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송재만}}}'''[br]'''宋在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송재만.png|width=100%]]}}} || || '''본명''' ||송요혁(宋堯爀) || || '''본관''' ||[[은진 송씨]] || ||<|2> '''출생''' ||[[1891년]][* [[http://db.history.go.kr/id/ia_2712_2105|1919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1896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10월 15일]][*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69&evntId=0034972139&evntdowngbn=Y&indpnId=0000004498&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1919년 12월 24일 판결문]]에는 8월 1일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 ||[[충청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br](현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 [[https://e-gonghun.mpva.go.kr/user/IndepCrusaderDetail.do?popup=popup&goTocode=20003&postYear=2021&postMonth=03|#]]] || ||<|2> '''사망''' ||[[1951년]] [[2월 27일]][* 대전현충원묘적부에는 2월 10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 ||[[충청남도]] [[당진시|당진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160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송재만은 1891년 10월 15일 충청도 태안군 이원면(현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에서 아버지 송명현(宋名鉉)과 어머니 [[양(성씨)|양씨]]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천안군]] 천안면 읍내리로 이주했다가 [[서산군]] [[대호지면]] 조금리에 정착했다. [[3.1 운동]] 이후에는 대호지면 두산리로 이주하기도 했다. 그 뒤 그는 대호지면사무소에서 심부름꾼으로 근무했는데, 그러던 1919년 함께 근무하는 김동운(金東雲), 강태완(姜泰玩)과 대호지면 유지 남계원(南桂元) 등과 상의 하에 대호지면장 [[이인정]]의 직인을 사용해, 도로보수를 위한 부역이란 명목으로 그해 4월 4일 대호지면사무소 앞 광장에 면민들을 모이게 하도록 각 마을 이장에게 통지하였다. 거사 당일인 4월 4일, 그는 수백명이 모인 대호지면사무소 광장에서 대호지면장 이인정, 면내 유지 남상학·[[남상은(1894)|남상은]] 등과 [[대한독립만세|조선독립만세]]를 선창하고 시위군중을 지휘하여 서산군 정미면 천의리 천의(天宜) 장터까지 행진하였다. 이날 정오에는 시위군중과 함께 경찰주재소를 습격하여 일본 경찰의 총칼을 빼앗으며 격렬하게 독립만세시위를 계속했다. 그 뒤 그는 일본 경찰의 검거를 피해 은신하여 1919년 6월 30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정치범 처벌령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중지로 [[불기소처분]]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11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4882&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내려지기도]] 했으나, 얼마 뒤 결국 검거되었다. 그리고 1919년 10월 24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소요, 보안법 위반, 출판법 위반, 강도, 공문서 위조 행사 등의 혐의로 징역 5년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11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4920&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선고받고]] 이에 공소하여 그해 12월 24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강도, 소요, 상해, 가택침입, 보안법 위반, 출판법 위반, 공문서 위조 행사 등의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69&evntId=0034972139&evntdowngbn=Y&indpnId=0000004498&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원심 판결 중 송재만 본인에 관한 부분이 취소되었으나]], 형기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는 이에 상고하였으나 1920년 2월 7일 고등법원에서 위 혐의들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841&evntId=0034979902&evntdowngbn=Y&indpnId=0000011711&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상고가 기각되어]] 당일 [[서대문형무소]]에 입소하여 옥고를 치렀다. 1925년 2월 6일 [[http://db.history.go.kr/id/ia_2712_2105|만기출옥한 후]]에는 서산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51년 2월 27일 별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송재만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2017년 6월 27일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에 이장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은진 송씨]][[분류:태안군 출신 인물]][[분류:1891년 출생]][[분류:1951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