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현대로템]][[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분류:2022년 공개]][[분류:2023년 출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차량/현황)]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hirstyLeanMotionlessHouse, 합의사항1=표제어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차량"으로 하기)] [include(틀:수도권 전철 전동차)]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9A629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1 A000호대 전동차}}}'''[br]{{{-1 GTX Line A A000 Series EMU}}}}}}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TX-A_Mancheon.jpg|width=100%]]}}}|| ||<-3> {{{#white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열차|통근형 전동차]][* 과거 계획 당시에는 지정좌석제를 실시하는 크로스시트 [[근교형 전동차]]를 투입하는 것으로 홍보가 이루어졌으나, 실제로는 롱시트의 통근형으로 발주되었다.]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8량 1편성[br](TC1-M1-T'-M2-M2-T'-M1-TC2) || || '''생산량''' ||<-2> 160량 (20편성)[* 120량 및 추가발주분 40량 [[http://www.startup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669|출처]]] || || '''운행 노선''' ||<-2> [[파일:GreatTraineXpress_A.svg|width=16]]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9A6292 GTX-A}}}]] || || '''도입시기''' ||<-2> 2023 ~ 2024년 || || '''제작사''' ||<-2> [[현대로템]] || ||<|2> '''소유기관''' ||<-2> [[SG레일]][*1차분 1차분 (A01~A15호기) 15편성 소유] || ||<-2> [[국가철도공단]][*2차분 2차분 (A16~A20호기) 5편성 소유] || || '''운영기관''' ||<-2> [[지티엑스에이운영|지티엑스에이운영(주)]] || || '''편성번호 체계''' ||<-2> A01 ~ A20 || || '''차량배속''' ||<-2> [[운정차량사업소]] || ||<|2> '''차량검수''' ||<-2> 중정비: [[운정차량사업소]] || ||<-2> {{{-1 2024년 1단계 구간 운행 기준의 내용이다.[* 안전점검단 시승식을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차량기지에 관한 내용은 노선 연장시 바뀔 예정이다}}}.[br]경정비, 일상정비: [[수서역|SRT 수서역]][br]주박 및 청소: [[동탄역|동탄역 회차선]] || ||<-3> {{{#white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전장''' || TC || 20,670㎜ || || M, T || 19,500㎜ || || '''전폭''' ||<-2> 3,050㎜(최대 3,150㎜) || || '''전고''' ||<-2> 3,750㎜ || || '''궤간''' ||<-2> 1,435㎜ || || '''대차''' ||<-2> 공기스프링식 볼스터리스 대차[* 간선형이나 고속차량에 적용되는 링크암 대차 방식이다.] || || '''재질''' ||<-2> [[알루미늄]] || || '''급전방식''' ||<-2> 교류 25,000V 60Hz || || '''운전보안장치''' ||<-2> [[TVM|ATC]][* 수서평택선은 '''통합연동형 SEI''' 방식이다.], [[열차자동방호장치|ATP]]([[열차자동방호장치|ETCS/ERTMS lv.2]]) || || '''제어방식''' ||<-2> [[도시바]] [[VVVF]]-[[IGBT]] || || '''동력장치''' ||<-2>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영속도 회생제동]] 포함.] || || '''편성출력''' ||<-2> 6,240㎾ || || '''MT비''' ||<-2> 4M 4T || ||<|2> '''최고속도''' || 영업 || 180㎞/h || || 설계 || 198㎞/h || || '''가속도''' ||<-2> 2.5㎞/h·s || ||<|2> '''감속도''' || 상용 || 3.0㎞/h·s || || 비상 || 4.0㎞/h·s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에서 운행중인 전동차로, 총 20개 편성이 도입되었으며. [[현대로템]]에서 제작하였다. == 편성 == 조성 내역은 다음과 같다. ||<-4> '''{{{#9a6292 ↑ 상행 ([[수서역|{{{#9a6292 수서}}}]][*2026년 서울역~수서 구간은 [[2026년 #s-7.2.1|2026년에 개통할 예정이다.]]]·[[운정역(GTX)|{{{#9a6292 운정}}}]] 방면)}}}''' || || '''차량번호''' || '''차종''' || '''호차''' || '''비고''' || || '''{{{#9a6292 A0##}}}''' || GTX-A TC1 || 1 ||<|8> [*좌석형태 전 차량의 좌석이 롱시트 형태다. 쉽게 말해 [[선착순 #s-3|선착순]] 좌석이다. 특이하게 GTX는 일반 지하철 차량과 달리 '''좌석분리대'''를 설치했다. 이를 통해 열차내 [[쩍벌|배려없는 민폐행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장애인 좌석은 편의성을 고려해 좌석분리대가 없다.][br][*선반x 좌석 위의 [[수하물]] [[선반 #s-1|선반]]을 설치하지 않았다. 시승식의 차량소개에서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선반을 설치하지 않은 이유는 [[유실물센터|분실물 방지]], [[테러|테러방지]], [[경량 #s-1|차량 경량화]]에 목적이 있었다고 한다.][br][*배려좌석 도시광역전철 차량과 마찬가지로 일부 시트의 끝에 임산부 배려석, 그리고 차량의 가장자리 시트는 교통약자 배려석이 배치되어 있다.[br]교통약자 배려석은 '''절대 경로 전용좌석이 아니다'''. 임산부, 부상자, 휠체어 탑승 고객, 어린이 등 모든 [[교통약자]]의 착석이 가능하다.] || || '''{{{#9a6292 A1##}}}''' || GTX-A M1 || 2 || || '''{{{#9a6292 A2##}}}''' || GTX-A T' || 3 || || '''{{{#9a6292 A3##}}}''' || GTX-A M2 || 4 || || '''{{{#9a6292 A4##}}}''' || GTX-A M2 || 5 || || '''{{{#9a6292 A5##}}}''' || GTX-A T' || 6 || || '''{{{#9a6292 A6##}}}''' || GTX-A M1 || 7 || || '''{{{#9a6292 A7##}}}''' || GTX-A TC2 || 8 || ||<-4> '''{{{#9a6292 ↓ 하행 ([[동탄역|{{{#9a6292 동탄}}}]]·[[서울역|{{{#9a6292 서울}}}]][*2026년] 방면)}}}''' || * 팬터그래프가 무동력차인 3호차와 6호차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45408|#]][* [[누리로]]와 [[동해산타열차]] 차량인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도 마찬가지로 팬터그래프가 있는 곳이 무동력 칸이다.] * 시승식에서 알려진 정보로서 일부 차량은 앞뒤가 바뀌어 있다.[* 하지만 아직 큰 문제는 없다. 동일 스펙 차량을 사용하는 [[ITX-청춘]]처럼 지정좌석제 열차가 아니기 때문에 큰 혼동은 없을 것이다. 이는 향후 건설될 [[운정차량사업소]]를 통해서 해결될 수 있다.] == 특징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 노선에서의 운행을 위해 도입된 [[통근열차|통근형 전동차]]이다. 롱시트를 탑재한 통근형 전동차 형태로 발주, 제작됨으로써 한국에서 가장 빠른 통근형 전동차 타이들을 얻게 되었다. * 통근형 전동차임에도 불구하고, 180km/h급 고속 주행을 위해 대차, 추진시스템이 [[KTX-이음]] 등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국토교통부]]와 [[국가철도공단]], [[SG레일]]에서 [[크로스레일]]을 참고하여 발주했기 때문에 [[영국철도 345형]]과도 닮은 부분이 있다.] [[https://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48|#]][[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98187|#]] * 정차 직전까지 회생제동을 유지하는 [[영속도 회생제동]] 기술이 적용되었다. * 출입문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같이 측면 3개의 출입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및 [[도시철도]] 노선들과 선로 및 승강장 공유를 하지 않는다. (수서-동탄 구간은 수서평택고속선의 선로를 같이 사용하나, 승강장을 따로 사용한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도 3도어로 개념도가 나왔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C노선]]에 투입될 전동차는 [[인덕원역]]등을 공유하기 때문에 미정.] 열차 기밀환경을 유지하면서 승하차 시간도 줄이기 위해 1,300 ㎜ 폭의 단문형 출입문이 채택되었다. [[https://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23|#]][[https://www.youtube.com/watch?v=_6IJ8tTrTHA|#]] * 고무 바닥재 대신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친환경 항균 카펫이 채택되었다. [[https://blog.hyundai-rotem.co.kr/783|#]] * 한국 철도차량 최초로 그라데이션 도장이 적용되었다. * [[KTX|고속철]] [[SRT|전동차]]와 [[TVM #s-4|고속선 구원기]][* [[7500호대 디젤기관차]] 7573~7576호]를 제외하고 '''최초로''' [[고속선 ATC]]가 신호장치로 설치된 차량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 셔틀 전동열차처럼 고속선을 경유한다. * 차내 [[LCD]]로 실시간 운행속도가 km/h 단위로 나온다.[* [[신분당선]]이나 [[우이신설선]]과 유사하다. 그리고 과거 KTX에도 고속주행시 속도가 나온 적이 있다.] 다만 '''100km/h 이상일 때만 표기되며 최고 속도는 180km/h'''이다. * 타 수도권 전철과 달리 종이 재질의 단일 [[노선도]]와 전체 노선도가 설치되지 않았다. 이는 GTX와 타 전철의 차별성을 드러내는 것일 수도 있고, 공간이 부족한 것일수도 있으나 그냥 안 붙인 것일 수도 있다. * 390㎾의 대용량 견인전동기를 적용하여 가속 성능이 매우 준수하다. 저속 영역은 타 전동차와 비슷하지만, 고속 영역의 가속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0~120km/h까지 걸리는 시간이 '''무려 49초'''로 그 가속 좋기로 유명한 '''[[케이큐 1000형 전동차]] 12M0T 편성'''[* 그냥 1000형도 아니고 전 차량이 모터카로 구성된 괴물열차다.]과 맞먹는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472615|#]] == 공개 전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전동차 목업.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전동차 목업 내부.jpg|width=100%]]}}}|| || 목업 외부 || 목업 내부 || 2021년 4월 11일, 목업이 공개되었다. 4월 20일부터 5월 6일까지 GTX A노선이 정차할 예정인 교통 거점 지역에서 열차 목업 품평회를 개최하였다. [[http://m.molit.go.kr/viewer/skin/doc.html?fn=45a1dc70bf90b8a3c89aeca89bde754c&rs=/viewer/result/20210419|국토교통부 보도자료]] [[파일:GTX_A_mock-up_show.png]] 4월 20일~22일까지는 동탄신도시 [[동탄여울공원]]에서, 4월 27일~29일까지는 [[수서역]]에서, 5월 4일~6일까지는 정발산역 인근 [[일산문화공원]]에서 전시를 했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상으로는 '킨텍스 문화공원'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오기이다. 킨텍스 인근에는 문화공원이 없다. 지도와 주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곳은 일산문화공원으로 과거 '미관광장'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공원 또는 광장이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TX_A_차량_동탄.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TX_A_차량_일산.jpg|width=100%]]}}}|| ||<-2> 동탄신도시 동탄여울공원과 [[일산동구]] 일산문화공원에서 전시된 모습 || 차량은 전두부 1량이 전시되었고, 차내의 의자 색상, 천장 손잡이 모양, 기둥식 손잡이 모양은 A, B, C 형으로 나누어 전시되었다. 전시기간 중에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A, B, C 형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이보다 이전인 2020년에는 대화역 지하 맞이방 등에 패널을 걸어놓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선호도 조사를 미리 진행하였다.] 계획상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33488&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pos=-230829&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GTX-A&page=1|2022년 9월]]에 초도편성이 반입될 예정이었으나 [[https://m.clien.net/service/board/park/17465495|국토교통부 발표자료]]를 통해 2023년 1월로 연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2022년 11월 8일, 실차 모습이 유출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35313|#]] == 분류 == === 1차분 (2023~2024) === * [[운정차량사업소]] 소속: A01~A15편성 (총 15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제어방식: [[VVVF]]-[[IGBT]]{{{-3 ([[도시바]])}}}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3석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운정 ~ 삼성 구간 개통을 위해 [[SG레일]]이 발주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A01편성은 수서 ~ 동탄 구간에 차출되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TX-A 출고식.jpg|width=100%]]}}}|| ||[[12월 19일]],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 [[박완수]] [[경상남도지사]], [[홍남표]] [[창원시장]], [[이동환(1966)|이동환]] [[고양시장]], [[윤후덕]] [[파주시 갑]]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홍정민]] [[고양시 병]]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이용우(1964)|이용우]] [[고양시 정]]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첫 차량의 출고식이 진행되었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7636|#1]][[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69532|#2]][[https://youtu.be/gi7JFSPlBNc|#3]]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TXA 시운전.jpg|width=100%]]}}}|| || [[오송역]]으로 반입된 차량은 인근의 오송차량기지와 연결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시험선로에서 시운전을 진행했고, 2023년 4월부터는 [[중부내륙선]]에서 시운전을 개시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f8fvp563TM, 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XTHPEAoYW8, width=100%)]}}}|| || 시운전 영상 || ||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 '''01''' || 2023년 8월 21일 || 2024년 4월 예정 ||<|15> [[진해선]] [[신창원역]] || [[충북선]] [[오송역]] || [[수서평택고속선]] [[수서역]] || || '''02''' || [[https://youtu.be/bJlQgaa6zo4?si=HYZlpnX1XEJgdqJL|2023년 11월 15일]] ||<|14> 시운전 중 ||<|14> [[경부선]] [[의왕역]] ||<|14> [[경의선]] [[문산차량사업소]] || || '''03''' || [[https://youtu.be/KLLKPXmLh-w|2023년 7월 13일]] || || '''04''' || 2023년 6월 8일 || || '''05'''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88567|2023년 6월 1일]] || || '''06''' || 2023년 6월 15일 || || '''07''' || 2023년 6월 22일 || || '''08''' || [[https://cafe.naver.com/korailslr/111573|2023년 7월 6일]] || || '''09''' ||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428807|2023년 10월 17일]] || || '''10''' || 2023년 11월 28일 || || '''11''' || [[https://m.dcinside.com/board/train/1199636|2024년 1월 24일]] || || '''12''' || 2024년 2월 13일 || || '''13''' || [[https://www.youtube.com/watch?v=xk6KzrJd7Yo|2024년 2월 21일]] || || '''14''' || [[https://m.dcinside.com/board/train/1199446|2024년 1월 17일]] || || '''15''' || [[https://m.blog.naver.com/lukas0409/223368237439|2024년 2월 27일]]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AalnBlEVc, width=100%)]}}}|| || [[문산차량사업소]]에 유치되어 있던 02편성이 [[2024년]] 1월 2일부터 1월 4일까지 3일에 걸쳐 육로로 수송되었다. 이는 [[운정차량사업소]]에 최초 차량 반입이다. || === 2차분 (2023~2024) === * [[운정차량사업소]] 소속: A16~A20편성 (총 5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제어방식: [[VVVF]]-[[IGBT]]{{{-3 ([[도시바]])}}}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3석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삼성 ~ 동탄 구간 개통을 위해 [[국가철도공단]]이 발주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세부적인 사항은 1차분과 동일하다. ||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 '''16''' || [[https://cafe.naver.com/korailslr/113028|2023년 9월 26일]] ||<|5> 2024년 3월 30일 ||<|5> [[진해선]] [[신창원역]] ||<|5> [[경전선]] [[진례역]] ||<|5> [[중부내륙선]] [[충주역]] || || '''17''' || [[https://youtu.be/ACjO6hKriwM?si=-3w27_LDS8-a92-L|2023년 10월 25일]] || || '''18''' || [[https://youtu.be/M0QgIALRCi0?si=GSlymH9-HxQAJgDX|2023년 12월 14일]] || || '''19'''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450007|2024년 1월 9일]] || || '''20'''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433785|2023년 11월 9일]] || == 시운전 == [[전동역]]~[[오송역]] 철도차량종합시험선로에서 시운전을 진행한 후 몇 개월을 [[중부내륙선]]에서 시운전을 했다. 그리고 개통 시기가 가까워지면서 영업운행을 할 [[수서평택고속선]] 구간으로 반입됐다.[* 중부내륙선은 (준)고속철도로서 높은 속도의 시운전이 가능한 노선이다. 또한 2023 ~ 2024년을 기준으로 KTX 운행이 왕복 4회 밖에 없기 때문에 다양한 시간대에 시운전했을 가능성이 크다.] 차량이 영업운행을 하는 곳에서만 시운전을 하지 않고 다양한 노선을 다니는 것은 이제는 익숙한 일이 되었다.[* 비슷한 예시로 [[KTX-이음]]의 [[호남고속선]] 시운전, [[KTX-청룡]]의 [[경강선]] 시운전, [[TEC 전동차]](누리로)의 [[경춘선]] 시운전 이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