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남한 태백선에 있었던 동명의 폐역, rd1=송학역(태백선))] ||<-3> {{{+2 '''송학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Songhak Station,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onghak || || [[한자]] ||<-2> 松鶴 || || [[간체자]] ||<-2> 松鶴 || || [[일본어]] ||<-2> - || ||<-3> '''주소''' || ||<-3> [[함경북도]] [[은덕군]] 송학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청진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함북선]] ||<-2><|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240px]]]] || || [[춘두선]] || ||<-3> '''개업일''' || || [[함북선]] ||<-2> 1929년 11월 16일 || || [[춘두선]] ||<-2> 19??년 ??월 ??일 || ||<-3> '''철도거리표''' || || [[청암역|{{{#585858 {{{#!html
청암 방면
}}}}}}]][[신아산역|신아산]][br]← 7.3 ㎞ || '''[[함북선]]'''[br]송 학 || [[라진역|{{{#585858 {{{#!html
라진 방면
}}}}}}]][[학송역|학 송]][br] 5.9 ㎞ → || || {{{#585858 {{{#!html
기점
}}}}}} || '''[[춘두선]]'''[br]송 학 || [[춘두역|{{{#585858 {{{#!html
춘두 방면
}}}}}}]][[춘두역|춘 두]][br] 4.5 ㎞ → || {{{+1 松鶴驛 / Songhak Sta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함북선]]의 철도역. [[함경북도]] [[은덕군]] 송학리 소재. == 상세 == 네이밍은 심플하게 '학들이 많이 날아드는 소나무밭이 있군? 그러니까 넌 송학리.' 물론 [[일본 제국|일제]]의 네이밍센스다(...) [[태백선]]에 있는 [[송학역(태백선)|송학역]]과는 유래가 다른데, 그쪽은 송학산에서 따온 이름. 헌데 둘의 한자역명은 똑같다. 또한 이 역의 다음 역인 [[학송역]]과도 이름이 비슷한데, 학송역의 한자역명은 송학역을 뒤집어 놓은 것이기 때문에 한자만 봐서는 헷갈리기 딱 좋다. 이쪽 역명의 자세한 사항은 [[학송역]] 문서를 참고하자. 이 송학리는 다소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는데, 로동자구를 분리한 리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로동자구는 리의 상위 개념으로, 인구가 많은 리를 승격시켜서 로동자구로 부르는데, 명룡리를 흡수했다가 1987년에 이를 다시 분리할 때 명룡로동자구로 분리되어서 떨어져나간 것. 굉장히 괴상한 타이틀인 셈이다. [[대한민국]]에 빗대어서 표현하자면 면에서 읍이 떨어져나간 격이랄까. 그나마 대한민국의 경우 거주 이전의 자유라도 있지만, [[북한|윗동네]]는... 음... 인근에 산이 많아서 마을이 제대로 크지 못하는 지형이기 때문에 역세권 자체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인근의 민가의 수를 셀 수 있을 정도. 그런데도 선로와 역사는 의외로 반반한 편이다. 아마도 이 점 때문에 그런 듯. 서쪽으로 직선거리 1.8km 지점에 가면 명룡로동자구가 나온다. 해당 로동자구와 이 역 사이에는 산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북쪽으로 조금 돌아서 가거나 남쪽으로 은덕읍을 거쳐서 크게 우회해야 하는데, 이 지점으로 가면 탄전이 하나 기다리고 있다... '''그 유명한 [[아오지 탄광]]이.''' [[청진청년역]] 기점 254.3km. [[분류:함북선]][[분류:192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