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송(춘추시대) 군주)] |||||| '''{{{#ece5b6 송(宋)나라 29대 국군[br]{{{+1 송공 계}}}[br]宋公 啓}}}''' |||||||||| |||| '''[[성씨|{{{#ece5b6 성}}}]]''' |||| 자(子) || |||| '''[[본관|{{{#ece5b6 씨}}}]]''' |||| 송(宋) || |||| '''[[휘|{{{#ece5b6 휘}}}]]''' || 계(啓) || |||| '''{{{#ece5b6 종증조}}}''' |||| [[송경공]](宋景公) 자란(子欒)[* 달리 자두란(子兜欒), 자두만(子頭曼)이라고도 한다.] || |||| '''{{{#ece5b6 증조부}}}''' |||| [[송원공]](宋元公) 자좌(子佐) || |||| '''{{{#ece5b6 할아버지}}}''' |||| 공자단진(公子褍秦) || |||| '''{{{#ece5b6 아버지}}}''' |||| 공손 주(公孫 周)[* 사기에서는 이름이 공손 규(公孫糾)로 기록되어 있다.]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469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송(춘추전국시대)|송나라]]의 제29대 [[군주]]. [[송원공]]의 증손. 공자 단진(公子褍秦)의 손자. 공손 주(公孫周)의 아들. [[송경공]]의 종손. [[춘추좌씨전]]에만 기록되어 있다. [[사기(역사책)|사기]]에 기록되지 않은 이유는 불명. == 생애 == 송 경공 47년(기원전 469년), 송 경공이 죽자 송 경공이 총애하는 신하 대윤(大尹)이 그를 옹립했다. 반대자는 우사 황완(皇緩), 대사마 황비아(皇非我), 사도 황회(皇懷), 좌사 영불완(靈不緩), 사성 악패(樂茷), 대사구 악주서(樂朱鉏) 등 6명의 대신들이었다. 그리하여 그 힘을 못이긴 대윤과 송공 계는 [[초(춘추전국시대)|초(楚)나라]]로 내쫓기고, 송공 계의 형제인 공손 특을 대신해서 세우니 그가 바로 송 후소공이다.[* 전에 [[송소공]]이 있었으므로 그렇게 불린다.] == 사기 기록과 상이한 점 == 전술한대로 사기에 송공 계가 기록되지 않았는데, 사기에서는 송 후소공이 송 경공의 태자를 죽이고 즉위했다고 하나 보다 당대에 가까운 춘추좌씨전 기록에서는 송 경공은 아들이 없어 그 빈틈을 송공 계가 노렸으며, 그러다가 대신들에게 쫓겨나 송 후소공이 즉위했다는 기록이 있어 전혀 딴판이다. [각주] [[분류:송나라의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