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 ||||<-2>
[[파일:수리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width=200]] || ||||<:><#ffffff> {{{+2 {{{#006000 '''수리남 축구 국가대표팀''' }}}}}} || ||||<:><#006000> {{{#ffffff '''Surinaams voetbalelftal''' }}} || ||<:> '''정식명칭''' ||<:> Surinaams voetbalelftal[* [[네덜란드어]]. 수리남의 [[크리올어]]인 [[스라난 통고]]로는 Sranankondre fubal pluga] || ||<:> '''[[FIFA 코드]]''' ||<:> SUR || ||<:> '''협회''' ||<:> 수리남 축구 협회 (SVB) ||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 '''지역연맹''' ||<:> 카리브 축구 연맹 (CFU) || ||<:> '''감독''' ||<:> [include(틀:국기,국명=네덜란드,출력= )] [[아론 빈터르]] {{{-2 (Aron Winter)}}} || ||<:> '''주장''' ||<:> 케빈 판두이 (Kevin Pandooi) || ||<:> '''최다출전자''' ||<:> 말런 펠터 (Marlon Felter) - 48경기 || ||<:> '''최다득점자''' ||<:> 스테파노 레이설 (Stefano Rijssel) - 14골 || ||<:> '''홈 구장''' ||<:> 안드레 캄페르벤 스타디온 (André Kamperveen Stadion, 7,100석) ||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가이아나 축구 국가대표팀|영국령 가이아나]] (1:2 패), [[수리남]] (1921년 1월 28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프랑스령 기아나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령 기아나]] (9:0 승), [[수리남]] (1947년 3월 2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퀴라소 축구 국가대표팀|퀴라소]] (0:8 패), [[아루바]] (1946년 6월 5일) || ||<:> '''별칭''' ||<:> De Natio (국가대표), Suriboys (수리보이즈) || ||<:> '''[[골드컵]]''' ||<:> 출전 3회 (1977, 1985, 2021) || ||
<:> '''{{{#ffffff 유니폼}}}''' ||<:> '''{{{#ffffff 홈}}}''' ||<:> '''{{{#ffffff 어웨이}}}''' || ||<:><#dcdcdc> '''상의''' ||<:><#ffffff> '''{{{#006000 하양}}}''' ||<:><#006000> '''{{{#ffffff 초록}}}''' || ||<:><#dcdcdc> '''하의''' ||<:><#ffffff> '''{{{#006000 하양}}}''' ||<:><#006000> '''{{{#ffffff 초록}}}''' || ||<:><#dcdcdc> '''양말''' ||<:><#ffffff> '''{{{#006000 하양}}}''' ||<:><#006000> '''{{{#ffffff 초록}}}''' || [목차] [clearfix] == 개요 == 홈구장은 안드레 캄페르벤 스타디온이며 2022년 현재 감독은 [[아론 빈터르]]이다. 수리보이즈(Suriboy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출전한 기록은 없다. 골드컵의 전신인 [[CONCACAF 선수권 대회]]에선 1985년 대회 본선에 진출하였으나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다. == 역사 == 대륙은 남미 나라이지만 여타 남미 국가들과 실력차가 심하게 나는지라 [[남미 축구 연맹]]이 아닌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소속이다.[* 옆나라인 [[가이아나]] 또한 축구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소속이다.] [[FIFA 월드컵]] 북중미 예선에 참가하다보니 사람들이 주로 모르는 경우가 많고 북중미에서 조차 축구 최약체급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들 중에는 [[루드 굴리트]], [[에드가 다비즈]], [[클라렌스 세이도르프]], [[파트릭 클라위버르트]], [[지미 플로이드 하셀바잉크]], [[버질 반 다이크]] 등 수리남에서 네덜란드로 이민을 와 네덜란드 국적을 취득했거나 부모가 수리남 출신인 [[수리남계 네덜란드인]]들이 많다. 이렇듯 많은 수리남 출신 축구선수들이 네덜란드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고 수리남 국가대표팀이 북중미에서 변변한 힘을 쓰지 못하고 약체에 머물러 있는 이유는 바로 수리남이 [[이중국적]]을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는 수리남계 네덜란드인들이 수리남 국가대표로 뛰려면 네덜란드 국적을 포기해야되기 때문인데, 생활면에서도 네덜란드가 수리남보다 훨씬 살기 좋은 나라이며, 네덜란드에서 프로선수로 뛰는 게 더 이득인게 당연하므로 수리남 귀화를 하는 선수들은 없다고 봐도 무방했다. 따라서 이들이 수리남 대표로 뛸수 없었고, 결국 수리남에서 태어난 [[수리남인]]들로만 대표팀을 구성하여 지금까지도 약체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2014년 12월 26일, 수리남 축구 발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협회가 네덜란드계 수리남 선수들을 모아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클럽팀과 친선경기를 가지는 이벤트를 열어 이중국적 허용의 조짐이 보였다. 이후 수리남 축구리그의 프로화가 논의되는 등 긍정적인 방향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이에 자극받은 수리남 정부에서 이런 저런 지원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그 중 핵심 사항인 수리남계 네덜란드 선수들의 수리남 여권 취득[* '''스포츠 여권'''이란 이름으로 발급해 준다고 한다.]이 2019년 11월부터 가능해지면서 수리남은 전력 급상승의 길을 열었다. 이 정책의 효과는 대단해서, 2020년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B리그'''에서 우승하면서 2021년 골드컵 본선진출권을 획득한다. 참고로 이게 수리남 역사상 두번째 골드컵 본선진출로 1985년 1차례 본선진출 이후 무려 36년만이다. 스포츠 여권 시행 이후, [[RSC 안데를레흐트]] 골키퍼 바르너 한, [[FC 흐로닝언]]의 다밀 단커뤼, [[지미 플로이드 하셀바잉크]]의 조카로 유명한 나이젤 하셀바잉크 등 20대 중후반까지 본국 국대와는 거리가 멀었던 수리남계 네덜란드 선수들이 대거 수리남 국가대표에 합류했고, 2021년 들어서도 디에고 비제스와르, [[플로리안 요셉손]], [[셰랄도 베커르]], [[숀 클라이버르]] 등 유럽 리그에서 활동하는 네덜란드계 선수들이 연거푸 수리남 스포츠여권을 발급받으며 수리남 국가대표를 택하고 있다. 이 중에는 한때 네덜란드 청대를 거친 [[갈라타사라이 SK]] 수비수 [[라이언 동크]]도 포함되어있다. 네덜란드 국대를 선택한 선수들을 제외해도 네덜란드 리그 준척급 선수들과 여러 유럽 리거들을 데려왔기 때문에 이전의 선수 풀과 차원이 달라진 셈. 여기 포함된 선수들은 기본으로 네덜란드 청대 출전 경력이 있는 과거의 엘리트 선수들이다. 2014 브라질 월드컵 2차 지역예선에선 엘살바도르, [[도미니카 공화국]]에도 밀려서 탈락했다. 그나마 북중미 최약체급인 [[케이맨 제도]]를 상대로 2승을 거뒀다. 2018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도 [[니카라과]]에게 2연패로 조기탈락. 그러나 네덜란드계 선수들이 합류하기 시작하면서 2022 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은 과거보단 성적이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2 카타르 월드컵]] 1차예선에서 달라진 선수풀의 위력을 한껏 보여주고 있다. 케이맨 제도에 3-0, 아루바에 6-0 승리로 캐나다와 더불어 선두권으로 치고 나갔다. 두 팀이 모두 두 경기에서 대승을 거뒀기 때문에 결국 두 팀의 맞대결에서 조 1위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나이젤 하셀바잉크, 라이언 동크 등 새로 합류한 선수들의 활약이 엄청나다. 그러나 캐나다와의 최종전에서는 한계를 드러내며 대패하고 말았다. 2022년 월드컵 예선이 끝난 이후 수리남 [[파라마리보]] 출신으로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었던 [[수리남계 네덜란드인]]이며 [[AFC 아약스]]의 레전드 골키퍼인 스탠리 멘조를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했다. 네덜란드 대표 출신 감독의 부임으로 기존 네덜란드계 선수들의 수리남 합류도 더더욱 가속화되고 있어 아약스의 유망주 조이 빌제포츠가 수리남 대표팀 소집에 응하는 등 수리남 대표팀은 또 한번의 스쿼드 보강을 이루고 있다. 2022년 9월 6일 [[베이징 궈안]]으로 떠난 스텐리 멘조의 후임으로 스탠리 멘조와 동일한 [[수리남계 네덜란드인]]인 [[아론 빈터르]]가 선임되었다. 수석코치로 무려 [[헹크 텐카터]]가 선임되면서 사실상 아론 빈터르와 헹크 텐카터의 공동 감독 체제로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코치진의 이름값이 상당하기 때문에 네덜란드 본토 출신 수리남 계통 선수들의 귀화 행렬은 계속되고 있다. 믿기지 않겠지만 1969년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긴 적이 있다. == 역대전적 == === [[FIFA 월드컵]]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점}}}'''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10> 네덜란드령 기아나 시절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br] [[1930 우루과이 월드컵|1930년 우루과이]] ||<-9><|2> 불참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br] [[1934 이탈리아 월드컵|1934년 이탈리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br] [[1938 프랑스 월드컵|1938년 프랑스]] ||<-9> 기권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br] [[1950 브라질 월드컵|1950년 브라질]] ||<-9><|3> 불참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br] [[1954 스위스 월드컵|1954년 스위스]]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br] [[1958 스웨덴 월드컵|1958년 스웨덴]]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br][[1962 칠레 월드컵|1962년 칠레]] ||<-9><|4> 예선 탈락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br] [[1966 잉글랜드 월드컵|1966년 잉글랜드]]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70 멕시코 월드컵|1970년 멕시코]]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1974 서독 월드컵|1974년 서독]] || ||<-10> 이때부터 수리남으로 독립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1978년 아르헨티나]] ||<-9><|3> 예선 탈락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1982 스페인 월드컵|1982년 스페인]]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86 멕시코 월드컵|1986년 멕시코]]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1990 이탈리아 월드컵|1990년 이탈리아]] ||<-9> 불참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1994 미국 월드컵|1994년 미국]] ||<-9><|8> 예선 탈락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98 프랑스 월드컵|1998년 프랑스]]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2002 한일 월드컵|2002년 한일]]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2006 독일 월드컵|2006년 독일]]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br] [[2010 남아공 월드컵|2010년 남아공]]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2014 브라질 월드컵|2014년 브라질]]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br] [[2018 러시아 월드컵|2018년 러시아]]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2022 카타르 월드컵|2022년 카타르]]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2026 FIFA 월드컵|2026년 캐나다/멕시코/미국]]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20[*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 || || || || || || || === [[골드컵]]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엘살바도르 1963 ||||||||||||||||<:> 불참 || ||<:> 과테말라 1965 ||||||||||||||||<:> 불참 || ||<:> 온두라스 1967 ||||||||||||||||<:> 불참 || ||<:> 코스타리카 1969 ||||||||||||||||<:> 불참 || ||<:> 트리니다드 토바고 1971 ||||||||||||||||<:> 기권 || ||<:> 아이티 1973 ||||||||||||||||<:> 예선 탈락 || ||<:> 멕시코 1977 ||<:> 결선리그[*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 ||<:> 6위 ||<:> 5 ||<:> 0 ||<:> 0 ||<:> 5 ||<:> 6 ||<:> 17 || ||<:> 온두라스 1981 ||||||||||||||||<:> 예선 탈락 || ||<:> 개최국 없음 1985 ||<:> 조별리그 ||<:> 8위 ||<:> 4 ||<:> 0 ||<:> 1 ||<:> 3 ||<:> 2 ||<:> 9 || ||<:> 개최국 없음 1989 ||||||||||||||||<:> 불참 || ||<:> 미국 1991 ||||||||||||||||<:> 예선 탈락 || ||<:> 미국/멕시코 1993 ||||||||||||||||<:> 기권 || ||<:> 미국 1996 ||||||||||||||||<:> 예선 탈락 || ||<:> 미국 1998 ||||||||||||||||<:> 불참 || ||<:> 미국 2000 ||||||||||||||||<:> 예선 탈락 || ||<:> 미국 2002 ||||||||||||||||<:> 예선 탈락 || ||<:> 미국/멕시코 2003 ||||||||||||||||<:> 기권 || ||<:> 미국 2005 ||||||||||||||||<:> 예선 탈락 || ||<:> 미국 2007 ||||||||||||||||<:> 예선 탈락 || ||<:> 미국 2009 ||||||||||||||||<:> 예선 탈락 || ||<:> 미국 2011 ||||||||||||||||<:> 예선 탈락 || ||<:> 미국 2013 ||||||||||||||||<:> 예선 탈락 || ||<:> [[2015년 CONCACAF 골드컵|미국/캐나다 2015]] ||||||||||||||||<:> 예선 탈락 || ||<:> [[2017년 CONCACAF 골드컵|미국 2017]] ||||||||||||||||<:> 예선 탈락 || ||<:> [[2019 CONCACAF 골드컵|미국/코스타리카/자메이카 2019]] ||||||||||||||||<:> 예선 탈락 || ||<:> [[2021 CONCACAF 골드컵|미국 2021]] ||<:> 조별리그 ||<:> 10위 ||<:> 3 ||<:> 1 ||<:> 0 ||<:> 2 ||<:> 3 ||<:> 5 || ||<:> 합계 ||<:> 본선진출 3회 ||<:> 3/26 ||<:> 12 ||<:> 1 ||<:> 1 ||<:> 10 ||<:> 11 ||<:> 31 || 1985년 골드컵 전신이던 kwalificatie CONCACAF 대회에 본선 진출한 것이 2021년 전까지 최고 성적이었다. 이때, [[가이아나 축구 국가대표팀|가이아나]]를 예선에서 이기고 본선에 올라 온두라스,엘살바도르와 4경기(당시에는 원정,안방 경기를 다함)를 치러서 1무 3패를 거뒀다. 그러다 2021년 골드컵에서 [[과들루프 축구 국가대표팀|과들루프]]를 이기면서 대회 사상 첫 승을 거두게 되었다. [[분류:카리브의 축구 국가대표팀]][[분류:수리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