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송파나루역'''}}} || ||<-3> [[서울 지하철 9호선|[[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30]]]] || || [[개화역|{{{-3 {{{#585858,#a7a7a7 개화 방면}}}}}}]][br][[석촌역|석 촌]][br]← 0.8 ㎞ || [[서울 지하철 9호선|{{{-3 {{{#ffffff 9호선[br](934)}}}}}}]] || [[중앙보훈병원역|{{{-3 {{{#585858,#a7a7a7 중앙보훈병원 방면}}}}}}]][br][[한성백제역|한성백제]][br]0.8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송파나루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Songpanaru || || [[한자]] ||<-2> 松坡나루 || || [[중국어]] ||<-2> 松坡渡口 || || [[일본어]] ||<-2> [ruby(松坡, ruby=ソンパ)]ナル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지하 446 ([[송파동]] 3번지) || ||<-3> '''역 운영기관'''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 9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 9호선}}}]] ||<-2> 2018년 12월 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섬식 승강장#s-5|섬식+외선 승강장]] || {{{+1 松坡나루驛 / Songpanaru Station}}} [목차] [[파일:attachment/Bangisageorist.jpg|width=500]] 역 조감도.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9호선]] 934번.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지하 446 ([[송파동]] 3번지) 소재. 2018년 12월 1일에 개통되었다. 2017년 9월 29일부터 10월 29일까지 동주민센터/이메일을 통해 역명 공모를 받았다. [[http://blog.naver.com/happysongpa/221108637110|#]] 2018년 5월 21일, 서울특별시 제1차 지명위원회 심의 결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097784|송파나루역]]'''으로 선정되었다. 초기 계획역명은 '방이사거리역'이었다. 방이시장 상인들이 ‘방이시장역’을 요청하였지만 서울특별시는 방이시장이 [[가락시장]]이나 [[영등포 시장|영등포시장]] 급의 큰 시장도 아니기 때문에 방이시장역은 부적절하다며 쿨하게 씹었다. 2018년 8월 9일, 서울특별시 고시 [[http://www2.seoul.go.kr/snews/data/CN_MST/2018-%C1%A63477%C8%A3-pdf.pdf#page=141&view=&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0|제2018-251호]]에 의거하여 송파나루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근처에 강이라곤 없는데 왜 송파나루라는 역명이 붙었냐 하면, [[을축년 대홍수]] 전에는 지금의 석촌호수는 송파강이라는 이름으로 한강 본류가 지나가는 곳이었고 지금의 한강 본류는 신천강이라는 이름으로 [[잠실새내역]] 이북으로 지나가는 지류였다. 대홍수가 모든 걸 쓸어버린 뒤 하천의 직강화가 일어나 신천강이 한강 본류가 되고 송파강이 말라 버리자 송파나루와 근처에 있던 송파시장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지하철 역명으로만 남아 있게 되었다. == 역 정보 == [[파일:34 송파나루.png|width=500]] [br] 역안내도 [[https://namu.wiki/w/%ED%8C%8C%EC%9D%BC:34%20%EC%86%A1%ED%8C%8C%EB%82%98%EB%A3%A8.png|크게보기]] [[백제고분로]]와 [[오금로]]가 교차하는 방이사거리에 있다. 그래서 가칭이 방이사거리역이었다. 섬식이지만 통과선이 바깥쪽에 있는 특이한 형태로, 9호선 승강장에선 이 역이 유일하다. 그 이유는 다른 섬식 승강장인 대피역의 경우 급행열차도 정차하지만 이 역은 섬식 승강장 대피역 중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유일한 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굳이 다른 선로와 붙어있는 승강장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 --2면 4선식 상대식 승강장이라면 어떨까-- 평일 출퇴근시간을 제외하고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을 포함한 대부분의 시간대에 이 역에서 급행 대피가 이루어진다. 2018년 10월 이후 [[가양역]], [[동작역]]과 함께 일반열차가 급행열차를 먼저 보낸다. == 역 주변 정보 == 방이동우체국, 석촌호수(동호) 등이 있다. 그리고 남동쪽으로 백제고분군, 방이시장이 있으며, 남서쪽에는 송리단길이, 북쪽으로 [[서울 지하철 8호선]] [[몽촌토성역]]이 있다. * 1번 출구: 방이삼거리, 석촌호수(동호), 송파1동, 석촌역 방면 * 2번 출구: 석촌호수(동호), 송파구청, 송파구보건소, 잠실우체국, kt송파지사 * 3번 출구: 방이2동주민센터, 서울방이초등학교, 방이동우체국, 방이동공영주차장 * 4번 출구: 방이중학교, 방이종합사회복지관 * 5번 출구: 방이1동주민센터, 방이전통시장, 방이동백제고분, 방산중학교, 방산초등학교 * 6번 출구: == 일평균 이용객 == ||<-10> [[서울 지하철 9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9호선'''}}}]]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6,082명 || 7,644명 || '''7,111명''' || * 2018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3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data.seoul.go.kr/dataList/datasetView.do?infId=OA-12252&srvType=S&serviceKind=1¤tPageNo=1|서울열린데이터광장]] * 2호선 [[잠실역]]과 8호선 및 9호선 급행 정차역인 [[석촌역]]이 상당히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역세권 인구에 비해 승하차량이 저조한 편이다. 게다가 방이2동은 [[한성백제역]]이 갈라먹는다. * 더군다나 인접한 방이1동, [[오금동(서울)|오금동]]은 [[올림픽공원역]]이 더욱 가깝고, 송파2동은 8호선으로 빠지기 때문에 역세권은 바로 붙어있는 송파1동 및 방이2동으로 한정된다. == 승강장 == 송파나루역은 1면 4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포함되었다. ||<-6> [[석촌역|석촌]] ↑ || || ㅣ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ㅣ || ||<-6> ↓ [[한성백제역|한성백제]]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 완행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여의도역|여의도]]·[[김포공항역|김포공항]]·[[개화역|개화]] 방면|| || {{{#ffffff 하}}} || 완행 ||[[올림픽공원역|올림픽공원]]·[[둔촌오륜역|둔촌오륜]]·[[중앙보훈병원역|중앙보훈병원]] 방면|| [[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201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9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