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한 나라의 수도에서 쓰이는 방언. [[표준어]]와는 개념상 다르지만, 수도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어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서울 방언]]이 있다. 물론 아래의 목록을 보다시피, 표준어라고 해서 반드시 수도의 방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만 있는 것은 아니다. == 목록 == ♧표시는 해당 국가 표준어의 지역적 기반이 된 경우 * [[대한민국]] - ♧[[서울 방언]] * [[북한]] - [[서북 방언]][* [[문화어]]는 [[대한민국 표준어]]와 비슷하게 [[서울 방언]]을 표준으로 삼았으며 이미 해방 이전부터 이루어지던 서울말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규범화 연구의 성과물(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http://www.hangeul.or.kr/html/25.htm|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반영했고, 여기에 서북 방언 어휘를 추가한 정도이기 때문에, 똑같은 연구를 기초로 하여 제정된 [[대한민국 표준어]]와의 차이는 그리 크지않다. 물론 이촌향도 현상에 의해 실생활에서 서북방언 억양이나 동북방언의 억양이 섞이는 등의 언어변화를 겪기는 했지만 이건 남한도 똑같이 겪은거라서 특이한일은 아니다.] * [[러시아]] - ♧모스크바 방언 * [[독일]] - 베를린-브란덴부르크 방언[* 표준 독일어는 튀링겐 방언 기반에 가까움.] * [[프랑스]] - ♧파리 방언 * [[벨기에]] - 브라반트어, 브뤼셀 방언(프랑스어, 네덜란드어) * [[스페인]] - 마드리드 방언[* 표준 스페인어는 카스티야 북서부의 살라망카 방언에 기반.]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 방언[* 표준 네덜란드어는 하를럼 방언에 기반.] * [[영국]] - [[코크니]][* 표준근대영어는 이스트미들랜드 남부방언과 런던도심 방언에 기반, [[용인발음]]은 런던ㆍ옥스퍼드ㆍ케임브리지 삼각지대 내 중상류층 방언에 기반.] * [[이탈리아]] - 로마네스크 방언[* 표준 이탈리아어는 토스카나 방언에 기반.] * [[일본]] - [[에도벤]](♧야마노테벤) * [[중국]] - ♧[[북경어]] [[분류:언어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