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여산 송씨]][[분류:고흥군 출신 인물]][[분류:1878년 출생]][[분류:1909년 사망]] || 성명 ||송기휴(宋基休) || || 이명 ||송기우(宋基佑) || || 본관 ||[[여산 송씨]] || || 생몰 ||[[1878년]] [[11월 7일]] ~ [[1909년]] [[8월 20일]] || || [[출생지]] ||전라도 흥양현[br](현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화산리)[* [[송영길(정치인)|송영길]] 국회의원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추서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송기휴는 1878년 11월 7일 전라도 흥양현(현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화산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6년 [[최익현]] 의진에 가담하고자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가 1908년 2월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안규홍]]이 의병을 일으키자 그의 의진에 입대하여 참모관에 임명되었고, 안규홍 의진에서 2년여 동안 크고 작은 전투에 참여하여 많은 전과를 올렸다. 1908년 2월 파청(巴靑: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예당리 파청마을) 전투, 4월의 비둘기재(鳩峙: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고읍리 구치마을)의 전투, 5월의 문덕면 양가랭이치 그리고 운월치(雲月峙) 등의 전투에서 적에게 큰 피해를 주었을 뿐 아니라 많은 군수품을 빼앗아 재무장할 수 있었다. 다만, 이 전투에서 유격장 [[안택환]]과 서기 [[임정현(독립운동가)|임정현]]이 전사하는 불행을 겪었다. 이때 그 뒤를 이어 송기휴는 유격장으로 임명받았다. 그는 1909년 7월 안규홍 의진이 해산될 때까지 [[보성군|보성]]·[[순천시|순천]]·[[광양시|광양]]·[[여수시|여수]]·[[돌산도|돌산]]·[[곡성군|곡성]]·[[남원시|남원]]·[[구례군|구례]]·[[장흥군|장흥]]·[[순창군|순창]] 일대에서 안규홍을 보좌하였다. 그러나 세력이 약화되어 일단 의병을 해산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던 중 안규홍·[[염인서]]·[[정기찬]]이 보성에서 체포되고 송기휴는 [[순천시|순천군]] [[낙안면]]에서 일본군에게 체포되었으나 끝내 굴복하지 않고 8월 20일 사살, 순국하였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으며,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