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단 공화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이스라엘의 대외관계)]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100%]] || || [[수단 공화국|{{{#fff '''수단'''}}}]] || [[이스라엘|{{{#FFF '''이스라엘'''}}}]] || [clearfix] [목차] == 개요 == [[수단 공화국|수단]]과 [[이스라엘]]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수단 공화국은 오랫동안 이스라엘과 외교관계를 맺지 않았지만, 2020년대 초에 양국은 수교했다. 하지만 수단은 여전히 반서방국가로 찍혀있으며 이스라엘도 이슬람 국가[* 공식적으로는 2020년 부터 국교가 폐지되면서 세속국가임을 선언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인구 대부분이 무슬림인지라 이슬람이 국교역할을 하고 있다..]인 수단을 좋은 시선으로 보지 않는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1948년, [[이스라엘]]이 건국돼 이스라엘은 주변국들과 [[중동전쟁]]을 치렀다. 1973년에 [[오마르 알바시르]] 전 수단 공화국 대통령에 의해 수단군이 이집트군의 일부로 참전해 이스라엘군과 제4차 중동전쟁을 치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210055?sid=104|#]] === 21세기 === ==== 2000년대 ==== 2001년 5월 27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공습이 이어지자 이라크와 수단 공화국은 이스라엘에 대한 [[지하드]]를 주장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75675?sid=104|#]] 2004년 8월 8일, 수단 공화국 정부는 이스라엘이 다르푸르 사태에 개입했다는 증거가 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725613?sid=104|#]] 2007년 8월 19일, 이스라엘이 대부분 수단 공화국 출신으로 이루어진 난민 48명을 이집트 측에 인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532463?sid=104|#]] 8월 20일, 이스라엘 국경을 넘으려던 수단 공화국 출신 난민들이 이스라엘군에 의해 억류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534432?sid=104|#]] 9월 24일, 이스라엘은 다르푸르 사태때 피난온 난민 498명의 체류를 허가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764417?sid=104|#]] 2009년 3월 26일, 이스라엘 전투기가 수단 공화국 북부에서 가자 지구로 향하던 무기수송 차량을 공습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593971?sid=104|#]] ==== 2010년대 ==== 2010년 6월 1일, 파키스탄과 수단 공화국,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구호선 공격을 규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307038?sid=102|#]] 12월 14일, 이스라엘이 수단 난민 140명을 수단 공화국으로 귀국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819044?sid=104|#]] 2011년 8월 18일, 이집트군이 이스라엘 월경을 시도하려던 수단인 2명을 사살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218423?sid=104|#]] 2012년 10월 23일, 이스라엘 전투기가 수단 공화국의 공장을 공습하자 수단 공화국 측이 반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6/0000207583?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894103?sid=104|#2]] 2015년 11월 15일, 수단인 15명이 이스라엘 국경에서 총격으로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875231?sid=104|#]] 2018년 1월 3일, 이스라엘 정부가 에리트레아, 수단 공화국 출신 난민들이 자진 출국하지 않을 시 감금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101504?sid=104|#]] 2월 22일, 아프리카 출신 난민 추방에 항의하는 시위가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915637?sid=104|#]] 3월 24일, 텔아비브에서 수단 공화국 출신을 포함한 이주민들의 항의 시위가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980951?sid=104|#]] 4월 3일, 이스라엘 정부가 추방 계획을 잠시 철회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131544?sid=104|#]] 하지만 네타냐후 총리가 반대하면서 뒤집어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002216?sid=104|#]] 4월 24일, 이스라엘 정부가 추방 계획을 철회해 에리트레아, 수단 공화국 출신 이주민들이 환영의 뜻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569522?sid=104|#]] 그리고 나서 이스라엘 정부가 이주민 수용소를 다시 열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047104?sid=104|#]] 2019년 1월 21일, 수단 공화국이 이스라엘 항공기의 영공 통과를 승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592794?sid=104|#]] ==== 2020년대 ==== 2020년 5월 27일, 이스라엘 정부가 [[코로나19]]에 걸린 수단 외교관을 위해 의료진을 긴급 투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641454?sid=104|#]] 8월 18일, 네타냐후 총리는 수단 공화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협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09309?sid=104|#]] 8월 19일, 수단 공화국 정부는 이스라엘과의 수교를 기대한다고 언급한 외교부 대변인을 해임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825484?sid=104|#]] 또한, 수단 공화국-이스라엘 수교설이 나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823081?sid=104|#]] 8월 25일, 함독 수단 공화국 총리는 폼페이오 장관에게 이스라엘과 국교정상화 권한은 없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4834023?sid=104|#]] 다만, 폼페이오 장관이 이스라엘이 수단 공화국을 포함한 아랍권 국가들과의 수교를 돕는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837749?sid=104|#]] 10월 24일,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하에 수단 공화국은 이스라엘과의 관계정상화에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967034?sid=104|#]] 10월 26일, 이스라엘은 수단 공화국의 관계정상화에 따라 밀을 지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969196?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046652?sid=104|#2]] 11월 24일, 이스라엘은 수단 공화국에 공식 대표단을 첫 파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036993?sid=104|#]] 2021년 1월 16일, 미국의 주도하에 수단 공화국은 이스라엘과의 수교를 위한 에이브러햄 협정을 체결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280749?sid=104|#]] 5월 17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공습이 시작될 때, 아랍에미리트와 바레인, 수단 공화국, 모로코는 이스라엘을 강력히 규탄하지 않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046299?sid=104|#]] 2023년 2월 2일, 수단 공화국과 이스라엘이 관계정상화에 합의해 양국은 수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44093?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35151?sid=104|#2]] 그리고 엘리 코헨 이스라엘 외무장관이 수단 공화국을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35132?sid=104|#]]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990350?sid=104|모로코·수단, 이스라엘과 손잡은 이유는? [박효재의 ‘딥다 파기’]]] - 경향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046652?sid=104|밀도 받고 테러지원국 명단도 빠지고…수단,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 실익 챙겼다]] - 중앙일보 *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0092113322190509a1f309431_1/article.html?md=20200922121656_U|[글로벌-이슈 24] 이스라엘, 아프리카 수단과도 국교 정상화 가능성]] - 글로벌이코노믹 == 관련 문서 == * [[수단 공화국/외교]] * [[이스라엘/외교]]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북아프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분류:수단 공화국의 대국관계]][[분류:이스라엘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