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ITX-청춘, rd1=ITX-청춘)] [include(틀:수도권 광역전철 노선)] [include(틀:수도권 전철 경춘선)]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50]]||{{{#178c72 '''수도권 전철 {{{+1 경춘선}}}'''[br]{{{-1 首都圈 電鐵}}} 京春線[br]{{{-1 Seoul Metropolitan Subway}}} [br]Gyeongchun Line}}}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15px" [[파일:경춘선 전동열차-361x12.jpg|width=100%]]}}}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 ||<-2> {{{#white '''노선도'''}}}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수도권 전철 경춘선 노선도(2022_07).svg|width=100%]]}}} || ||<-2> {{{#fff '''노선 정보'''}}} || || '''분류''' ||[[대한민국의 일반철도|일반철도]], [[광역철도]][* 망우역~금곡역 구간]|| || '''기점''' ||[[청량리역]][* 일 10회만 정차한다.], [[광운대역]][* [[망우선]] 지선을 이용한다. 춘천발 광운대행 열차는 평일에만 하루에 2회 운행한다.]|| || '''종점''' ||[[춘천역]]|| || '''역 수''' ||25개|| || '''구성 노선''' ||[[중앙선]] (청량리 - 상봉) [br][[망우선]] (망우 - 광운대) [br][[경춘선]] (망우 - 춘천)|| ||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178c72;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청록색 {{{-2 (#178C72)}}}}}}}}}|| || '''개업일''' ||[[2010년]] [[12월 21일]]^^([age(2010-12-21)]주년)^^ || ||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 '''사용차량'''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 '''차량기지''' ||[[평내차량사업소]]|| ||<-2>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90.2km|| || '''궤간''' ||1,435mm|| || '''선로구성'''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복선|복선]]|| || '''급전방식'''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 '''신호방식''' ||[[열차자동정지장치#s-2.3|ATS-S2, ATP(안살도)]]|| || '''최고속도''' ||110km/h|| || '''표정속도''' ||상봉~춘천: 60.2km/h[br]청량리~춘천 완행: 55km/h[br]급행: 64km/h[* 상봉~춘천은 68km/h] || || '''지하구간''' ||없음|| || '''통행방향''' ||좌측통행|| || '''개통 연혁''' ||2010. 12. 21. [[상봉역|상봉]] ↔ [[춘천역|춘천]][br]2012. 12. 15. [[별내역|별내]][br]2013. 11. 04. [[광운대역|광운대]] ↔ [[상봉역|상봉]][br]2013. 11. 30. [[천마산역|천마산]][br]2013. 12. 28. [[신내역|신내]][br]2016. 09. 26. [[청량리역|청량리]] ↔ [[상봉역|상봉]]|| || '''개통 예정''' ||미정. [[왕숙역|왕숙]]||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경춘선]] 무궁화호를 대체하여 신설된 전철 노선으로, 노선색은 [[청록색|{{{#178c72 ● 청록색}}}]]이다. 운행 열차 도색은 파란색 띠 형태이다. [[신내역]]에서 [[서울 지하철 6호선]], [[상봉역]]과 [[망우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연계되며, 상봉역에서는 [[서울 지하철 7호선]]과도 연계된다. 2016년 9월 26일부터는 [[청량리역]]까지 일부 열차가 연장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 및 일반 여객열차도 이용할 수 있다. 2017년 12월 15일부터 일부 열차의 편성이 조정되기 시작하여, 2018년 1월 26일 ~ 2018년 3월 22일까지 2018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기간에 맞춰 [[강릉선 KTX]]를 통해 선수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상봉역까지 단축 운행했다. 경춘선 전철 개통 후 명목상 [[경원선]] 구간을 지나지만, 직접 접속되지 않고 [[망우선]]을 지나야 접속된다. == 건설 목적 == * '''일반열차 대체를 통한 연선 지역의 광역철도 공급''' [[경춘선]]의 전철화 목적. 경춘선 선로의 복선 전철화 및 직선화 개량으로 과거에 비해 운영비용과 소요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보았다. 또한 [[별내신도시]], [[평내호평지구]], [[화도읍|화도(마석)]] 등 [[남양주시]] 중부와 [[가평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에도 [[수도권 전철]]이 들어서게 되었다. 다만 경춘선 전철화를 통한 [[서울양양고속도로]]와 [[46번 국도]](경춘국도)의 교통 혼잡 완화에는 실패하였는데, 이는 춘천시의 넓은 범위에 비해 전철이 커버하는 지역이 너무 적어서인 것으로 보인다. * '''수도권 동북부에서 서울 도심으로의 접근성 확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연장 목적. 개통 초기 경춘선 전철은 [[중앙선]]의 선로 용량 문제로 [[상봉역]]에서 종착했고, 다행히 강남은 상봉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으로 환승하면 바로 갈 수 있었지만, 강북 도심의 경우 상봉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으로 갈아탄 후 [[청량리역]] 또는 [[왕십리역]]에서 다시 [[수도권 전철 1호선|도심]][[서울 지하철 2호선|행 ]][[수도권 전철 5호선|노선]]으로 갈아타는 2회 환승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접근성이 매우 떨어졌다. 이에 2016년 일부 편성을 청량리역으로 연장하여 이용객들의 불편을 조금이나마 줄여주었다. == 역사 == || 시기 || 해당 사항 || 역 개수 || 계통 || 비고 || ||<|2> 2010.12.21. || 상봉역~망우역 || 2 || 중 || || || 망우역~춘천역 || 16 || 경 || [* 신내역, 별내역, 천마산역, 왕숙역 제외] || || 2012.12.15. || 별내역 || 1 || 경 || || || 2013.11.04. || 광운대역~상봉역 || 1 || 망 || || || 2013.11.30. || 천마산역 || 1 || 경 || || || 2013.12.28. || 신내역 || 1 || 경 || || || 2016.09.26. || 청랑리역~상봉역 || 3 || 중 || || || --미정.-- || --왕숙역-- || 1 || 경 || || * 운행계통: 경춘선(경), 중앙선(중), 망우선(망) === 개통 전 === 경춘선을 복선전철화하고 그 위에 [[수도권 전철]]을 운행하는 계획은 역사가 오래됐는데, [[1978년]]부터 [[성북역]] - [[퇴계원역]] 구간을 복선전철화하는 계획이 있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060300239107001|「首都圈철도 電鐵체제로 84㎞ 複線化」]], 조선일보, 1978-06-03] 그리고 [[제13대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도 언급됐다. 또한 비슷한 시기 서울시에서 작성한 지하철 계획에서는 [[광운대역|성북]] - [[퇴계원역|퇴계원]] 구간을 복선전철화해 지하철 차량을 투입하려는 계획도 있었다. 1990년대에 경춘선 복선전철화는 타당성 조사를 마쳤지만 그 뒤로는 사업비가 배정되지 않아 진척이 없다가 1997년에 예산이 배정되면서 다시 사업이 추진됐다. 최종적으로 성북 - 청량리 간 용량 포화 문제 및 평면교차 문제 해결을 위해 종점을 [[망우역]]으로 바꾸었고, 그 외 다수의 굴곡 노선 구간도 직선으로 개량하기로 하여 1999년에 착공됐다. 망우역에서 금곡역까지는 [[광역철도]] 사업으로써 진행되어 지자체가 비용의 25%를 부담했으며 금곡역에서 춘천역까지는 일반철도 사업으로써 전액 국비로 충당됐다. 그러나 예산 배정의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밀려 공사가 지연되면서 본래 2003년 개통이었던 것은 계속 그 시기가 밀려나갔다. 그러다가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예산 배정이 늘어나 추가적인 지연은 면하게 됐다. === 개통 후 === || [[파일:1292976379.jpg]] || || [[2010년]] [[12월 21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식. [[이명박]]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 참석했다. || [[2010년]] [[12월 21일]] 복선 전철화 공사가 끝나 경춘선에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이 시작됐다. [[갈매역]]이 신설되고, [[상봉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과 환승 가능하고, [[신내역]]에서는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과 환승 가능하다. 당시에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지선으로 취급됐으나 운행 체계는 분리되어 있다.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광운대역|성북(현 광운대)역]]에서 [[갈매역]]간의 선로는 폐선되고 경춘선은 [[상봉역]]에서 발착해서 [[신내역]]과 [[별내역]]을 거쳐 [[퇴계원역]]과 연결됐다. 공사비는 1997년부터 2010년까지 2조 7,483억 원이 투입됐다. 새로 개통된 경춘선 전철의 상봉~춘천 간 소요 시간은 1시간 19분 내외로 무궁화호 시절의 약 2/3 수준이다. 2012년부터는 [[ITX-청춘]]이 용산역에서 출발해 청량리역, 상봉역을 거쳐 춘천역까지 이어준다. === 종점 문제 === [[강원특별자치도]]와 [[춘천시]]에서는 노선 변경으로 인한 종착역 변경 요청을 국토부에 제기했고, 임시 계통으로 종착역을 [[용산역]]이나 [[청량리역]]으로도 하겠다는 발표도 했지만 이미 [[중앙선]]이나 [[경원선]]이나 서울 도심의 선로 용량은 한계까지 가용되고 있기 때문에 당초 예정인 [[상봉역]]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또한 [[청평역]]에서 종착하여 종착역을 이원화하는 방안도 있었지만, [[가평군]]과 [[춘천시]]의 반대로 무산됐다. [[청평역]]에서 [[춘천역]] 방향을 보면 경춘선 선로 2가닥 사이에 선로가 하나 더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청평역]] 종착 방안의 흔적이다. 경춘선 전철의 종점은 [[상봉역]]으로, 서울 4대문 안의 도심으로 진입하려면 상봉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해야 하고, 다시 [[회기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또는 [[왕십리역]]에서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혹은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으로 다시 한 번 갈아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광운대역]]에서 [[상봉역]]까지 [[망우선]]을 개량하여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고 있다. 다만 이 노선은 북쪽으로 올라왔다가 다시 내려가야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심 접근성이 강화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왕십리역]]으로 가기 위해선 이 운행 계통도 마찬가지로 2번 환승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그래서 일부 승객들은 [[망우선]]과 [[경원선]]이 만나는 시작점인 [[석계역]]과 [[신이문역]]에서 환승할 수 있게끔 시정하기를 원하기도 한다. 그래서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는 단기적 방안으로 신호 개량을 통해 2016년 9월 26일에 일반열차 일부를 [[청량리역]]까지 연장하기로 계획했다. 국토부와 한국철도공사는 단기 방안으로 신호 개량을 통한 2016년 상반기 청량리 편도 20회 연장운행과 장기방안으로 용산~청량리~망우 2복선화 추진을 위해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http://www.kyeonggi.com/862454|「경춘선 일반 열차 용산역 연장 운행 ‘파란불’」]], 경기일보, 2014-11-10] 2016년 하반기부터 일반열차 왕복 20회와 급행열차 운행을 재개해 왕복 10회 정도를 [[청량리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나왔다. 청량리~망우 복복선화 추진과 연계해 54회 전부를 청량리로 연장할 계획도 추진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2023년까지 경춘선 청량리 - 망우 복복선화를 완료시킬 예정이다.[* [[http://www.gnnews.org/news/articleView.html?idxno=480|「경춘선 청량리 연장 일단 10회만 운행」]], 구리남양주뉴스, 2015-03-02] 6호선 신내역이 2019년 12월 21일 개통했다. 다만 6호선 신내역 배차 간격도 러시아워를 제외하면 20분이 넘어가기 때문에 이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파일:1471744707.jpg]] [[http://cafe.daum.net/kicha/ANj/42764?|출처: 다음 카페(Rail+ 철도동호회)]] 2016년 8월 20일에 [[청량리역]]까지 연장운행하는 열차의 시각표가 공개됐다. 일부 시간대에는 [[평내호평역|평내호평]]발 [[마석역|마석]]행 열차도 있으며 2016년 9월 26일부터 운행한다. 다만 출퇴근 시간대의 경우 망우~청량리 구간의 시간당 선로 용량이 초과이므로 투입하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당초 출퇴근시간대 투입을 고려했으나 [[ITX-청춘]]의 채산성 감소와 [[중앙선]]의 190%에 육박하는 혼잡도로 감편이 불가함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현재의 시간표가 나온 것이다. 또한 당초 정부와 지자체 간의 협의에 따라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에서 [[2017년]] [[1월 31일]]부터 평일 경춘선 급행열차 운행이 재개됐다. 다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의 선로상의 혼잡함으로 인해 [[ITX-청춘]]의 운행도 평일에 5회 줄여서 남는 편성을 [[경부선]]에 투입했으나, 지연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해 해당 운행 계통은 영업을 중단했다. == 운행 차량 == *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 적자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사업 중 심각한 적자노선 중 하나이다. [[2018년]] [[국정감사]]를 위해 [[한국철도공사]]에서 국회 국토위 소속 [[서구 갑(인천광역시)|인천 서구 갑]] [[자유한국당]] [[이학재]] [[국회의원]]에게 제출한 자료가 공개됐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22/2018102201899.html|「[단독] 코레일 적자 주범이 SR?...광역철도·물류가 적자」]], 조선비즈, 2018-10-23] 여기서 [[일산선]]은 [[2017년]] 514억원의 영업 적자를 내서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중 가장 적자폭이 심각했다. 문제는 그 다음 순위가 [[안산선]](431억 원 적자)과 [[경춘선]](429억 원 적자)이라는 것이다. [[경부선|경부본선]](313억원 적자)보다도 적자폭이 크다. 경춘선의 연선 인구 수를 대비해 보면 수도권 전철의 상위권 평균인 2만 명 이상 이용하는 역이 단 한 곳도 없으며, 1만 명 이상 이용하는 역도 용산역, 평내호평역, 남춘천역뿐으로 분담률이 낮다. 이러한 원인에는 경춘선 일반 전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남양주시]] 승객들이 역에서 타고서 중간에서 잘 내리지 않고, 상봉에서 대개 끊기므로 목적지로 가기 위해 다른 노선으로 갈아타서 어떤 노선이 됐든 최종적으로는 경춘선이 아닌 노선의 게이트를 통해 나가게 되고, 그 반대의 경우는 서울시내 아무 역에서 승차해서 경춘선 역들에서 내리기만 하는 이동 패턴이 많이 나타나는, 즉 환승용 노선의 문제점이 고질적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특히 남양주시는 현재 테크노벨리나 기업체 등의 업무지구가 전무한 베드타운이고 [[가평군]]은 그린벨트가 대부분이라 개발 자체를 할 수 없는 시골이다. 또, 경춘선 권역 내 동네간 이동 수요도 매우 적다. 원래부터 경춘선 축이 아닌 [[경춘로]] 축 마석~평내호평~금곡~도농~구리 교류였을 뿐, 마석에서 퇴계원이나 사릉을 직접 가는 수요는 아예 없다시피한다. 또 마석, 평내호평 ,금곡↔도농, 구리 같은 구간 중간 수요는 버스가 전부 분담 중이다. 그리고 마석↔평내호평↔금곡, 갈매↔별내↔퇴계원 등 인근 지역을 가려 할 시에는 주거지에서 멀리 떨어져 버스를 타고 가야 하는 경춘선 역을 이용하지 않는다. 또한 남양주시 교통에서 결절점 역할을 하는 역이 관내에 아예 없고 [[마석역]], [[퇴계원역]]등의 역들은 접속하는 도로가 매우 협소해 교통체증이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역의 위치가 해당 지역의 중심지와 일치하지 않는다. [[갈매역]]이나 [[평내호평역]], 시가지가 작은 [[퇴계원역]] 정도만 도시의 중심에 역이 있고 나머지는 심각한 수준이다. [[별내역]]은 별내신도시의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사릉역]] 또한 꽤 걸어가야 주거지가 나오며, [[금곡역(경춘선)|금곡역]]은 가장 주요한 수요처인 시청과 한참 떨어져 있고, [[천마산역]]은 주위에 빌라만 있으며, [[마석역]]은 앞뒤에 산이 있는 시가지 동쪽 끝에 위치한다. 만일 [[도농역]]에서 경의·중앙선과 합류를 하거나, 이게 아니더라도 구리 시내에 가깝게 노선이 짜여졌었다면 물갈이가 잘 돼서 게이트 실적에 더 큰 도움이 됐을 지도 모르는 일이다. 더군다나 이 경우 [[왕숙신도시]]는 계획조차 없었던 당시 상황상 도농역 동측의 논밭에 입체교차 시설을 추가해서 경의·중앙선과의 직결 운행을 도모해볼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경의·중앙선, 경춘선과 중복되어 연장이 지지부진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연장이 지금보다 탄력을 받았을 것이며, 경춘선 폐선 구간을 대체해 별내, 퇴계원 방향으로 6호선 연장을 시도해 볼 만했을 것이다. 미래에 [[수도권 전철 8호선|8호선]]의 연장선인 [[별내선]]이 [[별내역]]에서 환승되긴 하지만, 8호선이 서울 [[잠실역]]으로 곧바로 이어지기에 별내에서 내려서 게이트를 빠져나가려는 시민들이 적을 것이다. [[진접선]]의 경우 외곽에서 끊기는 문제는 없는지라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진접 연장이 개통된 이후 [[사릉역]]의 이용객이 감소해 적자 해소 전망은 매우 어둡다. 적자를 해소하려면 평내호평역에서 도농역 방향으로 철도노선이 뚫려야 가능할 것이다. 실제로 [[1992년]] 경춘선을 도농역 분기로 이설하는 계획이 추진됐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93년]], 경춘선, 중앙선의 복선전철화 계획, 당시 단선인 중앙선의 선로 용량 문제, [[퇴계원역]], [[사릉역]] 주변 주민들의 반발 가능성으로 인한 남양주군의 이설 반대로 인해 백지화됐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3080800239117007|「「경춘선移設」돌연 백지화」]], 조선일보, 1993-08-08] 이후 [[1996년]] 현재와 같은 [[망우역]] 분기 노선으로 이설이 확정됐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00400329121001|「京春(경춘)철도 일부구간 이설」]], 경향신문, 1996-10-14] 그러나 경춘선을 현재와 같이 지었던 이유는 [[진접읍]]과 [[오남읍]]에서 버스를 타고 [[사릉역]]을 이용하는 수요 문제도 있었다. 구리에 가깝게 노선을 짰다면 진접읍과 오남읍은 [[진접선]]이 지어지지 않았다면 아예 철도 사각지대가 되기 때문이었다. == 운행 환경 == === 안내방송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차내 안내방송에 대한, 문서명=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역내 안내방송에 대한, 문서명=안내방송/역)] || 운영사 ||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 || || 한국어 || [[보이스웨어]] 혜련 || || 영어 || [[보이스웨어]] Julie || || 중국어 || 조홍매 || || 일본어 || 교코 || || 출발 BGM || 코레일 ID송 || || 환승 BGM || [[얼씨구야]] || || 종착 BGM || 코레일 로고송 || === 혼잡 구간 === 2021년 기준 최대 혼잡 구간 [[망우역]]→[[상봉역]] 139% 경춘선의 특성상 대학생 MT수요, 주말에 노인들과 겹치는 가평, 춘천행 관광수요 등과 겹쳐서 주말이나 여름철, 연휴때는 상하행 공통으로 혼잡도가 매우 심각하다. 또 위 노선이 서울 시내에 비해서는 배차 간격이 심하게 넓은 편이다. * '''서울시, 남양주시 구간([[청량리역]](일부 열차만)·[[상봉역]]~[[마석역]])''': 남양주 북부 구간의 대표적인 노선이다. 경춘선 복선전철 개통 후 남양주 북부지역(평내동, 호평동 등)에서 서울로 오는 승객이 많이 이용한다. 출퇴근시간대에는 이미 [[춘천역]], [[남춘천역]], [[가평역]], [[청평역]] 등에서 승객이 많이 타서 혼잡한 상태이며 [[마석역]]을 지나면 열차가 더욱 혼잡해지고 [[평내호평역]]을 지나면 가축수송이 일어난다. 이 승객은 [[신내역]], [[망우역]], [[상봉역]]에서 각각 6호선, 경의·중앙선, 7호선 환승객에 의해 많은 승객이 내린다. 특히 7호선 환승객이 많은데, 군자역에서 5호선을 통해 종로나 광화문, 여의도 등의 도심권으로 갈 수 있지만 도심권 승객들은 대부분 버스를 이용하는 비중이 높으며 7호선은 강남권과 연계되기 때문에 주로 강남으로 가는 승객만 경춘선을 탄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리고 청량리행의 경우 [[회기역]]과 [[청량리역]]에서도 승객이 많이 내린다. 중간에 내리는 승객도 있지만 타는 승객이 압도적으로 많다. 또한 MT철에는 주말 아침 [[대성리역]]에서 많은 대학생들이 타서 자리가 모두 찬다. 여기에 [[별내역]]에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이 들어오면 혼잡도가 오를 예정이다. * 가평군, 춘천시 구간([[마석역]]~[[춘천역]]): 이 구간은 출퇴근 시간대에는 [[평내호평역]]에서 많은 승객이 내려 혼잡도가 높지 않지만, 주말에는 혼잡도가 높다. 특히 MT철에는 승객이 매우 많은데, 출퇴근시간에 혼잡한 경우 [[별내역]]~[[마석역]]까지 가면 승객이 점점 하차하지만, 주말이나 MT기간에는 [[청평역]], [[가평역]], [[남춘천역]]까지 가야 승객이 많이 하차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철도/수도권 전철, version=656)] == 전 구간 주행 영상[* 일부 영상 촬영 당시 일부 역의 스크린도어가 공사 중이었거나 설치 전이었다.] == ||[youtube(LxaHKN0J0R4)]|| || {{{#white '''▲ [[춘천역|{{{#white '''춘천역'''}}}]] {{{#white '''→'''}}} [[청량리역|{{{#white '''청량리역'''}}}]] 전 구간 주행 영상'''}}} || ||[youtube(F8HsS-Trudw)]|| || {{{#white '''▲ [[청량리역|{{{#white '''청량리역'''}}}]] {{{#white '''→'''}}} [[춘천역|{{{#white '''춘천역'''}}}]] 전 구간 주행 영상'''}}} || ||[youtube(3HAwhMc3E6g)]|| || {{{#white '''▲ [[청량리역|{{{#white '''청량리역'''}}}]] {{{#white '''→'''}}} [[춘천역|{{{#white '''춘천역'''}}}]] 급행 전 구간 주행 영상'''}}}[* 해당 영상은 청량리역 승강장 이전 전에 촬영한 영상이다.] || ||[youtube(I16VT0q1w0k)]|| || {{{#white '''▲ [[상봉역|{{{#white '''상봉역'''}}}]] {{{#white '''→'''}}} [[광운대역|{{{#white '''광운대역'''}}}]] 주행 영상'''}}} || ||[youtube(RPTKedlp9j4)]|| || {{{#white '''▲ [[광운대역|{{{#white '''광운대역'''}}}]] {{{#white '''→'''}}} [[상봉역|{{{#white '''상봉역'''}}}]] 주행 영상'''}}} ||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노원구]]:''' [[광운대역|광운대(119)]] (1/25)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역|청량리(K117)]], [[회기역|회기(K118)]] (2/25) *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랑역|중랑(K119)]]~[[신내역|신내(P122)]] (4/25) * '''[[경기도]] [[구리시]]:''' [[갈매역|갈매(P123)]] (1/25)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역|별내(P124)]]~[[마석역|마석(P130)]] (7/25) * '''[[경기도]] [[가평군]]:''' [[대성리역|대성리(P131)]]~[[가평역|가평(P134)]] (4/25)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굴봉산역|굴봉산(P135)]]~[[춘천역|춘천(P140)]] (6/25) == 급행 == 정차역: '''[[청량리역|청량리]] - [[회기역|회기]] - [[상봉역|상봉]] - [[갈매역|갈매]] - [[별내역|별내]] - [[퇴계원역|퇴계원]] - [[사릉역|사릉]] - [[평내호평역|평내호평]] - [[마석역|마석]] - [[청평역|청평]] - [[가평역|가평]] - [[강촌역|강촌]] - [[남춘천역|남춘천]] - [[춘천역|춘천]]''' [[ITX-청춘]] 운행과 함께 급행열차 운행이 종료된 후 꾸준히 반발이 나타나다 ITX-청춘 요금 인상으로 불만이 폭발하면서 급행열차가 부활했다. 평일 상행 2회, 하행 3회 운행하며 주말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표정속도]]는 청량리~춘천 기준 64km/h로 경부선의 [[통일호]](KTX 운행 전 폐지된 열차)나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s-4.3.2|서울역 급행]]에 준한다. == [[/연장|연장 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도권 전철 경춘선/연장)] == 배차 간격 == [[수도권 전철]] 중에서 긴 배차 간격을 가지고 있고 막차시간대도 상당히 이른 시간대이다. 정례행사화된 철도노조의 일방적 파업돌입으로 인해 2019년 11월 20일부로 배차 간격이 1시간 이상 벌어진 시간대도 생겼으며, 2019년 9월 27일에 한국철도공사에서는 ITX-청춘을 포함해 현재의 경춘선 배차 간격을 수요에 맞게 적절히 공급하고 있어서 당장의 증편 계획은 없다고 설명하고 있고, 청량리 - 망우 구간 복복선 사업이 완료될 즈음에 다시 재검토하겠다는 공식입장을 밝힌 상태이다. 개통 초부터 2012년 2월까지는 30~90분 간격으로 일반 전동차로 급행열차를 운행했으며, 급행 정차역은 상봉 - 퇴계원 - 평내호평 - 마석 - 청평 - 가평 - 강촌 - 남춘천 - 춘천이었다. 다만 청평과 강촌에는 주말과 공휴일에만 정차했다. 2011년 6월에 사릉이 급행 정차역으로 추가됐고, 8월에는 청평과 강촌에 평일에도 급행 정차를 하게 되어 평일 급행과 주말 급행의 차이점이 사라졌다. 그리고 [[ITX-청춘]]이 등장하면서 폐지됐었으나 [[2016년]] ITX-청춘의 요금인상 파문에 따른 한국철도공사와 지역당국 간의 합의에 따라 [[2017년]] [[1월 31일]]부터 평일에만 왕복을 합해 5회 운행이 재개됐다.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상에서도 나와있다시피 ITX-청춘의 기존 정차역에 한해 정차하며,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된다(ITX-청춘과의 차이점은 [[회기역]], 현재는 [[갈매역]], [[별내역]] 추가 정차). ITX-청춘 정차역들은 개통과 동시에 일반전철 이용객이 크게 줄었다. 그리고 경춘선은 역간 거리가 긴 구간이 많아 열차의 한계까지 속도를 충분히 내는 경우가 상당하기 때문에 급행과 일반열차와의 상봉-춘천 간 운행 시간 차이는 10분 정도이다. 이 시절에는 급행이 서지 않는 역은 배차 간격이 휴일 기준 20~40분이었다. 만약 전철 1대를 놓쳐서 20분을 기다렸는데 다음 열차가 급행이면 또 20분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최대 배차가 40분이었다. 이 문제는 [[ITX-청춘]]이 들어오면서 26~27분으로 시간표를 다시 짜면서 약간이나마 해결됐다. ITX-청춘이 개통할 무렵 [[사릉역]] 인근 주민들의 핌피 행위가 매우 심했다. 기존에 급행이 정차하지 않았던 지역이면 몰라도 사릉역 같은 경우에는 기존의 배차 간격이 15~20분이었고, 급행 상시 정차에서 ITX-청춘의 출퇴근 시간 6회 정차로 불이익을 봤다는 인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춘선 배차 간격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의 팔당~용문 구간과 같이 수요가 적은 지역인 대성리~춘천 구간을 경유하기 때문에 배차 간격이 다른 노선보다 상당히 긴 편이며, 열차를 한 번 놓치면 20분에서 길게는 30분 가량 기다려야 한다. 이는 [[평내호평역]] 까지는 심한 경우 열차 이동시간보다 배차간격이 길어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경춘선 연선의 인구는 대부분 [[갈매역]]~[[마석역]] 구간 사이에 있으며 [[가평군]]과 [[춘천시]] 구간에서 [[청평역]]과 [[가평역]] [[남춘천역]]과 [[춘천역]]을 제외한 모든 역은 일일이용객이 1000명대 이하인 역인데 다른 노선들과는 달리 종점 이원화도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서울에 있는 신내역, 서울에서 한 정거장 차이인 갈매역과 강원도 [[춘천역]]이 배차 간격이 똑같다. 철도 파업이 일어날 당시에는 배차 간격이 1시간도 넘게 벌어지고는 했었다. 이 때문에 경춘선 연선 지역 중 서울과 가깝고 서울 출퇴근 비율이 높은 남양주 지역에서는 원성이 자자하다. 출근 시간대에도 배차가 1시간에 3~4대 정도밖에 없으며, 평일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2대 있는 시간대도 빈번하다. 전철이면서도 타기 전에 거의 필수적으로 시간대를 알아봐야 하기 때문에 인근 주민들에게는 거의 기차 취급을 받고 있다. 경춘선 전철을 탈 예정이라면 배차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아직도 청량리행 시내버스는 콩나물 시루이며, 심지어 남양주 동부지역은 동대문이나 서울 도심을 진입할 때 잠실행 버스를 이용하여 2호선을 통해 도심으로 진입하기도 한다. [[ITX-청춘]]의 도입으로 일부 수요가 분산됐지만 경춘선 일반 열차의 하행은 일부 아침이나 심야 시간을 제외하면 [[청량리역]]이나 [[상봉역]]에서 만원이 되어 출발을 하는데, 특히 평일 출퇴근 시간과 주말, MT철에 혼잡도가 심각하다. 이 시간대에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할 시 경춘선 탑승객이 더해져 혼잡도가 더욱 심해진다. 열차의 만원 승객은 퇴계원이나 사릉에서부터 빠지기 시작해 평내호평, 마석에 이르러 반 혹은 3분의 2 정도 비어 여유가 생긴다. 역으로 상행에서는 춘천에서 마석까지는 수요가 그렇게 많다고 볼 수는 없지만, 마석과 평내호평에 이르러서 인원이 차기 시작해 차츰 혼잡해진다. 하지만 주말이나 연휴에는 모든 구간이 관광객들로 거의 만원이다. [[한국철도공사]]의 공식적인 통계 자료에 따르면 [[ITX-청춘]]의 경우 [[용산역]]부터 남양주까지는 58% 정도, 일반 전동차의 경우 경의·중앙선과 공용하는 [[상봉역]], [[망우역]]을 제외하면 남양주까지는 64%이고 포함하면 그 이상 되는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거기다 [[레고랜드]] 개장이 이뤄지면서 혼잡도는 더욱 증가했고, 주말 증차요구가 본격적으로 터져나오기 시작했다. 우선 한국철도공사는 2022년 5월 1일부로 레고랜드 개장에 맞춰 주말 ITX-청춘 열차를 증차할 예정이며 일반전동열차도 2회 더 증차할 것으로 보여진다. [[왕숙신도시]] 건설에 맞추어 2024년을 목표로 2편성을 증차한다고 한다. 해당 열차는 기존의 문제점 지적을 받아들여 [[상봉역]]에서 [[마석역]] 구간만을 운행하는 셔틀열차이다.[* [[https://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74|「[Pick] 창릉ㆍ왕숙 신도시 대비 전동차 발주…경춘선 셔틀열차 개통 연기되나」]], 철도경제, 2021-11-16] == 영향 == 경춘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2011년 3월 1일부터 [[춘천시 시내버스]]가 일부 개편되고 새로운 노선도 신설됐다. 덕분에 기존 시내버스가 뜸해서 가기 힘들었던 여행지도 한결 더 편하게 갈 수 있게 됐다. 춘천시 규모 특성상 시내버스의 배차가 서울 수준으로 잦은 편은 아니지만, 그 덕에 [[춘천 버스 150|150번]] 같은 시티투어 성격을 띈 노선은 2011년 상반기 시점에는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이 되기 일쑤였다. 그러나 2012년 하반기 시내버스 개편 후부터는 성수기를 제외하면 나아졌다. 반면 [[남양주시]], [[가평군]]에서 [[청량리역]]으로 가는 [[가평 버스 1330|1330번]]을 비롯한 광역버스 노선들이 거의 정리됐다. [[평내호평역]]에서 상봉까지 열차는 25분 걸리는데, 광역버스는 평일 낮에도 50분이 걸리지만 경춘선의 열차시간표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광역버스도 이용된다. [[대성리역]]과 같은 ITX-청춘 통과역들은 다음 일반열차 이용에 최대 40분까지 벌어지기도 한다. 물론 [[강원고속]]의 [[상봉터미널]] 노선은 바로 큰 타격을 입었고, 초대박 노선이었던 [[동서울터미널]] 노선도 타격을 입었다. 대신 농어촌버스를 전철역과 연계하도록 하고, 특히 가평읍은 아예 터미널과 역만을 연계하는 노선과 따복버스를 신설했다. 또 가평관광지순환버스가 성공적으로 안착해 상황은 나아진 편이다. 이 시티투어 버스는 일부 구간에선 간혹 시외버스 비슷하게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남양주시]]를 독점하고 있던 [[KD 운송그룹]]은 경춘선 전철이 개통한 후 청량리행 광역버스를 모두 정리했고, [[잠실역]]으로 가는 [[남양주 버스 8002|8002번]]과 [[광역급행버스 M2316|M2316번]]에 집중하면서 경춘선 전철에 잃었던 수익금을 다시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 잠실행 노선도 [[수도권 전철 8호선]]([[별내선]]) 개통이 [[2024년]]으로 다가오면서 좋지 못한 상태이다. 시내버스 노선은 [[남양주시]]는 많은 부분을 [[구리시]]에 의존하고 있어서 구리 수요만으로도 그럭저럭 버틴다. 경춘선 전철의 긴 배차와 [[상봉역]] 종착, 앉아가지 못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아직까지도 청량리행 시내버스는 운행 중이다. 그러나 남양주 서북부 지역은 광역버스망조차 조금 빈약하다. 물론 이쪽도 잠실행 광역버스가 많이 운행되고 증차도 되는 추세이지만, 청량리나 서울역 등의 강북권 도심 방면 급행 노선은 없다시피 하다. 대신 서울과 가까운 퇴계원, 별내, 구리 갈매에서는 청량리행 시내버스나 [[태릉입구역]] 및 [[석계역]]으로 가는 버스들을 주로 이용한다. 주말에는 등산이나 MT를 가는 등의 관광 수요가 많은데, 일부 무개념 승객들이 바닥에 앉아 통행을 방해하고 소란을 피우거나[*a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5763216?sid=102|「상춘객 '음주·소란'…몸살 앓는 경춘선」]], 뉴시스, 2014-03-31] 술판을 벌이는 등의 무질서 행위가 종종 벌어지기도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197409?sid=102|「‘경춘선 바닥에 앉아 술판을…’ 인터넷 논란」]], 경향신문, 2012-03-0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00019251?sid=102|「[현장추적] '난장판' 주말 경춘선...술판까지」]], KBS, 2013-11-19] 이에 국토부에서는 2013년 11월부터 차내 소란 행위에 대해 특별단속을 벌이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98/0000119992?sid=123|「[참고] 전동열차내 ‘기초질서’ 지켜주세요」]], 정책브리핑, 2013-11-22] 그런데 시행한 지 4개월이 지난 2014년 3월에도 근절되지 않았다.[*a] 이로 인해 이를 피하기 위해 [[ITX-청춘]]이나 시외버스로 우회하는 이용객들도 많다. 현재는 열차 내 단속이 강화되면서 약간은 소란 행위가 사그라든 편이다. == 사건사고 == * 2009년 8월 6일 상천~가평 구간 터널 공사 현장에서 돌출부분 상부 방수공사를 하던 인부 3명이 동료 직원에 의해 숨진 채 발견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801175?sid=102|「경춘선전철 공사장서 근로자 3명 숨진채 발견」]], 연합뉴스, 2009-08-07] * 2010년 9월 2일 태풍 [[곤파스(2010년 태풍)|곤파스]]의 영향으로 [[대성리역]]~[[청평역]] 구간에 낙석이 발생해 열차 운행이 중단됐다. * 2011년 2월 25일 [[청평역]]에서 [[춘천역|춘천]]발 [[상봉역|상봉]]행 급행열차가 고장을 일으켜 운행이 중지됐다. 승객들은 전원 15분 뒤 도착한 다음 열차에 이동시켰고, 이 여파로 후행 열차들이 줄줄이 지연됐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1022508454878041|「이번엔 '경춘선' 열차 고장, 출근길 지연」]], 머니투데이, 2011-02-25] * 2011년 2월 28일 [[갈매역]] 하행선 전기선로에 단전이 발생해 약 4시간 반동안 상봉~갈매 구간이 상선으로만 교행 운행됐다. * 2012년 3월 24일 [[퇴계원역]] ~ [[사릉역]] 사이 구간에서 강풍에 비닐하우스가 전차선을 덮치며 단전이 발생해 2시간 가량 열차운행에 차질을 빚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6/0000167737?sid=102|「강풍에 사건·사고 속출…경춘선 운행 중단」]], SBS, 2012-03-24] * 2012년 4월 29일 [[청량리역|청량리]]발 [[춘천역|춘천]]행 ITX-청춘 열차가 [[청평역]]을 250m 가량 무정차 통과한 뒤 그대로 약 1시간 가량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598143?sid=102|「경춘선 청춘열차 청평~가평역 중간 1시간 멈춰서」]], 연합뉴스, 2012-04-29] * 2015년 4월 6일 [[사릉역]] 서울방면 승강장에서 60대 남성이 통과하려던 ITX-청춘 열차에 뛰어들어 숨졌다. 이 사고로 해당 열차에 타고 있던 승객 수백명이 뒤따라오는 일반 전동열차로 환승해야 했으며, 후행 열차 2대도 20~30분씩 지연 운행됐다.[*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9311364|「[단독] 경춘선 사릉역 60대 투신 자살」]], 국민일보, 2015-04-06] * 2015년 4월 15일 [[망우역]]에서 신호 장애가 발생해 ITX-청춘 1대와 전동열차 4대가 최대 30분가량 지연 운행됐다. * 2016년 8월 1일 춘천지역에 내린 벼락과 돌풍을 동반한 기습폭우로 춘천시 근화동의 한 연립주택 철제 지붕 구조물이 선로를 덮쳐 [[춘천역|춘천]]~[[김유정역|김유정]] 간 열차 운행이 2시간 가량 중단됐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16/nwdesk/article/4050201_30244.html|「'낙뢰·강풍'에 철판 지붕 덮쳐 경춘선 ITX 운행 중단」]], MBC, 2016-08-01] * 2017년 11월 23일 [[상천역]] 서울 방면 승강장에서 50대 남성이 통과하려던 ITX-청춘 열차에 뛰어들어 숨졌다. 이 사고로 약 1시간 40분 가량 하행선 선로로만 운행됐다.[* [[https://www.ytn.co.kr/_ln/0115_201711230039520337|「경춘선 상천역서 50대 남성 열차에 치여 숨져...1시간 40분 만에 운행 재개」]], YTN, 2017-11-23] * 2017년 12월 8일 [[백양리역]] 서울 방면 승강장에서 60대 남성이 열차에 치여 중상을 입었다. 사고 여파로 상행선 열차 운행도 한때 중단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1208185000062|「경춘선 백양리역서 60대 추정 남성 열차에 치여 중상」]], 연합뉴스, 2017-12-08] * 2020년 1월 8일 [[청평역|청평]]~[[대성리역|대성리]] 사이 대성3터널 상행선 방향 구내에서 신원 미상의 남성이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이 사고로 상행선 열차 운행이 1시간 반 가량 중단됐다. * 2020년 2월 8일 [[사릉역]] 선로전환기 고장으로 ITX-청춘 1대와 전동열차 3대가 20분씩 지연됐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640103|「경춘선 사릉역 선로 전환기 장애…20분 운행 지연」]], SBS, 2020-02-08] * 2020년 8월 26일 춘천방향 [[천마산역|천마산]]~[[마석역|마석]] 사이 선로에 개가 난입해 열차 운행이 20분간 지연됐다. 다행히 개는 구조됐다. * 2021년 4월 8일 [[춘천역]] 구내에서 회차하던 [[군용열차|건설새마을호]]의 기관차가 전차선로 장애를 일으켰다. 이 사고로 춘천~김유정 간 열차 운행이 반나절 가량 중단됐고, 하루 종일 전구간의 열차가 파행 운행됐다. * 2022년 7월 13일 [[중랑역]]에서 배수로 점검을 하던 [[한국철도공사]] 직원이 [[ITX-청춘]] 열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후행 ITX-청춘 열차 및 경춘선 일반전동열차가 줄줄이 지연 운행됐다. * 2022년 9월 7일 새벽 5시 40분쯤 [[상천역]]과 [[가평역]] 사이 터널 입구쪽에서 한 남성이 열차에 뛰어들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청평역]]-[[가평역]]간 일부 선로를 막고 사고처리를 했으며, 이 영향으로 모든 경춘선 상/하행 열차의 운행이 지연됐으며 오전 8시부터 순차적으로 복구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220929?sid=102|「가평역 가던 경춘선 열차 남성 치어 사망‥열차 운행 지연」]], MBC, 2022-09-07] * 2022년 9월 8일 밤 10시 12분쯤 [[청평역]]과 [[대성리역]] 사이에서 신원 미상의 남성이 전동차에 치여 숨졌다. 사고 수습을 위해 해당 구간 선로의 열차 운행을 중단하면서, 일부 열차의 운행이 1시간 넘게 지연됐다. * 2022년 11월 27일 오후 2시 54분쯤 [[망우역]] 인근에서 1톤 트럭이 선로 위로 떨어지며 ITX-청춘 열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당시 후속 열차 18편이 최대 55분 가량 지연되었다.[* [[https://www.kwnews.co.kr/page/view/2022112716422234879|「망우역 인근 선로서 춘천행 ITX 열차와 1톤 트럭 충돌」]], 강원일보, 2022-11-27] * 2023년 4월 1일 오후 5시 쯤 청량리발 춘천행 전동열차가 갈매역에서 정차 중 고장을 일으켜 300여명의 승객이 전원 하차한 후 다음 열차로 갈아타야 했다. 고장 열차 처리 과정에서 후속 열차 1편이 25분 가량 지연 운행했다. * 2023년 10월 17일 14시 50분 쯤 상봉발 전동열차가 갑작스러운 고장을 일으켜 100여명의 승객이 평내호평역에서 열차를 갈아타는 불편을 겪었다. 고장 열차는 평내차량사업소로 입고하였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역 목록|역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도권 전철 경춘선/역 목록)] == 역별 승하차 통계 == 2022년 기준 경춘선의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경춘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 ||<-7> {{{#ffffff '''수도권 전철 경춘선'''}}} || ||<-7> {{{#0c8e72 '''노선 총합'''}}} || || 역수 || 구간 || 역당 일평균 이용객 || 일평균 승하차량 || 2022년 승하차량 || 최다 이용역 || 최저 이용역 || || 25개 || '''청량리 ↔ 춘천''' || '''3,773명'''[* 모든 이용객이 경의·중앙선으로 집계되는 [[상봉역]]·[[망우역]] 제외, 지선 개념으로 운용되는 청량리, 광운대 - 상봉구간 제외 19개역] || '''71,692명''' || '''31,138,156명''' || 평내호평 || 백양리 || ||<-7> {{{#0c8e72 '''일일 이용객 수'''}}} || || 역수 || 구간 || 5만명 이상 || 2만명~5만명 || 1만명~2만명 || 5천명~1만명 || 5천명 이하 || || 25개 || '''상봉 ↔ 춘천''' || 없음 || 없음 || '''1개역'''[* 평내호평] || '''4개역'''[* 마석, 퇴계원, 별내, 남춘천] || '''14개역'''[* 갈매, 사릉, 신내, 금곡, 천마산, 대성리, 청평, 상천, 가평, 굴봉산, 백양리, 강촌, 김유정, 춘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ffffff '''수도권 전철 경춘선'''}}} || ||<-4> {{{#0c8e72 '''역별 순위'''}}} || || 순위 || 역명 || 일평균 승하차량 || 2022년 승하차량 || || '''1위''' || '''[[평내호평역|{{{#373a3c,#dddddd 평내호평}}}]]''' || '''11,279명''' || '''4,116,604명''' || || 2위 || [[마석역|{{{#373a3c,#dddddd 마석}}}]] || 7,438명 || 2,714,921명 || || 3위 || [[퇴계원역|{{{#373a3c,#dddddd 퇴계원}}}]] || 6,174명 || 2,253,572명 || || 4위 || [[별내역|{{{#373a3c,#dddddd 별내}}}]] || 5,646명 || 2,060,816명 || || 5위 || [[남춘천역|{{{#373a3c,#dddddd 남춘천}}}]] || 5,501명 || 2,008,002명 || || 6위 || [[갈매역|{{{#373a3c,#dddddd 갈매}}}]] || 4,959명 || 1,810,075명 || || 7위 || [[사릉역|{{{#373a3c,#dddddd 사릉}}}]] || 4,595명 || 1,677,027명 || || 8위 || [[가평역|{{{#373a3c,#dddddd 가평}}}]] || 4,109명 || 1,499,689명 || || 9위 || [[청평역|{{{#373a3c,#dddddd 청평}}}]] || 3,467명 || 1,265,680명 || || 10위 || [[춘천역|{{{#373a3c,#dddddd 춘천}}}]] || 3,176명 || 1,159,486명 || || 11위 || [[천마산역|{{{#373a3c,#dddddd 천마산}}}]] || 3,028명 || 1,105,406명 || || 12위 || [[신내역|{{{#373a3c,#dddddd 신내}}}]][*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경춘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의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 2,868명 || 1,046,806명 || || 13위 || [[금곡역(경춘선)|{{{#373a3c,#dddddd 금곡}}}]] || 2,731명 || 996,801명 || || 14위 || [[대성리역|{{{#373a3c,#dddddd 대성리}}}]] || 1,621명 || 591,563명 || || 15위 || [[강촌역|{{{#373a3c,#dddddd 강촌}}}]] || 1,052명 || 384,159명 || || 16위 || [[김유정역|{{{#373a3c,#dddddd 김유정}}}]] || 784명 || 285,941명 || || 17위 || [[상천역|{{{#373a3c,#dddddd 상천}}}]] || 631명 || 230,268명 || || 18위 || [[굴봉산역|{{{#373a3c,#dddddd 굴봉산}}}]] || 324명 || 118,342명 || || 19위 || [[백양리역|{{{#373a3c,#dddddd 백양리}}}]] || 309명 || 112,998명 ||}}} * 22년 3월 [[진접선]] 개통으로 사릉역이 전년 4위에서 7위로 하락했고, 별내역과 남춘천역의 순위가 상대적으로 올랐다. * 22년은 전반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감소했던 이용객 수가 어느 정도 회복된 모습이고, 춘천역과 남춘천역은 강원대, 한림대 등 통학 수요 회복과 레고랜드 등 관광수요 증가로 이용객수가 증가해 순위가 올랐다. 1계단 오른 신내역은 근처 양원지구 입주로 이용객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파일:13241035501D80E121.jpg]]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개통했던 [[2010년]] [[12월 20일]], [[철도 동호인]]들이 [[남춘천역]]에서 경춘선 개통 기념 [[세배]]를 하였다.[* [[https://uh.dcmys.kr/119|관련 게시글]], 출처: UH 일본 여행기 & 교통 패스 정보] * 전 구간 완주 시 완행기준으로 청량리~춘천 구간은 완행으로 1시간 30~35분, 급행으로 1시간 20분이며, 상봉~춘천 구간은 1시간 21~26분이다. 운행거리에 비해 역 개수가 적은 편이라서 소요 시간은 꽤 짧은 편이다. [[파일:external/pds.joins.com/NISI20120222_0005921467_web.jpg]] * 경춘선 전철은 [[KTX]]나 [[누리로]]처럼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받았다. 자동차의 1/8 정도의 탄소를 배출한다고 한다. * 2015년 9월 26일부터 12월 26일까지 매주 토요일에 춘천 호수문화열차를 운행했다.[* [[https://v.daum.net/v/20150925123755710|「코레일, 매주 토요일 경춘선 '호수문화열차' 운행」]], 스포츠경향, 2015-09-25] 정차 역은 [[용산역]], [[청량리역]], [[망우역]], [[춘천역]]으로, 일반 전동차를 운행했다. * 2016년 9월 26일에 [[청량리역|청량리]] 연장 개통에 앞서 [[서울도시철도공사]]가 가장 먼저 노선도를 교체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773195|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 추가와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개통에 맞추어 교체한 것으로 보인다. 2011년도 전 [[서울메트로]]처럼 노선도 교체가 빠른데, 대대적인 교체 후에는 땜질로 해 놓는다. * 2018년 3월 기준 [[광운대역]]을 제외한 전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광운대역은 2023년에 설치 예정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44785|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 산이 많은 강원특별자치도 특성상 터널을 많이 통과해서 노선 구간에 터널의 비중이 굉장히 높다. [[청량리역]], [[광운대역]]부터 [[마석역]]까지는 터널이 거의 없다가(있다면 망우역과 신내역 구간, 평내호평역과 천마산역 구간이 해당) 마석역부터 [[가평역]]까지는 긴 터널이 종종 나오고, 가평역부터 [[김유정역]]까지는 승강장을 제외하면 거의 지하 구간이다. 다만 김유정역부터 [[춘천역]]까지는 춘천분지 안으로 완전히 들어온 구간이기 때문에 터널이 없다. * [[경춘선]] [[역번호]]는 P1번으로 시작한다. 알파벳 'P'는 '1'이라는 숫자를 역번호 시작숫자로 쓰는 노선의 지선(Point)이라는 뜻인데, [[상봉역]]이 K120번, [[망우역]]이 K121번, [[신내역]]이 P122번인 것으로 보아 아직 공식적으로 직결운행되지는 않으나 K1로 시작하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지선임을 표현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1호선의 [[경부선]]과 [[장항선]]([[가산디지털단지역]]~[[신창역]]) 구간도 P1로 시작하지만 가산디지털단지역은 P142, 춘천역은 P140으로 경춘선과 번호가 겹치지 않는다. * 여느 노선들에 비해 시종착역 기준 전동차 내 자리 쟁탈전이 극심하다. [[상봉역]]에서 열차가 오자마자 바로 뛰어야 착석이 가능하다. 경찰들의 단속이 실시된 지금은 개통 초기에 비하면 나아졌으나, 아직도 무질서한 이용객들이 많다. 평소 노인들의 새치기와 대기줄 무시, 노골적 자리 양보 강요가 빈번한 편이며, 청량리역이나 상봉역 스크린도어 앞에 노인들이 앞자리에 앉으려고 놓아둔 물건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주말과 휴가철의 행락객의 추태가 심하다. 출입문에 앉거나 시끄러운 행동을 하는 경우도 많아 지금은 열차 내 단속을 하지만, 개통 초기에는 바닥에도 앉아 가고 술판을 까거나 고성방가도 매우 심했다. 주말에 탑승하는 경우 춘천 시내구간 진입 시점 정도에서 춘천 시내 관광을 알선하는 잡상인들이 돌아다니는 경우가 있다. * 배차 간격이 긴 만큼 연착은 심하지 않지만 청량리행 열차를 탈시에 상봉역부터 연착이 매우 심해진다. 선로 용량 부족 문제로 망우역에서부터 속도가 느려져서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에는 절대 시간표에 적혀진 시각에 도착하지 못한다. * 각 역마다 상·하행선 열차 진입음이 한음 낮게 들린다. * 2018년 9월 1일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과 동시에 평일 자전거 탑승이 금지됐다. 혼잡도가 매우 심한 것이 이유로 보인다. 2021년 1월 1일부터 평일 자전거 휴대승차가 정식으로 가능해졌다. * 해당 노선에서 가장 긴 구간은 [[대성리역]] ~ [[청평역]] 구간으로, 길이는 7.5km이다. 이 외에도 7km 이상인 구간이 [[마석역]] ~ [[대성리역]] - 7.4km, [[강촌역]] ~ [[김유정역]] - 7.4km, [[상천역]] ~ [[가평역]] - 7.1km 3곳이 더 있어 총 4곳이 존재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과 함께(1호선은 충남 천안, 충남 아산시에 진입) 비수도권으로 진입하는 둘뿐인 광역철도 노선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에 이어 운행거리가 네 번째로 길다. * [[중전철]]로 운행되는 수도권 전철 중 유일하게 전 구간을 지상으로 다니는 노선이다. [[분류:수도권 전철 경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