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수도군단의 전신(前身), rd1=제6군관구사령부)] [include(틀:군단)] ||<-7><#24339c><:> '''{{{#ffffff {{{+1 수도군단}}}}}}'''[br]'''{{{#ffffff 首都軍團}}}'''[br]'''{{{#ffffff Capital Corps}}}''' || ||<#ffffff><-7><:>[[파일:수도군단 부대상징.svg|width=300]] || ||<-7><#df0a10><:> '''{{{#ffffff 조국의 심장을 지키는 강한 힘! 수도군단}}}''' || ||<#24339c><:> '''{{{#ffffff 창설일}}}''' ||<-6><(> [[1954년]]([[제6군관구사령부]])[br][[1974년]] [[3월 1일]](경인지역방어사령부)[br][[1975년]] [[8월 1일]]('''수도군단''') || ||<#24339c><:> '''[[상징명칭|{{{#ffffff 상징명칭}}}]]''' ||<-6><(> '''충의부대''' || ||<#24339c><:> '''{{{#fff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24339c><:> '''{{{#ffffff 상급부대}}}''' ||<-6><(>[[지상작전사령부]] || ||<#24339c><:> '''{{{#ffffff 규모}}}''' ||<-6><(> [[군단]] || ||<#24339c><:> '''{{{#ffffff 역할}}}''' ||<-6><(> 수도권 방위 및 경비 || ||<#24339c><:> '''[[군단장|{{{#ffffff 군단장}}}]]''' ||<-6><(> 중장 [[박정택]](학군 30기) || ||<#24339c><:> '''[[부군단장 |{{{#ffffff 부군단장}}}]]''' ||<-6><(> 소장 [[심진선]](육사 46기) || ||<#24339c><:> '''[[참모장|{{{#ffffff 참모장}}}]]''' ||<-6><(> 준장 조우제(학군 33기)[* 경성대학교] || ||<#24339c><:> '''[[주임원사|{{{#ffffff 주임원사}}}]]''' ||<-6><(> 원사 허철[* 청운대대학원석사졸업]|| ||<#24339c><:> '''{{{#ffffff 위치}}}''' ||<-6><(>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57-4,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군단사령부령]] ''' '''제1조(설치)''' ① 육군에 군단을 두며, 그 관할구역의 작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단사령부를 둔다. ② 군단의 명칭은 대통령이 정하고, 군단의 예속(隸屬)은 육군참모총장이, 군단의 배속(配屬)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하며, 군단 관할구역은 직속상관이 정한다.|| || [[파일:1360585007_14.jpg|width=100%]] || || {{{#ffffff '''대한민국 육군 수도군단장 이ㆍ취임식'''}}} || > '''조국의 심장을 지키는 강한 힘! 수도군단'''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를 근거지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소속 [[군단]]. 별칭은 '''충의부대(忠義)'''. 2개의 [[사단(군대)|사단]]과 1개의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다. 전시에는 [[제55보병사단]]과 [[해병대 제2사단]]이 배속된다. 상비사단은 [[제17보병사단]], 지역방위사단은 [[제51보병사단]], 여단은 [[수도포병여단]]이 편제된다. 2023년 현재 [[군단장]]은 중장 [[박정택]](학군 30기)이다. == 상세 == [[대한민국 육군]]의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서부 및 남부 방위 군단으로 통칭 충의부대라 불린다. 전신인 '''[[제6군관구사령부]]'''가 1974년에 경인지역방어사령부로 개편되면서 창설되었다. 이와 동시에 상급부대가 2군(현 [[제2작전사령부]])에서 [[제3야전군사령부]]로 전환되었다. 예전에는 경기도 동부권도 담당했는데, 2019년 [[지상작전사령부]] 개편으로 [[제55보병사단|55사단]]이 수도군단 예하에서 지작사 직할로 변경되면서 관할이 분리되었다가 2020년 2월경에 작전통제권이 이양되었다. 해병대 제2사단과의 관계와 비슷한 케이스다. 이름에 [[수도(행정구역)|수도]]가 들어가는 또 다른 [[군단]]급 부대인 [[수도방위사령부]]가 서울을 위수지역으로 둔다면, 수도군단은 서울을 둘러싼 수도권 중 남부와 서부([[인천]] 및 일대 도서지역 포함)를 담당한다고 보면 대략 맞는다. 북부 수도권부터는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취급되므로 [[제1군단]], [[제6군단]] 등의 다른 지작사 예하 군단들이 담당한다. 1984년 수방사 증편 이전에는 이름대로 서울특별시 일부 역시 관할구역으로 두던 부대였다. 수도군단의 전신은 영등포(현 문래공원)에 주둔했던 [[제6군관구사령부]](1954년 창설)였는데, 개편 이전에는 서울의 강남지역을 포함한 한강이남 수도권 일대도 2야전군(現 [[제2작전사령부]]) 지역에 포함되었었다. 6관구사 시절의 예하 향토예비사단은 30사단(이후 [[제30기계화보병사단]]. 당시 경기 북부 일부, 서울 강북 관할), [[제33보병사단|33사단]](현재의 [[제17보병사단|17사단]]. 당시 인천, 부천, 시흥(지금의 안양, 안산, 광명, 군포, 과천, 의왕 포함), 서울 영등포, 수원, 화성 등 수도권 서남권 관할)이었다. 참고로 지금의 51사단과 55사단은 1980년대 중반을 전후로 수방사 증편 등의 영향으로 향토방위부대가 전면으로 개편되면서 기존의 동원사단이나 [[훈련단]] 혹은 17사단 예하 일부부대가 그 시기에 향토사단으로 개편된 것.[* 이는 수방사 예하 52사단, 56사단(지금은 없어진 57사단 포함)도 마찬가지.] 전시에는 [[수도방위사령부]]와 함께 [[서울특별시]]를 포함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방어에 나서는 부대이다. 평시에는 쉽게 말해 서울특별시를 제외한 [[한강]] 이남의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남부 지역 ([[김포시]] 등 포함)을 관할한다. 예하에 [[제17보병사단]], [[제51보병사단]], [[수도포병여단]]이 있으며, [[대한민국 육군/특공대|제700특공연대]] 역시 이 부대 직할이다. 또한 육군 부대지만 [[해병대 제2사단]]의 해안경계 작전통제권을 가지고 있는데, 해병대 제2사단의 주둔지가 수도군단 위수지역인 경기도 [[김포시]]이기 때문에 그렇다. 단, 이들의 작전지휘권은 해병대사령부에게 있으며, 전시에는 타군처럼 한미연합해병구성군사령부로 넘어간다. 그리고 위수지역 내에 있는 [[제2함대사령부]], [[인천해역방어사령부]] 등 다른 해군계 부대들 상대로는 어떤 권한도 없다. 그러나 수도권 최대 부대임에도 이름이 생소해 처음 들어본다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오히려 예하의 17사단 등이 훨씬 유명하다. 사실 대부분의 보통 사람들에겐 군단보다는 사단의 인지도가 높다. [[제2보병사단|2사단]]은 알아도 2사단이 [[제3군단|3군단]] 예하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52사단 등의 예하사단보다 군단사령부의 인지도가 압도적으로 높은 수방사가 특이한 거다. 수방사는 서울에 있다는 점 + 역사에 굵직굵직한 족적([[5.16 군사정변|5.16]], [[12.12 군사반란|12.12]] 등)을 많이 남긴 점, 유명한 직할부대들의 비중이 크다는 점 등 때문에 군단급 부대들 중에는 유달리 인지도가 높다. 당장 [[제1방공여단|여단급 방공부대]], [[제1경비단|단급]] [[제55경비단|경비부대]], [[군사경찰단(수도방위사령부)|단급 군사경찰부대]]를 가진 군단급 부대는 수방사가 유일하다. 서울을 지키는 막중한 임무를 띠고 있으니 당연한 것.] 국방개혁 때마다 서울을 위수지역으로 하는 [[수도방위사령부]]와 수도권 남부를 위수지역으로 하는 수도군단은 통폐합 대상으로 거론되다가 그 떡밥이 잠잠해진다. 현재는 이러한 떡밥이 가시화되지 않은 상태. 작계지역 자체가 다른 전방 군단 지역과는 다르게 한강 이남 지역으로 설정되어 있어 지역 방위 성격이 더 짙다는 것이 나타나는 점이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예하 부대들 훈련은 공격보다는 작계 지역에 적이 침투한 상황을 가정한 훈련들이 대부분이다. 군단에서 최전방으로 분류되는 지역도 [[김포시]] 한강 하구 지역이며 실제 작전도 강안 경계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흔히 생각하는 최전방 초소 지역의 고저차가 심한 구릉 지대는 수도군단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예비군 관리 및 동원훈련도 다른 군단들과 달리 경비연대 편제를 따로 두지 않고 두 개의 지역방위사단에 예비군 관리 업무를 배정했다는 점이 특이사항. 이는 전방 군단들(1군단 등)과 다르게 과거 후방 위수부대인 군관구사령부가 이 부대의 전신인 역사와도 관련있다. 기타 사항으로 해체된([[제6군단]]을 제외하고) [[로마 숫자]]를 표기한 타 군단들과 달리 명칭부터 숫자를 쓰지 않기에 [[Λ]]로 표기하고 있다. 다만 군단 소개 홈페이지에서는 이 마크를 수도군단의 "[[ㅅ]]"으로 소개하고 있다. == 편제 == === [[직할부대]] === * [[본부근무대]] *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제800군사경찰단]] * [[제10항공단]][* 2019년 10월 1일부로 창설과 동시에 항공단 야전 군단 직할 배치 계획에 따라, 군단 직할부대로 편성.] * [[제10방공단]][* 제510방공대대를 대령이 지휘하는 단급 부대로 승격시켰다.]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공병여단에 비해 규모가 작아 대령이 지휘하는 단급 부대이다.] * [[제700특공연대]] * 제10화생방대대 * 제140정보대대 * '''[[지원부대]]''' * [[제55보병사단]](봉화부대)([[지상작전사령부]])[* 2019년 이전까진 군단 예하부대였으나 지작사가 창설된 후 지작사 직할 사단이 되었다. 2020년에 작전통제권이 다시 수도군단으로 이양되었으나 편제상으로는 지작사 직할사단이다.] * [[해병대 제2사단]]([[대한민국 해병대]])[* 경계작전 한정으로 수도군단이 작전통제권을 가지며, 군단 편제 상 지원부대에 배속되어 있다.] * [[수도군수지원단]]([[제1군수지원사령부]])[* 본래 3군사령부 예하의 [[제3군수지원사령부]]였으나 부대를 둘로 분할하여 수도군단, 수도방위사령부 등을 지원하는 수도군수지원단과 1군단을 지원하는 [[제1군수지원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역사는 1군지여단 쪽으로 이어진다.] === 예하부대 === * [[제17보병사단]](번개부대) * [[제3경비단]](용왕부대) * [[제51보병사단]](전승부대) * [[수도포병여단]](충의포병) == 과거부대 == * ~~[[제33보병사단]](번개부대)~~[* 1982년 8월 6일 [[제17보병사단]]으로 개편.] * ~~[[제61보병사단]](상승부대)~~[* 2017년 11월 30일 부대 해체.] * ~~[[제63보병사단]](봉화부대)~~[* 1987년 [[제55보병사단]]으로 개편.] * ~~[[제103보병여단(수도군단)]](미추홀부대)~~[* 1993년 17사단에서 분리되어 인천을 관할하는 보병여단으로 창설. 2007년 제507보병여단으로 개편 후 [[제17보병사단]]으로 재편입. 제3경비단도 그 과정에서 17사단으로 넘어갔다.] * ~~제800정찰대대~~[* 2000년대초 부대해체.] == 출신인물 == === [[군단장]] === [include(틀:대한민국 국군의 현직 중장)] [include(틀:수도군단장)]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6><:> '''{{{#ffffff 역대 수도군단장}}}''' || || '''{{{#ffffff 역대}}}''' || '''{{{#ffffff 이름}}}''' || '''{{{#ffffff 계급}}}''' || '''{{{#ffffff 임관}}}''' || '''{{{#ffffff 비고}}}''' || '''{{{#ffffff 기타}}}''' || || 초대 || 조문환 || 예) [[중장]] ||[[육군사관학교|육사]] 07기 ||前 [[군단장]] || || || 2대 || 문흥구 || 예) [[중장]] ||[[육군사관학교|육사]] 09기 ||前 [[군단장]] || || || '''3대''' || '''[[차규헌]]''' || '''예) [[대장(계급)|대장]]''' ||[[육군사관학교|육사]] 08기 ||前 [[제2작전사령관]] ||前 [[국토교통부장관|교통부장관]] [* 제3대 군단장. 신군부의 일원이자 [[하나회]]의 후원자로 1979년 [[12.12 군사반란|12.12 사태]] 당시 수도군단장으로 반란에 가담했다. 반란이 성공하도록 도운 이후에는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이 된 전두환의 보답으로 [[대장(계급)|대장]]에 [[진급]]하여 2[[야전군사령관]]을 역임한 후 예편했다. 2011년 폐렴으로 사망.] || || '''4대''' || '''박노영''' || '''예) [[대장(계급)|대장]]''' || 예현 2차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 5대 || [[이광노]] || 예) [[중장]] || [[육군종합학교|종합]] 13기 ||前 [[군단장]] ||前 [[국회사무총장]] || || 6대 || 최문규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3기 ||前 [[군단장]] || || || '''7대''' || '''[[정진태]]''' || '''예) [[대장(계급)|대장]]''' ||[[육군사관학교|육사]] 13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 8대 || 임헌표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4기 ||前 [[군단장]] ||前 [[대한민국 국방부차관|국방부차관]] || || 9대 || 정인균 || 예) [[중장]] ||[[육군사관학교|육사]] 16기 ||前 [[국방대학교 총장]] || || || 10대 || 장석린 || 예) [[중장]] ||[[육군사관학교|육사]] 18기 ||前 [[국방대학교 총장]] || || || 11대 || 박광영 || 예) [[중장]] ||[[육군사관학교|육사]] 19기 ||前 [[육군교육사령관]] || || || 12대 || 배문환 || 예) [[중장]] ||[[육군사관학교|육사]] 20기 ||前 [[군단장]] ||[* 1993년 6월 10일,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책임으로 보직 해임] || || '''13대''' || '''[[김동신]]'''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1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前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 || '''14대''' || '''[[길형보]]'''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2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3야전군사령관]] || || || 15대 || 김희상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4기 ||前 [[국방대학교 총장]] || || || '''16대''' || '''[[홍순호]]''' || '''예) [[대장(계급)|대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4기[* 서울대학교] ||前 [[제2작전사령관]] ||[* 서울대학교 졸업생 중 첫 장군이며 첫 대장까지 진급하였다.] || || '''17대''' || '''[[정수성(1946)|정수성]]''' || '''예) [[대장(계급)|대장]]''' || [[갑종간부후보생|갑종]] 202기 ||前 [[제1야전군사령관]] || || || '''18대''' || '''이희원'''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7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 19대 || 이성규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8기 ||前 [[국방정보본부장]] || || || 20대 || [[박종달]]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9기 ||前 [[육군인사사령부|육군인사사령관]] ||前 [[병무청장]] || || 21대 || 김기수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1기 ||前 [[군단장]] ||前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장 || || 22대 || [[임관빈]]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2기 ||前 [[국방대학교 총장]] || || || '''23대''' || '''[[김요환]]'''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4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 || || 24대 || [[권태오(군인)|권태오]] || 예) [[중장]] || [[육군3사관학교|3사]] 13기 ||前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 [[육군3사관학교|3사]] 13기 출신으로 가정 형편 때문에 학교를 다니지 못해 중·고교 졸업자격을 [[검정고시]]로 얻었다. 그 후 3사관학교에 입교해 수석으로 졸업했고 피나는 노력을 통해 지금에 이르렀다고. 흥미로운 것은 권 장군이 사단장으로 재임한 [[제51보병사단|51사단]]도 수도군단 예하 사단이라는 점이다. 2012년 11월 군단장 임기를 마치고 2작사 부사령관으로 영전, 5개월간 재임 후 2013년 4월 [[6.25 전쟁|6.25]] 행사기획단장, 2013년 8월 [[국군의 날]] 행사단장에 임명되었다.[[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81517313679459|#]] ] [* 그래서인지 수도군단장 재임 시절 부대 내에 충의고등학교라는 일종의 야학을 만들어서 (다만 이름만 고등학교지 실제로는 [[검정고시]] 학원) 군단사령부 직할부대 및 예하 사단들에서 복무하는 중졸 현역 군인들에게 고등학교 졸업학력 취득의 기회를 주었다. (교사도 사령부 예하직할부대에서 차출했다.) ~~그리고 학생들이랑 교사들은 꿀을 빨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4584476|관련기사]] 아무튼 뉴스도 나오고 지역 저축은행으로부터 거하게 지원도 받고 꽤나 개인적으로도 치적이 되었을 듯.] || || '''25대''' || '''[[이순진]]'''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3사관학교|3사]] 14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 [* [[육군3사관학교|3사]] 14기 출신으로 [[제2보병사단]]장을 역임하고, 중장 시절 이곳에서 제25대 군단장으로 재직했다. 이 후 항공작전사령관으로 임명되고 대장 진급후 [[제2작전사령관]]을 역임 후 3사관학교 출신 중 최초로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했다. 현재는 예편.] || || 26대 || [[최병로]]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8기 ||前 [[육군사관학교장]] || || || 27대 || [[김완태(군인)|김완태]]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9기 ||前 [[육군사관학교장]] || || || 28대 || [[이창효]] || 예) [[중장]] || [[육군3사관학교|3사]] 19기 ||前 [[제8군단]]장 || [* 수도군단장직을 마치고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이동했다가 [[제8군단]]장을 맡았다. [[군단장]]직을 2번이나 역임한 흔치 않은 사례이다.] || || 29대 || [[최진규(군인)|최진규]] || 예)[[중장]] || [[학사장교|학사]] 9기 ||前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 학사장교 출신 최초 기록을 많이 가지고 있다. 소장 최초 진급, 중장 최초 진급, 최초 수도군단장 보임 등이 있다.] || || 30대 || [[이정웅]]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前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 || || '''31대''' || '''[[고창준]]''' || '''[[대장]]''' || [[육군3사관학교|3사]] 26기 ||現 [[제2작전사령관]] || || || 32대 || [[박정택]] || [[중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30기 || 現 [[군단장]] || || 사실 수도군단장 자리는 전방군단이 아니기 때문에 요직이라고 보기엔 어렵다. 예하에 거느리는 부대 중 17사단이 상비사단이기는 하나 지역방위사단의 기능을 겸하며, 51사단은 아예 지역방위사단이다. 예전에 수도군단이 55사단과 61사단을 거느리던 시절에도 상비사단 3개 이상[* 2000년대 중후반까지만 해도 1군단은 1, 9, 25, 30, 72사단까지 5개 사단을 거느렸고, 2군단은 7, 15, 27, 76사단까지 4개, 3군단은 2, 12, 21사단을 거느렸으며, 5군단은 3, 6, 8, 66, 75사단을, 6군단은 5, 28, 65, 73, 75사단을 거느렸다. 7군단은 수도, 20사단만 지휘해서 병력 자체는 적었지만 이 쪽은 화력이 상당히 강해서 요직으로 취급받았다. 8군단은 22, 23사단을 지휘했으며 수도방위사령부는 52, 56, 57, 60, 71사단을 지휘했다.]를 거느리던 다른 군단과 비교했을 때에 병력의 숫자에서 밀리는 편이었다. 똑같이 병력 숫자가 적은 편이었던 7군단은 화력이 넘사벽 수준이었기 때문에 진급이 잘 되던 시절이 있었고, 8군단은 예하의 22사단의 사건사고가 비일비재해서 대장 진급이 잘 되는 자리는 아니었다. 수도방위사령부는 지역방위, 동원사단 5개를 지휘했으나 병력 자체는 그리 많은 편은 아니지만 서울과 청와대 방위라는 특수성 때문에 요직취급을 받았다. 반면 병력 수가 많고 전방에 위치한 특성 때문에 1, 3, 5군단장은 요직으로 취급 받는다. 그래서 중장 인사 때에 전방 군단은 보병, 포병 - 작전직능이 주로 군단장에 취임하며, 수도군단은 보병 - 인사, 동원직능이 주로 군단장 자리에 오른다. 그렇지만 매우 적은 확률과 경쟁을 뚫고 중장 계급을 달았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것임을 부정할 수 없다. === 장교/부사관 ===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기찬수]]: 3사 13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원래 기무사 1처장, 기무사 참모장을 지냈으며 경력에서 보다시피 기무사에서 활동하던 인사였는데, 정권교체의 여파로 쓸려나간 인물이다.] * [[임종득]]: 육사 42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이전 보직이 청와대 국방비서관임을 감안하면 정권교체 때문에 쓸려나갔을 가능성이 크다.] * [[김인수(군인)|김인수]]: 육사 44기, 예)준장. 부군단장 역임. * [[최용성(군인)|최용성]]: 육사 45기, 예)준장. 부군단장 역임. * [[이철휘]]: 학군 13기, 예)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최종 보직은 제2작전사령관] * [[양종수]]: 육사 37기, 예)중장. 군단 참모장 역임.[* 이후 30사단장, 2군단장을 거쳐 육사 교장을 끝으로 예편.] * [[이규학]]: 육사 39기,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정형희]]: 육사 43기, 예)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최종 보직은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김창수(군인)|김창수]]: 3사 23기,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최종 보직은 [[제5군단]] [[부군단장]].] * [[신희현]]: 학군 27기, 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소장 진급 후 [[제36보병사단]]장과 [[제2신속대응사단]]장 역임 후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3군단장]] 취임 5개월만에 대장으로 진급하여 [[제2작전사령관]] 취임.] * 이봉철: 3사25기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박정환(1970)|박정환]]: 육사 49기, 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구삼회: 육사 50기, 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현 지상작전사령부 작전참모부 작전처장. 2023년 1월 26일 열린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지상작전사령부 작전처장으로 소개됨.] * [[조남풍]]: 육사 18기. 예)대장, 대령 시절 군단 작전참모 역임.[* 제1공수여단장, 수도기계화사단장,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보안사령관. 교육사령관 역임. 최종보직은 [[제1야전군사령관]](대장)]. 전역 후 동국대학교에서 한미동맹 주제로 정치학 박사 학위 취득후 동국대 교수 재직. 2015년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중앙회장(제35대). 현재 사단법인 글로벌전략개발원 이사장. * [[황인권]]: 3사 20기, 예)대장. 대령 시절 작전참모를 역임했다.[* 최종보직은 [[제2작전사령관]](대장)] * [[정정숙]]: 학사 18기, 소장. 대령 시절 인사처장을 역임했다.[* 이후 임기제 진급 준장 보직인 육군본부 전투준비안전단장을 거쳐 다시 소장으로 임기제 진급하여 육군부사관학교장에 취임했다.] * [[고성균]]: 육사 38기, 예)소장. 대령 시절 인사참모를 역임했다.[* 인사참모 재직 시절에 중장 이하 관사 난방비 징수 문제가 터지자 이걸 [[남재준]] 육군참모총장에게 메일을 보내서 징수에 문제가 있음을 밝혔는데, 당시 육본의 참모부장이던 모 소장과 그 밑의 처장인 모 준장이 전화를 해 욕을 하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다행히 해당 건의는 [[김장수|후임 육참총장]]에게 인수인계되어 해결되었다고 한다.[[https://youtu.be/qfxfHE_B9js|영상]]] * [[김재석]]: 학군 26기, 소장. 중령 시절 정보처 정보과장 역임[* 현 777사령관] === 병 ===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신의현]] 특공연대에서 복무했다. * [[임현식(비투비)|임현식]]([[비투비]]) 군악대에서 복무했다. * [[진석기]] 밀리터리버거 먹방 영상에서 착용한 개인 전투복에 수도군단 마크가 박혀 있다. 유튜브 채널에서 포병 숫자를 사용했던 것으로 보건대 수도포병여단에서 근무했던 것으로 추정. 다만 유튜브 콘텐츠를 보면 알 수 있듯 현역 시절 보직은 취사병이었다. == 기타 == === [[회관|충의레스텔]] === ||<-7><#0621a6><:> '''{{{#df0a10 {{{+1 충의레스텔[br]忠義레스텔[br]Choong Ui 레스텔}}}}}}'''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안양 충의레스텔(충의회관), 너비=100%, 높이=100%)]}}} || ||<#0621a6><:> '''{{{#df0a10 위치}}}''' ||<-6><(>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https://map.naver.com/v5/search/충의레스텔|[[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군단가 === >'''겨레의 소망을 한 몸에 안고''' >'''호국의 일념으로 뭉친 용사들''' >  >'''필승의 그 투지 그 전통 이어서''' >'''기어이 지키련다 이 한 몸 바쳐''' > >'''아 아 사명도 드높은 수도권 방위''' >'''수도군단 가는 곳에 승리뿐이다''' > >'''조국의 심장을 사수하려는''' >'''필승의 의지로 다져진 건아들''' >  >'''피 끓는 젊은 힘 하나로 모아''' >'''기어이 이기련다 이 목숨 바쳐''' > >'''아 아 사명도 드높은 수도권 방위''' >'''수도군단 가는 곳에 승리뿐이다''' >  >'''- 수도군단가''' == 사건사고 == * [[1993년]] [[연천군]]에 위치한 [[다락대 훈련장]]에서 [[수도포병여단]] 예하부대가 훈련중 발생한 국군 사상 최악의 예비군 인명사고가 발생한 사건.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 [[1997년]] [[1월]], 미상의 한 남성이 한밤 중 [[경기도]] 서해안의 [[제51보병사단]] 해안[[초소]] 내에 침입하여 [[소초]]장 및 당직병을 속이고 총기를 사취(詐取)[* 남의 것을 거짓으로 속여서 빼앗음.]한 사건으로 [[2020년]] 현재까지 미해결 사건으로 남아 있다. ''''[[군단 백소령 사건]]''''이라고도 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 == 여담 == * 군 최초로 군단 브랜드인 'M-PRO 수도군단'이란 브랜드를 2006년에 선포했다. 장병들이 주둔지 인근 시민축제 퍼레이드에 참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국방개혁 때마다 [[수도방위사령부]]와의 통폐합 떡밥이 나돌기도 한다. * 1980년대에 충의부대 성당에서 유치원을 운영했었다.(충의유치원. 지금은 없어짐) [[분류:수도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