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송(춘추시대) 군주)] |||||| '''{{{#ece5b6 송(宋)나라 21대 국군[br]{{{+1 성공}}}[br]成公}}}''' |||||||||| |||| '''[[성씨|{{{#ece5b6 성}}}]]''' |||| 자(子) || |||| '''[[본관|{{{#ece5b6 씨}}}]]''' |||| 송(宋) || |||| '''[[휘|{{{#ece5b6 휘}}}]]''' || 왕신(王臣) || |||| '''{{{#ece5b6 아버지}}}''' |||| [[송양공]](宋襄公) 자자보(子玆父), 자자보(子玆甫)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620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636년 ~ 기원전 620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송(춘추전국시대)|송(宋)나라]]의 제21대 군주. [[송양지인]](宋襄之仁)으로 유명한 [[송양공]](宋襄公)의 아들. [[송공어]]의 형. [[송소공]], [[송문공]]의 아버지. == 생애 == 송 성공 원년(기원전 636년), [[진문공]](晉文公)이 즉위했다. 송 성공 3년(기원전 634년), [[초(춘추전국시대)|초(楚)나라]]가 [[진(춘추오패)|진(晉)나라]]와 가까이 지냈는데, 그 이유는 [[초성왕]](楚成王)이 [[진문공]](晉文公)에게 은혜를 베풀었기 때문이다. 송 성공은 그것을 두고 불안하게 였는데, 진 문공이 그것을 의식했는지 당시 초나라에게 [[조나라|조(曹)나라]], [[위(춘추전국시대)|위(衛)나라]]를 쳤다.[* 물론 초나라에 직접 적대할 수 없어 초나라에 기운 제후국을 치는 겸에, 전에 길을 빌려주지 않은 한을 갚으려는 목적도 있다. 자세한 것은 [[진문공]] 항목 참조.] 송 성공 4년(기원전 633년), 초 성왕이 송나라를 치자 송 성공이 그것을 진(晉)나라에 알렸다. 송 성공 5년(기원전 632년), 진 문공이 송나라를 구하기 위해 성복에서 초군과 전투를 벌였다. 그리고 초 성왕은 [[명장]] [[성득신]](成得臣)을 보내 맞섰다.[* 그런데 정작 초 성왕은 이 전투에 소극적이었다.] 그런데, 성득신이 진 문공이 90리 물러주는 것을 보고 진나라 군대가 약하리라 판단해 덮쳤으나 거꾸로 진(晉)나라의 명장 [[선진]](先進)의 계략에 넘어가 탈탈 털렸고, 성득신은 돌아가 초 성왕의 명령으로 자결했다. 그리고 진 문공은 [[패자]](霸者)가 되었다. 송 성공 9년(기원전 628년), 진 문공이 세상을 떠났다. 송 성공 11년(기원전 626년), 초 성왕이 태자 상신에게 죽고, 태자 상신이 왕이 되니 그가 바로 [[초목왕]](楚穆王)이다. 송 성공 16년(기원전 621년), [[진목공]](秦穆公)이 죽었다. 송 성공 17년(기원전 620년), 송 성공이 죽고 그 아우 어(御)가 태자 급과 공손고를 죽이고 군주가 되었다. 그러나 곧 공자 저구(杵臼)에게 죽고, 그 공자 저구가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송 소공이다. [각주] [[분류:송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62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