 있는 [[화본역]]이기도 하다. 프로그램 내에서 [[손현주]]는 명예 역장으로 임명되어 1박 2일 또는 2박 3일간 역무원 업무를 맡는다. 그리고 역장을 보조하는 역무원 역할로 개그맨 [[김준현]]과 배우 [[임지연]]이 투입되었다.[* 김준현의 야간 근무는 통편집되었다.] 그리고 2일차에 게스트가 합류하여 새로운 이야기거리를 추가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철도판 삼시세끼 아니냐 하는 얘기도 간간이 보이는데, 마침 1, 2화 게스트가 [[삼시세끼]] 어촌편의 [[유해진]]이고 그리고 경북 군위가 고향인 [[김상호]]이다. 그리고 이들 게스트가 한 일이 타는곳(플랫폼)에 목공 벤치를 만들어 주는 것이었다. 여러 모로 삼시세끼 어촌편이 생각나는 대목.] 프로그램 초반에 "본 프로그램 내의 역장이 하는 일은 실제 역무원 업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라는 고지가 나가는데, 실제로 손현주는 1, 2화에서 하루 6회 정차[* 상행 3회, 하행 3회 무궁화호.]할 시 승강장 업무 외에도 게스트를 이끌고 인근의 박물관[* "엄마 아빠 어렸을적에". 폐교된 산성중학교 건물을 이용하여 6070 시절 옛날 박물관을 재현해놓았다.]이나 [[급수탑]], 혹은 차로 15분 정도 거리의 고택 마을인 부계면 한밤마을을 방문하는 등 쇼를 이끌어나가는 메인 진행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 동안의 역무는 김준현이나 임지연의 몫. 4화에서의 경우 삼탄역 명물인 느린 우체통 엽서 사진 촬영을 위해 손현주, 임지연과 게스트 [[박성웅]]은 탄금대로, 김준현과 게스트 [[오대환]]은 낚시터로 나가게 되자 실제 삼탄역 부역장님이 다시 업무에 복귀하셔서 업무를 보는 모습도 보인다.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진행하는 듯. 또한 출연진들이 마을 회관에 숙소를 잡으며 지역 어르신들이 막걸리와 지역 특산물로 된 저녁상을 차려주기도 하고, 역전 상회 가게를 봐주거나 심지어 멀리 떨어진 영천 시내 시장에까지 어르신들을 픽업하러 다니는 등, 간이역 역무원과 지역 주민간 교류하는 장면도 작중에 많이 담아내고 있다. 때문에 전체적으로 차분한 [[6시 내고향]] 같은 느낌이 나기도 한다. 원래 10부작의 파일럿 성격이 강한 프로그램이었지만, 최근 시골 주민들의 호평으로 인해서 시청률이 저조하긴 했어도 방송 연장이 결정되었고 횟수는 논의 중이라고 한다.[* 명목상 예능으로 분류되긴 하지만, 사실상 방식은 다큐와 다름없어 제작비가 비교적 적게드는 점도 한몫한다. 그리고 연기파 배우가 중심이 되어 진행하다보니 산만하지 않고 잔잔한 감동을 주는 부분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일단 첫 시즌은 20회 백양사역 편으로 종료되었다. == 주 업무분담 == * '''손현주''' : 명예역장 / 승객맞이, 선로점검 * '''김준현''' : 명예역무원 / 코로나 19 방역 * '''임지연''' : 명예역무원 / 매표, 화장실 몰카점검 == 회차별 정보 == * 촬영지 작성법 : 광역시/도 시/군 철도노선명 간이역명 || '''{{{#8888b8 화수}}}''' || '''{{{#8888b8 촬영지}}}''' || '''{{{#8888b8 게스트}}}''' || '''{{{#8888b8 역무 에피소드}}}''' || '''{{{#8888b8 주변 관광지}}}''' || '''{{{#8888b8 방영일}}}''' || '''{{{#8888b8 시청률}}}'''[* 닐슨코리아 전국구 기준.] || || 1 ||<|2> [[경상북도]] [[군위군]][br][[중앙선]] [[화본역]] ||<|2> [[유해진]][br][[김상호(배우)|김상호]][* 화본역이 있는 경북 군위가 고향이다. 이후 촬영분들을 보면 해당 간이역이 있는 동네 출신 게스트들이 초대되는 듯하다.] ||<|2> 나무 벤치 만들기 ||<|2> [[급수탑]][br]구 산성중학교[br]한밤마을 || 2021.02.27 || 2.6% || || 2 || 2021.03.06 || 3.0% || || 3 ||<|2> [[충청북도]] [[충주시]][br][[충북선]] [[삼탄역]] ||<|2> [[박성웅]][* 박성웅은 삼탄역이 있는 충주가 고향이지만 지역연고 외에도 오대환과 함께 출연하는 신작 '더 와일드' 영화의 홍보 목적으로 겸사겸사 출연. 이 회차 방송 이후(4월 2일) 영화가 곧 크랭크인한다고 밝혔다.[[https://entertain.v.daum.net/v/20210331074710191|#]]][br][[오대환]] [* 아버지께서 기관사로 근무하셨다.]||<|2> 느린 우체통 엽서사진 촬영 ||<|2> [[탄금대]][br]충주조정지댐 || 2021.03.13 || 2.2% || || 4 || 2021.03.20 || 2.3% || || 5 ||<|2> [[전라남도]] [[화순군]][br][[경전선]] [[능주역]] ||<|2> [[고아성]][br][[이동휘]][br][[신정근]][* 화순 출신은 아니지만 인근의 [[전라남도]] [[영광군]]이 고향이다.] ||<|2> 봄맞이 대청소[br]역명판 그리기[br]화단 가꾸기 ||<|2> 영벽정 || 2021.03.27 || 2.1% || || 6 || 2021.04.03 || 3.6% || || 7 ||<|2> [[경상북도]] [[상주시]][br][[경북선]] [[청리역]] ||<|2> [[임수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출신.][br][[안보현]][*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지만 [[대구광역시|대구]]에서도 산 적 있다. 이번 회차는 경북 상주라는 배경에 연관있는 남동지역 출신 배우들을 섭외했다.] ||<|2> 갤러리 만들기 ||<|2> [[경천대]] || 2021.04.10 || 3.2% || || 8 || 2021.04.17 || 3.0% || || 9 ||<|2> [[충청남도]] [[논산시]][br][[호남선]] [[연산역(호남선)|연산역]] ||<|2> [[라미란]][br][[민호]][br][[온주완]] ||<|2> 그네 만들기[br]철도체험관 안내 ||<|2> 탑정호 || 2021.04.24 || 2.7% || || 10 || 2021.05.01 || 1.9% || || 11 ||<|2> [[강원도]] [[삼척시]][br][[영동선]] [[신기역(영동선)|신기역]] ||<|2> [[소이현]][br][[인교진]] ||<|2> 건널목 안전 표지판 만들기[br]태극기 교체[br]온도계 가림막 보수[br][[코레일톡|열차 예매 앱]] 사용방법 알려주기[br]환영 명판[* 어서오우야~] 만들기[br]가이드맵 만들기 ||<|2> [[정동진역]][br][[동해산타열차]][br]소망의탑[br]삼척해상케이블카[br]장호항전망대[br][[환선굴]] || 2021.05.08 || 3.4% || || 12 || 2021.05.15 || 3.2% || || 13 ||<|2> [[전라남도]] [[목포시]][br][[호남선]] [[임성리역]][br](feat. [[목포역]]) ||<|2> [[고창석]][br][[손담비]][br][[김우석(1996)|김우석]] ||<|2> [[목포역]] 지원근무[br]고하도 어민들과 [[굴(어패류)|굴]] 캐기[br]달리도에 학생 책 가져다 주기[br][[임성리역]] 역사 꾸미기[br][[호남선]][* [[광주송정역]] ~ [[목포역]] 구간] 가이드맵 만들기 ||<|2> [[목포해상케이블카]][br]시화골목[br] || 2021.05.22 || 2.8% || || 14 || 2021.05.29 || 2.7% || || 15 ||<|2> [[충청북도]] [[옥천군]][br][[경부선]] [[이원역]][br](feat. [[지탄역]]) ||<|2> [[정웅인]][br][[최원영]] ||<|2> 출입금지 팻말 만들기[* [[경부선]] 본선 특성 상 통과열차가 자주 오감.][br]승강장 의자 도색하기[br]북카페 만들기[* 책갈피 사진 찍기 포함][br][[복숭아]] 농장에서 열매 솎기[br]순직철도인위령원, [[지탄역]][* 역 순찰] 다녀오기[br]일손돕기[* 화분 옮기기, 대문 페인트 칠하기][br] ||<|2> [[대청호]][br]화인 산림욕장[br]순직철도인위령원 || 2021.06.05 || 3.2% || || 16 || 2021.06.12 || 2.9% || || 17 ||<|2> [[경상북도]] [[청도군]][br][[경부선]] [[남성현역]] ||<|2> [[장혁]][br][[채정안]] ||<|2> 매표업무 제외한 역무업무[br]선풍기 6대 청소하기[br]역사 출입문 개폐하기[* [[경부선]] 본선 특성 상 열차가 많이 다니고, 구포 경유 및 경전선 [[KTX]]도 통과한다.][br]캣타워 조립하기[br]고객게시판 및 오디오가이드 만들기[br][[흑염소]] 돌봐주기[* feat. 제초 작업][br]장독대 및 냉장고 청소 ||<|2> 군파크루지[br]청도와인터널[br]남산계곡[br]다로리 벽화마을 || 2021.06.19 || 3.7% || || 18 || 2021.06.26 || 3.0% || || 19 ||<|2> [[전라남도]] [[장성군]][br][[호남선]] [[백양사역]] ||<|2> [[김재원(배우)|김재원]][br][[소유진]] ||<|2> 승강장 출입문 개폐하기[br]백양사역 ASMR 제작하기[br]구두닦기[br]마늘농장 일손돕기[br]자전거 주차대 리페인팅[br]농기계 세차하기 ||<|2> 백암산 [[백양사]][* 내장산 내장사][br]버기카 레이싱[* [[담양군]] 소재] || 2021.07.03 || 2.5% || || 20 || 2021.07.10 || 4.2% || 철도 방송인 특성상 철도 동호인이 많이 볼 것으로 예상되기 쉬운데, 그런 것 치고는 철도 갤러리나 SNS에 별로 얘기가 안 올라온다. 토요일 후반야 근무 걸린 현업 분들은 이 시간대에 출근해 계시기 때문에 안 주무시면 가끔 보는 듯. 시청률 분석 해 보면 주요 시청대층은 지방에 연고를 둔 중장년층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회 시청률은 4.2%로 자체 최고 시청률로 시즌1을 마무리 했다. === 회차별 먹을거리 정보 === 각 회차마다 지역 명소 외에도, 그 지역 특산물로 만든 음식들이 들어가 있다. 보통은 크루들 숙소로 사용하는 마을 회관에 동네 어르신들이 저녁 식사를 차려주는 형식으로 등장한다. * 1화 : 막걸리, 화전 * 5화 : 짱뚱어탕 * 17회 : 웅티기 * 18회 : 청도산 [[한우]]로 만든 [[차돌박이]] 된장찌개와 [[갈비찜]] (회차별 추가 중) == 촬영 역별 현황 == === 정차 횟수 === 23년 11월 01일 기준 (잘못된 사항 있으면 수정 바람.)[br] ☆ 매표업무를 하고있는 역 || '''{{{#8888b8 순번}}}''' || '''{{{#8888b8 촬영지}}}''' || '''{{{#8888b8 정차 횟수}}}''' || '''{{{#8888b8 역등급 구분}}}''' || '''{{{#8888b8 비 고}}}''' || || 1 || [[중앙선]] [[화본역]] || 상행 3회, 하행 3회 || [[운전간이역]] || ☆ || || 2 || [[충북선]] [[삼탄역]] || 상행 4회, 하행 5회 || [[배치간이역]] || ☆ || || 3 || [[경전선]] [[능주역]] || 상행 4회, 하행 4회 || [[운전간이역]] || || || 4 || [[경북선]] [[청리역]] || 상행 5회, 하행 5회 || [[무배치간이역]] || || || 5 || [[호남선]] [[연산역(호남선)|연산역]] || 상행 7회, 하행 4회 || [[보통역]] || ☆ || || 6 || [[영동선]] [[신기역(영동선)|신기역]] || 상행 6회, 하행 4회 || [[보통역]] || || || 7 || [[호남선]] [[임성리역]] || 상행 2회, 하행 1회 || [[보통역]] || ☆ || || 8 || [[경부선]] [[이원역]] || 상행 4회, 하행 4회 || [[보통역]] || || || 9 || [[경부선]] [[남성현역]] || 상행 4회, 하행 4회[* 주말, 공휴일 상행 3회, 하행 3회] || [[보통역]] || || || 10 || [[호남선]] [[백양사역]] || 상행 11회, 하행 11회 || [[보통역]] || ☆ || === 이전역 / 다음역 === || '''{{{#8888b8 순 번}}}''' || '''{{{#8888b8 노 선 명}}}''' || '''{{{#8888b8 ≪}}}''' || '''{{{#8888b8 촬 영 지}}}''' || '''{{{#8888b8 ≫}}}''' || || 1 || [[중앙선]] || [[우보역]][br][[탑리역]] || [[화본역]] || [[봉림역]][br][[신녕역]] || || 2 || [[충북선]] || [[동량역]][br][[충주역]] || [[삼탄역]] || [[공전역]][br][[봉양역]] || || 3 || [[경전선]] || [[이양역]] || [[능주역]] || [[화순역]] || || 4 || [[경북선]] || [[옥산역]] || [[청리역]] || [[상주역]] || || 5 || [[호남선]] || [[개태사역]][br][[계룡역]] || [[연산역(호남선)|연산역]] || [[부황역]][br][[논산역]] || || 6 || [[영동선]] || [[마차리역]][br][[도계역]] || [[신기역(영동선)|신기역]] || [[상정역]][br][[동해역]] || || 7 || [[호남선]] || [[일로역]] || [[임성리역]] || [[목포역]] || || 8 || [[경부선]] || [[옥천역]] || [[이원역]] || [[지탄역]] || || 9 || [[경부선]] || [[삼성역(경부선)|삼성역]][br][[경산역]] || [[남성현역]] || [[청도역]] || || 10 || [[호남선]] || [[노령역]][br][[정읍역]] || [[백양사역]] || [[안평역(호남선)|안평역]][br][[장성역]] || == 기타 == * 한국철도(코레일) 홍보문화실에서 협업제작하고 있는 철도를 소재로 한 예능프로그램이다. 철도문화 증진을 위해 크게 기여하고 있다. 홍보실 직원 중 [[철도 동호인]]이 있다는 소문이 있다. * 위 의견 중 일부는 바로 다음 회차에서 현실이 되었다. 3화 예고편에서 [[박성웅]]이 "간이역이라며~!!!!"[* 그런데 실제 3화에 나온 삼탄역은 간이역이 아닌 [[보통역]]이다.]를 외치며 제설하는 장면이 송출되었다. 실제 본방에서는 제설 장면이 아닌 도라지 캐는 장면에서 나왔다. 그리고 나중에 가면 "손현주의 [[체험 삶의 현장]]"이라든가 "손현주의 '''노역'''", "손현주의 고역" 같은 셀프디스가 등장한다. * 역무원을 콘셉트로 잡았기 때문에 실제 역장이 하는 일도 방송에 등장한다. 여객 취급 시 수신호라든가 차단기 조작, 전화 민원 응대(의외로 이게 많다). 그 중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업무 개시 전 음주 측정. 과거 철도청 시절 시골에서 놀 거리가 없는 역무원들이 밤새도록 술을 마시고 고주망태가 된 채 다음날 업무에 투입되기 일쑤였기 때문에 생긴 규정인데, 이게 코레일 내규가 아니라 무려 '''법정 사항'''[* 철도안전법 제41조 하위 규정인 국토교통부 훈령 제 1551호, '철도종사자 음주 또는 약물사용 확인․검사 등에 관한 규정']이라고 한다. 어찌보면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 얘기.[* 당장 [[이리역 폭발사고]] 당시에도 직접적 화재 원인은 역무원의 갑질에 빡친 호송원이 막걸리를 먹고 촛불을 켜놓은 채 잠들어 버려서였다.] * [[간이역]]을 테마로 하는 예능이라 철도가 주 무대일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관차에 붙어 있는 [[한국철도공사]] 로고에 전부 모자이크 처리를 하고 있다.[* 코레일은 공기업이라 국영에 가깝기 때문에 거의 모든 프로그램은 코레일 로고를 모자이크 처리하지는 않지만 일부 프로그램은 여전히 코레일 로고를 모자이크 처리하고 있다.] 다만 13화 부터는 모자이크 처리가 되어 있지 않고 있다. * "전국 257개 [[간이역]][* 간이역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이중에 [[쌍용역]]이나 [[행신역]](여긴 '''[[KTX]]'''까지 다닌다!!)같이 [[수도권 전철]]이 다니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시골 간이역같지 않은 간이역도 많다.]을 살리기 위한 프로그램"이라는 모토를 내걸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화 촬영지인 [[화본역]]은 [[중앙선]]이 전철화되면서 폐역될 예정이다. 선로가 군위군 의흥면쪽으로 이설되기 때문에 화본역을 승계하는 새로운 [[군위역]]이 생기며, 현재의 화본역 부지에 열차는 더 이상 안 들어올 예정. 3번째 촬영지인 [[능주역]]도 현 계획대로라면 [[경전선]]이 나주혁신도시 쪽에서 보성으로 바로 질러가게 되어, 폐역 수순을 밟을 예정이다. 7번째 촬영지인 [[목포역]]은 간이역이 아니라 1급 관리역인건 덤[* 메인은 임성리역이고 파견근무이긴 했다.] * [[화본역]]에서 출연진들이 발권 업무를 하는 장면에서 옥에티가 하나 있는데, [[화본역]]-[[부전역(동해선)|부전역]] 구간을 조회하고서는 정작 열차번호가 #1702 로 나와 있다. 게다가 아래쪽에 뜨는 열차 조회내역에는 [[충북선]] 열차가 가득. 편집 과정에서 다음 촬영지인 [[삼탄역]]에서 찍은 매표업무 화면 영상을 갖다붙인 것으로 추정된다. * 7화 마지막 장면에서 캠페인을 했는데, 간혹 무개념 내일로 승객이나 일부 사람들이 선로 위에서 사진찍는 문제가 생기자 과태료를 물 수 있다는 캠페인을 했다. * VOD 서비스가 제한적인 플랫폼에서만 이루어진다. 일단 IPTV, 케이블 TV, MBC 홈페이지에서는 VOD 서비스가 불가하고 네이버 시리즈온, 카카오페이지, [[Wavve]]와 후술할 [[TVING]]에서는 서비스가 되는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쿠팡플레이]]에서도 서비스가 되고 있다. * [[MBC]] 예능임에도 불구하고 OTT 서비스인 [[TVING]]에서도 서비스 중이다. 티빙 같은 경우 지상파 3사를 제외한 [[CJ]] 산하 케이블 채널과 [[JTBC]]의 컨텐츠를 주로 서비스 중이기에 간이역의 티빙 VOD 서비스는 이례적인 편. * 신기역에서 온도계 가림막([[백엽상]])을 흰색에서 노란색과 푸른색으로 칠했는데, 백엽상 항목에도 있듯 온도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흰색으로 칠해야 한다는 점에서 오류. * 백양사역에서 정관스님을 만났는데, 정관스님은 [[백양사]] 천진암의 주지스님이다. * 2023년 기준, 차기 시즌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그 사이에 출연진 중 [[임지연]]이 [[더 글로리]]로 글로벌적인 인기를 얻었다. [[분류:MBC 예능]][[분류:2021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1년 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