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white 프로게이머 [[송병구]]의 연혁}}}''' || || [[송병구/2008년 이전|2008년 이전]] || [[송병구/콩라인과 역경|콩라인과 역경]] || [[송병구/2009년|2009년]] || [[송병구/2010년|2010년]] || [[송병구/2011년|2011년]] || [[송병구/2012년|2012년]] || [[송병구/2013년|2013년]] || [[송병구/2014년|2014년]] || '''2015년''' || [[송병구/2016년|2016년]] || [목차] [clearfix] == 플레잉코치 전환 직후 == [[2015년]] 플레잉코치로 활동하면서 다른 팀에 비해 부족한 라인업으로 어느정도 선전하고 있지만, 에이스 카드였던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가 [[돌갈콩명]]에 가입할 만큼 충격적으로 프로리그에서 몰락하면서 '''[[홍명보| 송명보]](...)'''라는 오명을 얻고 말았다. 2015년 2월에 프로리그 첫 경기를 뛰었는데 김도욱과의 경기에서 눈에 띌 정도로 경기력 차이를 드러내며 완벽하게 패배하고 말았다. 선수로서의 생명은 이제 끝났다고 봐도 좋을 듯 하'''였었'''다... '''[[2015 HOT6 GSL Season 3|그런데...]]''' == 아직 버리지 않은 꿈.. == 플레잉 코치로 뛰면서 나올 수 있는 대회에는 모두 나오고 싶다던 송병구. 프로리그, 개인리그에서 모두 보이지 않던 그가 음지에서 그랜드마스터를 달며 전략 수집에 여념이 없었고, 다시 컨디션을 끌어올리는 모습이 스타2 래더에서 포착되면서 마지막 불꽃을 준비하고 있었다. 걸국 그 모습은 결실을 맺었다. '''[[카이바 세토|지금부터 아래의 내용은 위의 내용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 2015년 6월 이후 == 6월 10일, [[공허의 유채꽃]] 7화에 출연했다. 그리고 '''예능왕 송병구'''답게 가장 반응이 좋은 회차가 되었다. 입장 BGM이 김건모의 '''핑계'''인 것부터 시작해서 이른바 '''손라군'''으로 불리는 11년 유저의 취향 2에서의 드라군 흉내 다시보기와 경기하면서 빵빵 터지는 핑계들까지. 이 방송에서 송병구는 '''"선수로 잘할 자신이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틀 뒤 예선이 있다는 말과 함께. 그리고... 6월 12일, [[2015 GSL Season 3]] 코드 B 최종전에서 '''[[김대엽]]'''을 잡아내며 예선을 뚫고 '''1년만에 GSL에 복귀했다.'''[* 코드 A] 그리고 강민수는 송병구만도 못하다고 까였다(...) [* 그리고 그 강민수는 [[SBENU SSL 2015 Season 3|스타리그 챌린지]]에서 인간상성 김유진에게 3:2로 역관광당하며 탈탈 털렸다(...) 그나마 [[2015 GSL Season 3|GSL 코드 A]]에서 방태수를 잡으며 양대백수는 면했다.] 6월 24일, [[2015 KeSPA Cup Season 2|케스파컵 시즌2]] 예선에서 [[김명식(프로게이머)|김명식]]을 2:0으로 잡았다! [[프프전]]만큼은 아직 멀쩡한 듯하다. 유채꽃은 물론이고 --[[채민준|채]][[고인규|꽃]]의 [[거신(스타크래프트 2)|스플래쉬]] [[암흑 기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립]]을 [[광자포|말리는]] [[유대현|머현]]--[*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esports&category=starcraft2&listType=total&date=20150821&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134858&page=37|11분 30초경부터 보자.]]]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3440730&exception_mode=recommend|스갤에서도 환호]]했다. 그 와중에 삼성 선수들은 다 탈락해서 스갤에서 엄청나게 까였다. 하지만 송병구는 4강에서 방태수에서 1:2로 역전패하며 탈락했다. 스타 2에서는 생각보다 방태수와의 악연이 많다. GSL에서, 프로리그에서, 컵대회에서 항상 발목을 잡았던 사람이 바로 방태수였으니... 6월 25일, [[SBENU SSL 2015 Season 3|스타리그 시즌3]] 예선 8강에서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을 2:1로 꺾고 4강 듀얼에 진출했다. 1경기는 엘리전 끝에 패배했지만 2, 3경기는 추적자 컨트롤로 불리한 양상을 뒤집으며 승리를 따냈다. ~~그리고 [[성승헌|해]][[이승원(게임 해설가)|설]][[고인규|진]]들은 송병구 드립에 여념이 없었다~~ 그러나 4강 듀얼 최종전에서 [[김정훈(1994)|김정훈]]에 2:0으로 패배했고 와일드카드전에서는 김민규에 패배해 탈락했다.[* 와일드카드는 [[고석현]]이 가져갔다.] 하지만 최근들어 선전하는 모습에 후배들이 감명이라도 받았는지 상당히 많은 [[삼성 갤럭시 칸|삼성 갤럭시]]의 [[이영한|선]][[백동준|수]][[강민수(프로게이머)|들]][[서태희|이]] 예선을 통과했다. 7월 9일, [[2015 GSL Season 3]] 코드 A -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37854&iskin=esports|'''신비로운 타이밍 러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3488520&exception_mode=recommend|--취권--]]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3488560&exception_mode=recommend|--다전제 판짜기 능력--]] 2세트에서 CJ 소속 [[신희범]]의 유연한 체제 변환 후 [[무리 군주]]에 밀리기는 했지만, 제련소 더블을 이용한 교란 후의 --취권--점추 파수기 타이밍 러시를 통해 신희범을 3:1로 꺾고 3번째로 GSL 코드 S 무대에 올랐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236&article_id=0000124885|'''1년 만에.''']] 이번 코드 S 진출은 사실상 감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었기에 대단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야 [[삼성 갤럭시 칸|이 팀]]은 감독이 코드 S를 가네효~~ 나이도 있고 테막의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저그가 유리한 맵이 많은 이번 GSL에서 다시 불꽃을 태울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7월 9일 경기 후 이야기 1. 이날 스갤의 오늘의 본좌/막장 투표에서 압도적 지지율로 본좌와 막장을 동시 석권했다(...) 본좌는 송병구 '''선수'''로, 막장은 송병구 '''플레잉 코치'''로. 2. 이 경기 후 [[채민준]] 캐스터는 트위터에서[[http://twitter.com/chaeminjoon/status/619133385856802816|'''외쳐 갓구!''']]라는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3488901&exception_mode=recommend|글을 남겼고]], [[브로콜리 너마저]]의 [[윤덕원]]도 트위터에 [[https://twitter.com/yoondw/status/619133536927232000/photo/1|'''뱅구야 엉엉 ㅠㅠ''']]라고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3488746&exception_mode=recommend|남겼다.]] 3. 인터뷰에서 여러 이야기가 나오다가 GSL의 구호 ''''에너지업 파워, 핫 식스!''''를 외쳤다. 그리고 핫식스 '''540캔'''이 삼성 숙소에 도착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3521737|기사]]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3521056&exception_mode=recommend|트위터]] 더 중요한 것은, 이 선물은 핫식스 상무가 아니라[[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esports&category=starcraft2&listType=game&date=20150720&gameId=20150720starcraft25218&teamCode=&playerId=&keyword=&id=139551&page=1|'''개인 팬'''이 보낸 것이었다.]][* 7분 13초부터 보자. 수량 '''540캔'''도 여기서 밝혀진 것이다.] '''[[뱅리건]]은 죽지 않았다.''' 7월 27일 올라온 [[2015 GSL Season 3|GSL]]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442&article_id=0000019942|32강]]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347&article_id=0000075313|대진표]]에 의하면 C조에 배정되었는데 '''[[김유진(프로게이머)|하필]][[정우용|이면]] [[이승현(1997)|상대가]]'''(...) '''죽음의 조에 끼고 말았다.''' 8월 7일, 인터뷰 매거진이 올라왔다. 제목은,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064&article_id=0000004575|'총사령관' 송병구, 노장은 죽지 않았다]].''' 그러나 그 간지폭풍의 인터뷰가 무색하게도, '''죽음의 조'''에 끼고 만 송병구의 [[2015 GSL Season 3|GSL]]은 [[김유진(프로게이머)|2:1패]], [[넥라|2:0패]]로 '''허무하게 끝나고 말았다.''' 아무리 총사령관이라 해도, '''나이는 속일 수 없었던 모양이었나 보다.''' --그 넥라는 최종전에서 [[정우용|뿅카닉]]에 탈탈 털리며 양대리그 광탈-- 8월 10일, [[프로리그 2015/4라운드|프로리그 4라운드]] 4주차 CJ전 에이스 결정전에서 강민수를 기용, 승리를 거둠으로써 강민수에 대한 믿음이 4라운드에 와서야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 8월 18일, [[프로리그 2015/4라운드|프로리그 4라운드]] 5주차에서 팀이 3:2로 에결에서 패배하였으나, 3승 2패 득실차 +2로 3위에 올라 있다. 8월 25일, [[프로리그 2015/4라운드|프로리그 4라운드]] 6주차, 에이스 결정전. 철옹성에 '''김기현'''을 내보냈다. 상대가 이원표였기에 모두들 1시간 이상의 메카닉 초장기전을 노린 것으로 보고 있었으나, 김기현이 준비한 것은 공학 연구소 2동과 전투 자극제. 그러니까 '''메카닉이 아닌 바이오닉이었다.''' 그리고 김기현이 승리하며 송병구의 수는 적중했다. 팀은 4승 2패, 득실차 +3으로 +6인 CJ에 이어 3위를 수성했다. 김기현은 이 후 인터뷰에서 거대한 떡밥을 투척했는데, 바로 '''[[이영호|꼼]][[송병구|뱅]]록'''이었다. 8월 29일, [[2015 GSL Season 3|GSL]] 조지명식에서 강민수의 대리자로 나와 '''조지명식 최후반 전체를 사실상 혼자 꿀잼으로 만들었다.''' 그 결과, 강민수는 정윤종의 우승자 권한 행사에 의해 이영호와 위치가 바뀌어 C조로 이동하였고 한지원(Z), 주성욱(P), 박령우(Z)를 상대하게 되었다. 송병구가 이 때 발언한 내용들은 '''[[페르마의 대정리|여기 적기에는 여백이 너무나도 좁기 때문에]]'''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esports&category=&listType=total&date=20150829&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147462&page=1|링크]]를 통해 영상의 1시간 14분 40초대부터 보자. 이 발언들을 통해 강민수를 구원함과 동시에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442&article_id=0000022161|조지명식의 우승자에 등극했다.]] 11월 15일에는 공허의 유산 발매 후 공허의 유산으로 개최되는 첫 대회인 샌디스크배 샤우트크래프트 인비테이셔널[* Axiom의 구단주가 개인적으로 주최하는 대회다.]에 초청받아 출전했는데, 8강에서 자기가 지도하는 강민수에게 1경기는 한방 싸움에서, 2경기는 날빌에 당해서, 3경기는 날빌이 들켜서 3:0으로 허무하게 패하여 탈락했다. ~~그리고 황영재 왈 강민수는 한동안 야식이 금지될거란다~~ 12월에는 [[2016 SSL Season 1]] 예선에서 16강,8강을 무난히 아마추어들에게 2:0 2:0 승리를 거두었지만, 4강에서 [[한이석]]에게 아쉽게 2:1로 석패한 이후, [[박령우]]에게 0:2로 패하며 4위로 마감하였다. 다만 감독과 선수를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기량이 하락하지는 않은 것이라고 판단되고 있다. [각주] [[분류:송병구/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