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53년 기업]][[분류:아메리카의 항공사]] [include(틀:항공사/아메리카/플래그 캐리어)] ||<-2><:>
<#ffffff> [[파일:수리남 항공 로고.svg|width=100%]] || ||<-2><:><#EC4434>'''{{{#white 수리남 항공[br]Surinaamse Luchtvaart Maatschappij[br]Surinam Airways}}}'''|| ||<:><#ffffff,#2d2f34>'''{{{#EC4434,#ffffff 부호}}}'''||<#ffffff,#2d2f34>[[콜사인]] (SURIMAN)[br][[IATA#s-3]] (PY) [[ICAO#s-3]] (SLM)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 || ||<:><#ffffff,#2d2f34>'''{{{#EC4434,#ffffff 항공권 식별 번호}}}'''||<#ffffff,#2d2f34>192 || ||<:><#ffffff,#2d2f34>'''{{{#EC4434,#ffffff 설립 연도}}}'''||<#ffffff,#2d2f34>[[1953년]] || ||<:><#ffffff,#2d2f34>'''{{{#EC4434,#ffffff 허브 공항}}}'''||<#ffffff,#2d2f34>요한 아돌프 펜겔 국제공항 || ||<:><#ffffff,#2d2f34>'''{{{#EC4434,#ffffff 보유 항공기 수}}}'''||<#ffffff,#2d2f34>3 || ||<:><#ffffff,#2d2f34>'''{{{#EC4434,#ffffff 취항지 수}}}'''||<#ffffff,#2d2f34>10 || ||<:><#ffffff,#2d2f34>'''{{{#EC4434,#ffffff 마일리지}}}'''||<#ffffff,#2d2f34>Loyal Wings || ||<:><#ffffff,#2d2f34>'''{{{#EC4434,#ffffff 항공 동맹}}}'''||<#ffffff,#2d2f34>미가입 || ||<:><|2><#ffffff,#2d2f34>'''{{{#EC4434,#ffffff 링크}}}'''||<#ffffff,#2d2f34>[[https://www.flyslm.com/|[[파일:수리남 항공 로고.svg|width=100]]]] || ||<#ffffff,#2d2f34>[[https://www.facebook.com/SurinamAirway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urinamAirways, 크기=22)] [[https://www.instagram.com/surinamairways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user/SurinamAirwaysS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yb738.jpg|width=100%]]}}} || || [[보잉]] [[보잉 737 NG|737-8Q8]]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리남]]의 국영 항공사이자 [[플래그 캐리어]] 항공사. == 역사 == 1953년 Ronald Kappel과 Herman van Eyck이 공동으로 Kappel-Van Eyck Aviation Company라는 항공사를 설립했다. 이후 1955년 두 기의 [[세스나 170]]으로 운항을 시작했다. 1962년 Ronald Kappel이 사고로 사망하고 Herman van Eyck도 남은 지분을 모두 네덜란드령 기아나 정부에 매각하면서 국유화되었다. 국유화 이후 사명이 수리남 항공으로 변경되었다. 1975년 수리남 독립 이후 [[KLM 네덜란드 항공]]에서 리스한 [[DC-8]]으로 첫 대서양 횡단 노선을 비행했다. 이후 DC-8-63, DC-8-50F, [[DHC-6]]를 도입하며 1980년에는 암스테르담, 퀴라소, 마이애미, 파나마시티등의 도시에 취항했다. 2004년 KLM 출신의 [[보잉 747-300]]을 도입해 공동 창립자중 한명인 Ronald Elwin Kappel의 이름을 붙혔다. 2009년 [[에어 프랑스]] 출신의 [[A340]]을 도입하며 747은 퇴역했으며 동년 [[보잉 737 클래식|보잉 737-300]] 2기를 도입해 [[DC-9]], [[MD-80]]을 대체했다. 2015년 [[중국국제항공]] 출신의 신형 A340으로 기존의 A340을 교체했다. 2018년 [[보잉 737 NG|보잉 737-700]]을 도입해 737-300을 교체했으며 이듬해에는 [[에어 뉴질랜드]] 출신의 [[보잉 777-200]]ER을 도입해 A340을 교체했다. 2021년 [[코로나 19]]로 인해 보잉 777이 조기 반납되었으며 보잉 737 2기 역시 리스비 미지급으로 압류되었다. 이에 2021년 말, [[A320]] 1기와 [[A330]] 1기를 리스했다. == 취항지 == || 국가 || 도시 || 공항 || 비고 || || 아루바 || 오라녜스타트 || [[퀸 베아트릭스 국제공항]] || || || 브라질 || 벨렝 || 벨렝/발드캉 국제공항 || || || 퀴라소 || 빌렘스타트 || 하토 국제공항 || || || 가이아나 || 조지타운 || 체디 차카 국제공항 || ||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 ||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 || || || 수리남 || 파라마리보 || 요한 아돌프 펜겔 국제공항 || 허브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포트오브스페인 || 피아르코 국제공항 || || ||<|2> 미국 || 마이애미 || [[마이애미 국제공항]] || || || 올랜도 || 올랜도 샌포드 국제공항 || || == 보유 기종 == || 제작사 || 기종 || 보유 대수 || 비고 || || [[보잉]] || [[보잉 Next-Generation 737#s-3.3|737-800]] || 2 || || || [[에어버스]] || [[A340|A340-300]]|| 1 || || == 사건 사고 == * [[1978년]] [[5월 5일]], 파라마리보에 접근하던 DC-6가 나무와 충돌했다. 탑승했던 3명은 모두 생존했다. * [[1986년]] [[10월 18일]], 롤리 비행장에 착륙한 [[DHC-6]]이 납치되었다. 8개월 뒤인 1987년 5월, 납치범들에게 50만 수리남 길더를 낸 끝에 탑승했던 4명과 비행기를 무사히 돌려받았다. * [[수리남 항공 764편 추락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