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EBS 수능]] [Include(틀:EBS 수능 교재)] [목차] == 개요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서 발간하는 교재로, [[수능]], 모의평가 등의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함정]]에 빠지기 쉬운 7가지 패턴을 제시하여 교과별 특성에 맞는 해결 비법을 제시해 주는 교재이다. == 특징 == * 매년 5월 첫째 주에 발간되고 이에 따라 [[EBS N제]]가 2017학년도부터 4월로 당겨져서 발행되었다.[* 단 EBS N제는 2018학년도(2017년 출판)을 마지막으로 절판되었다.] * [[국어(교과)|국어]], [[수학]], [[영어]],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을 발간한다. * EBS 비연계 교재 치고는 문제의 퀄리티가 나쁘지 않다고 평가 받고 있지만, 디자인은 수특레인저라고 까이던 2017학년도 연계교재보다 못한 수준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 2018 수능 대비 EBS 커리큘럼 기준으로 2월~6월 실력 완성 단계에 해당하며, EBSi에서 관련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http://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sbjtId=S20170000278|예시]] * 각 함정의 유형에 맞는 실수하기 쉬운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모의평가]] 기출 문제들을 제시하여 함정을 극복할 수 있게 하였다. == 표지 == 2017~2018학년도는 사실상 표지가 같다고 봐도 무방하다. ~~일해라 EBS!~~ * [[http://storefarm.naver.com/bookstore/products/693375759?&frm=NVSCIMG|2018 수능 대비 표지]] : 만화 같은 느낌이 나는 그림이 있고, 이를 의식해서인지 왼쪽 아래에 '이 책은 만화책이 아닙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 [[http://storefarm.naver.com/elite2000/products/714393599?&frm=NVSCIMG|2017 수능 대비 표지]] : 한 컷의 만화 느낌이 나는 그림이 가운데 있다. '이 책은 만화책이 아닙니다.'라는 문구는 오른쪽 아래에 있다. == 출간일 ==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2016.05.09 *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2017.04.01 == 영역별로 제시되는 함정 ==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국어 영역은 수험생들이 할 수 있는 실수의 유형별로, 수학/영어 영역은 실수가 많이 나오는 문제의 유형별로,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실수를 할 수 있는 개념/단원별로 제시되었다. 구매 의사가 있는 수험생이라면 아래 표에서 자신이 어려워하는 부분을 파악하여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좋다. ||<-2> '''영역/과목''' || '''함정''' || '''설명''' || ||<-2> [[국어 영역]] || 조건 미충족 답지 선택[br]범주 혼동[br]정보 간의 관계 파악 실패[br]논리적 추론 오류[br]개념어 이해 부족[br][보기]의 맥락 이해 부주의[br]고난도 지문 독해 실패 || 조건 미충족 답지 선택은 작문 영역에서 조건을 주고 그 조건에 맞게 글을 쓰라는 유형의 문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유형의 문제에서는 국어 개념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풀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개념어 이해 부족'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유적 표현을 사용할 것.'이라는 조건이 있다면 은유라는 개념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해결할 수 없다. 독서 영역에서는 '정보 간의 관계 파악 실패'와 '고난도 지문 독해 실패', 문학 영역에서는 개념어 이해 부족, [보기]의 맥락 이해 부주의가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독서/문학 영역에서 예상치 못하게 틀리는 문제가 있는 학생이라면 해당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 ||<-2> [[수학 영역]][* 가, 나형 공통] || 함수의 그래프[br]도형의 성질 이용[br]빈칸 내용 추론[br]2가지 이상의 조건이 있는 문제[br]실생활 문제[br]명제의 참/거짓 문제[* ㄱ, ㄴ, ㄷ의 3가지 보기를 주고 맞는 것을 모두 고르라는 문제 유형이 여기에 해당한다.][br]2가지 이상의 개념 융합형 문제 || 함수의 그래프 관련 문제는 연속성, 미분가능성 판단, 미분/적분 등 다양한 주제에서 출제될 수 있는데, 불연속 함수의 경우에는 불연속점에 있는 원 표시의 y축 상의 위치와 원이 칠해져 있는지(즉 그 점을 포함하는지)에 주의해야 한다. 함수의 그래프를 제시하고 관련 명제의 참/거짓을 묻는 문제도 출제되므로 '명제의 참/거짓 문제' 부분과도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다. 도형의 성질을 활용하는 문제는 도형을 이용한 무한등비급수/수열의 극한(나형) 또는 삼각함수의 극한(가형) 형태로 많이 출제되므로, 관련된 공식을 이해하고 이를 정리할 수 있지만 도형의 성질을 모르거나 이를 활용하지 못해서 많이 틀리는 학생에게 권한다. || ||<-2> [[영어 영역]][* 듣기 영역과 관련된 함정은 제시되지 않았다.] || 어법(구조 파악)[br]어휘(문맥 파악)[br]빈칸 추론(중심 생각 파악)[br]순서 추론(연결 장치 파악)[br]문장 위치 추론(논리 파악)[br]요약문(요약문 속 단서 이용)[br]장문 독해(문제 유형별 맞춤 독해) || 어법 영역에서는 주어의 범위를 대표적인 함정으로 꼽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One of Namuwiki users (is / are) editing this document.'라는 문장에서 주어는 'users'가 아니라 'One (of Namuwiki users)', 즉 단수이므로 'are' 대신 'is'를 써야 한다. 이때 주어의 범위를 파악하려면 문장의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빈칸 추론 문제에서는 매력적인 오답이 등장하고 이에 따라 함정이 생길 수 있고, 이런 문제들이 오답률 상위권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부분도 확인하는 것이 좋다. || ||<|2> [[사회탐구 영역]] || [[생활과 윤리]] ||<-2>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 생명 관련 윤리 문제와 쟁점, 환경윤리, 정보 사회와 과학기술 윤리, 사회 정의와 법적 정의, 행복의 조건(인간관계와 직업), 세계화와 윤리(다문화 사회, 해외 원조, 국제 평화) || || [[사회문화]] ||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br]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br]사회학 개념[br]문화 이해와 문화 변동[br]계층 구조/사회 이동[br]사회 보장 제도/빈곤[br]사회 제도 및 사회 변동 || 탐구 영역의 과목들 중에서 함정이 많은 과목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즉 조사방법론 영역의 경우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사회·문화#s-2.2|함정 때문에 정답률 4%를 기록한 문제]]가 있고, 앞으로도 함정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이 부분은 봐 두는 것이 좋다. || ||<|2> [[과학탐구 영역]] || [[화학1]] ||<-2> 화학반응식과 양적관계, 화학식과 화학식량,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 원자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와 이온화 에너지, 탄소 동소체와 분자 구조, 금속/금속 이온의 반응, 산/염기의 중화 반응 || || [[생명 과학1]] ||<-2> 세포 분열과 염색체, 독립/연관 유전, 염색체 비분리, 가계도 분석, 뉴런과 막전위, 면역, 수학적 생명과학 || == 여담 == * [[2016년]] [[6월 1일]][* 공교롭게도 이날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전날이었다.] EBS 인터넷 강의 사이트에서 수능의 7대 함정 배너 광고를 했는데, 그 광고에 있는 '호구 스타일'이라는 문구가 논란이 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3060956|관련기사]] * EBSi에서는 고1, 2 [[전국연합학력평가]] 대비용인 '학평 기출의 7대 함정'이라는 도서를 출판하고 있고, 관련 강의도 서비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