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AlSM-k_CEAAGpsG.jpg_large.jpg|width=280]]|| ||[[파일:attachment/inkac2011_2.jpg|width=280]]|| || --아니 사진들이 왜 다 이래?[* 위 사진은 제 2회 실력테스트 대회 도전기에 올라온 사진. 아래 사진은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2011 피날레 라이브 도중에 보인 모습이다. 참고로 피날레 라이브 당일, '''숏쵸는 꽤 많이 망가졌다.''']-- || ショッチョー[* 처음 참여했던 기타프릭스 9th & 드럼매니아 8th에서는 ショッチョゥ였다.] [목차] [clearfix] == 개요 == [[BEMANI 시리즈/아티스트|BEMANI 시리즈의 작곡가]]. 본명은 사에키 시게하루(佐伯 茂治). 1978년[* 레미위키에서 밝혀졌다.] [[1월 27일]] 생. '''S-C-U'''라는 명의도 사용한다. [* 본인의 명의를 영어로 적으면 '''S'''HOT'''C'''YO'''U'''가 된다.([[FOR THE FINAL]]이나 [[Sky]]의 스태프롤에 이 이름으로 올라가 있다.) 이걸 줄여서 S-C-U라고 하는 듯 하다.[[ナナホシ]]의 EXTREME 보면 코멘트에서 [[맛스루]]가 S-C-U도 솟쵸라고 읽는다고 밝혔다.][* [[concon]]에서는 '''C.U.E'''라는 명의로 나왔다가 얼마 못가 본 명의인 S-C-U로 변경.][* 다른 BEMANI 시리즈에서는 이 명의를 주로 쓰지만, 기타도라나 팝픈뮤직에서는 본명의를 쓰는 것 같다.] '숏쵸'라는 명의의 유래는 불고기집에서 소장(小腸, 쇼쵸)만 먹기 때문이라고 한다.(...) BEMANI 시리즈의 첫 등장은 [[GUITARFREAKS 8thMIX & drummania 7thMIX]]로, 당시에 사운드 스탭으로 처음 크레딧에 올랐지만 곡을 투고하거나 하지는 않았고, 주로 판권 커버곡의 편곡 등을 맡았다. BEMANI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작곡을 담당한 것은 기타도라 V의 Destructive Wave로, [[이즈미 무츠히코]], [[Yuei]]와의 합작곡이었다. 주로 올디스한 분위기, 또는 그러한 곡조의 노래들을 작곡해 왔지만, 기타드럼 V6에서 그의 이전 노선하곤 많이 벗어난 편인 humming rabbit을 전환점으로 삼아 유비트 시리즈의 사운드 디렉터가 된 이후론 S-C-U라는 명의를 주로 사용하여 밝은 테크노 계 악곡을 작곡하고 있으며, 반대로 숏쵸라는 명의로 내놓는 곡은 거의 없다. 한때 생물 시리즈의 제목을 소문자로만 표기했었지만, [[Little Flipper]]이후로는 대문자도 같이 사용하고 있다.[* 생물 시리즈 곡의 특징으로는 [[유비트 시리즈]] 수록곡의 칭호가 '''그 생물에 대한 서술'''로 되어있다는 점으로, 이를 통해 이전부터 논란이 되어왔던 [[anemone]], [[ラキラキ]], [[終末を追う者]]들은 생물 시리즈가 아닌 것으로 토론을 통해 결정하였다. 이 구분법은 유비트 수록곡이 아니면 구분할 수 없지만 유비트 사운드 디렉터란 점 때문인지 모든 생물 시리즈 곡이 유비트에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이 전례도 [[ススススペースハリネズミ]]로 깨지게 되었다.--어떻게 구분하라고--] 덧붙이자면 좋아하는 동물은 [[개]]라는 듯.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2012|KAC 2012]]에서 '''[[유비트 시리즈/마커|마커]]'''로 뜬금없이 등장,[[http://p.eagate.573.jp/game/jubeat/saucer/p/special/scu_cup/index.html|이를]] 이용한 이벤트도 벌였다. 점수가 높은 순으로 총 10명을 뽑아 자필 문구를 남겨주기도(...) [[열투! BEMANI 스타디움]]에서 유비트 야구단 선수로 출전하며, 등번호는 02번. 일러스트가 [[턱돌이]]를 연상시킨다. 포지션은 [[파스텔군]]과 겹치는 포수. --파스텔군 안 굴려도 된다-- [[The 4th KAC]]에서 '''호오오오오오오오오'''라는 명대사(...)를 남겼다. 해당 항목 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pcjWwSS6MEU|링크]] [[https://youtu.be/qOovxE7UcRI|리사 리시아는 덤]] [[DANCERUSH STARDOM]]의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로케테스트 현장에 [[DJ YOSHITAKA]]와 함께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일본어 튜토리얼과 초보자 강좌의 나레이션이[* 영어 나레이션은 [[Des-ROW]].] 숏쵸의 목소리이기 때문. JAEPO 2014 코나미 스테이지에서 [[유비트 소서 풀필]]이 [[유비트 소서 풀필/발매 전 정보|공개]]되었는데, 디자이너들이 개발에 전념한다고 PT 자료를 숏쵸한테 '''[[https://twitter.com/greenwindkun/status/434563666394877952|맡겨버렸다(...)]]''' [[디자이너를 괴롭히는 방법|그 결과 나온 디자인]]은 가히 [[OME]]급. [[http://www.youtube.com/watch?v=WHGS1bnmkZ0&t=15m30s|15분 30초부터 유비트 파트]]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1, title=유비트 소서 풀필/발매 전 정보, version=18)] == BEMANI 시리즈에 제공한 곡 == 타 시리즈로 이식된 곡(리믹스 포함)은 동시수록 이외에는 최초 수록 시리즈에 적습니다.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 * V * '''Destructive Wave''' [[이즈미 무츠히코]], [[Yuei]]와의 합작 * V2 * '''[[香港☆超特急Z]]''' [[NAOKI(1969)|NAOKI]]와의 합작. --[[牛乳特急便|나중에 이 곡은 리메이크가 되는데...]]-- * V3 * '''戻らない恋''' 이 곡 역시 [[牛乳特急便|이 곡]]처럼 [[あさき|이 사람]]한테 리메이크 됐다. 다행히 이쪽은 진지하게 리메이크 되었다. * V4 * '''さよなら便り''' [[Handsome JET]]의 유작 * V5 * '''真夏の恋は ちゅらちゅらLove☆''' * V6 * '''[[humming rabbit]]''' * '''情熱 fun! fun!''' YAMATO組 명의. * XG/V7 * '''Egocentricity''' * XG2/V8 * '''Chance''' * XG3 * '''[[夏・KOI・ムッシュ!!]]''' * GITADORA * '''もぎたてANGEL''' YAMATO組 명의. 자켓의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rhythmgame&no=3653889|2차원화 된]] [[PON]], 숏쵸, [[TAG(작곡가)|TAG]], [[코에즈카 요시히코]]의 모습이 압권(...) * '''[[春待ち花]]''' * GITADORA Tri-Boost * '''ララバイ哀愁''' YAMATO組 명의 * GITADORA HIGH-VOLTAGE * '''Remember ~彼方から~''' === [[팝픈뮤직]] === * 15 어드벤쳐 * '''純愛ロマンス -PART 2-''' * 16 파티 * '''[[こなもん屋人情歌]]''' * 팝픈뮤직 해명 리들스 * '''[[The Lost Empire]]''' === [[유비트 시리즈]] === * knit APPEND * '''[[concon]]''' * copious APPEND * '''[[ナナホシ]]''' * saucer * '''[[Triple Journey(악곡)|Triple Journey -S-C-U EDITION-]]''' * saucer fulfill * '''[[Timberwolves]]''' * prop * '''[[prop the world]]''' * '''[[ススススペースハリネズミ]]''' * Qubell * '''[[NISHIMURA -祭- CARNIVAL]]''' ([[U1-ASAMi]], [[VENUS]]와의 합작) * '''[[Giant Otter Family]]''' * '''[[拙者はSAMURAI FOOD]]''' (S-C-U a.k.a. Food Samurai × [[A応P]]) * festo * '''[[pedigree]]''' * '''[[Lava Flow]]''' ([[SYUNN]]과의 합작) * Ave. * '''[[brown hawk owl]]'''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 REFLEC BEAT * '''[[robin]]'''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의 선행수록곡이다. * REFLEC BEAT limelight * '''[[milky ice bear]]''' [[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선행수록곡이다. * REFLEC BEAT colette * '''[[Little Flipper]]''' * '''[[Ambitious]]''' * REFLEC BEAT groovin'!! * '''[[Super GERO GE-RO]]''' === [[beatmania IIDX]] === * 20 tricoro * '''[[planarian]]''' * 23 copula * '''[[DIAMOND CROSSING]]''' [[L.E.D.]]와의 합작곡. * 26 Rootage * '''[[THE DAY OF JUBILATIONS]]''' [[L.E.D.]]와의 합작곡. * 29 CastHour * '''[[LIVE DRIVING!! feat.花たん]]''' [[L.E.D.]]와의 합작곡. * 30 RESIDENT * '''[[Peng-Ging Sky High!!]]''' 보컬은 [[모리나가 마유미|moimoi]]. === [[댄스 댄스 레볼루션]] === * [[Dance Dance Revolution(2013)]] * '''[[heron]]''' * [[DanceDanceRevolution A3]] * '''[[Beluga(BEMANI 시리즈)|Beluga]]''' === [[노스텔지어 시리즈]] === * [[노스텔지어 Op.3]] * '''[[mariposa]]''' * '''[[Storm of Suspicion]]''' === 동시수록곡 === * '''[[yellow head joe]]''' [[Lincle Link]] 대응곡. [[beatmania IIDX 19 Lincle]]와 [[유비트 코피어스]]에 동시 수록되었다. * '''[[spring pony]]''' [[팝픈뮤직 Sunny Park]]와 [[유비트 소서]]에 동시수록. * '''[[Confiserie]]''' [[Café de Tran]] 대응곡. [[L.E.D.]]와의 합작, [[beatmania IIDX 20 tricoro]]와 유비트 소서에 동시수록. * '''[[ラキラキ]]''' [[사립 BEMANI 학원]] 해금곡. [[이즈미 무츠히코]][* 항목에도 있지만 유비트 시리즈(오리지널, 리플즈, 니트(이쪽은 [[Jimmy Weckl]]과 공동), 소서까지 활동)의 사운드 디렉터로 활동했었다.]와의 합작곡. * '''[[anemone]]''' [[파스텔군과 스미스씨의 RUNRUN 마라톤!|런런 마라톤]] 대응곡. [[Qrispy Joybox]]와의 합작, [[유비트 소서]]와 [[리플렉 비트 콜레트]]에 동시수록. * '''[[終末を追う者]]''' [[미미냐미·코타로의 플라잉 캐치!]] 대응곡. [[PON]]과의 합작, [[팝픈뮤직 Sunny Park]]와 유비트 소서에 동시수록. * '''[[マインド・ゲーム]]''' [[열투! BEMANI 스타디움]] 전반전 해금곡. [[쿠로사와 다이스케|96]]와의 합작. 명의는 96 with メカショッチョー('''메카'''숏쵸) *'''[[Cleopatrysm]]'''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 해금곡. ピラミッ℃ 팀[* [[猫叉Master]], S-C-U, [[Sota Fujimori]], [[Akhuta]], [[쿠로사와 다이스케|96]], [[かめりあ]]]으로 합작. *'''[[天空の華]]''' [[BEMANI SUMMER DIARY 2015]] 해금곡. [[U1-ASAMi]]와의 합작. [[유비트 프롭]]과 [[DanceDanceRevolution(2014)]]에 수록. *'''[[toy boxer]]'''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해금곡. [[SYUNN]]과의 합작. 전 기종 수록. *'''[[turn into white]]''' BEMANI MusiQ FES 이벤트 수록곡. [[TATSUYA]]와의 합작. [[분류:BEMANI]][[분류:리듬 게임 작곡가]][[분류:1978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