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include(틀:지도, 장소=Suwałki, 너비=100%, 높이=224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바우키 회랑은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를 통과해 [[벨라루스]]와 [[칼리닌그라드]]를 연결하는 약 100㎞에 이르는 [[회랑(지정학)|육상 통로]]이다. 이름은 이 일대에 자리잡은 폴란드의 마을 [[수바우키]](Suwałki)[* [[폴란드]] 포들라스키에주에 위치한 도시로, 폴란드어로는 수바우키, 리투아니아어로는 수발카이(Suvalkai)로 발음한다. 현재는 폴란드 영토이나 과거 [[러시아 제국]] 시절에는 수발카이 현(Сувалкская губерния)이라는 이름으로 현재 폴란드 영토와 리투아니아 영토에 걸쳐서 존재했다.]에서 유래된 지명이며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국경을 이루고 있다. 수바우키 회랑은 [[숲]]과 작은 [[농장]] 등이 존재하는, 완만한 평야지대인데다가 주민들도 거의 살지 않아 [[러시아군]]이 기갑부대로 국경을 돌파해 해당 지역을 점령할 경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06958?sid=104|#]] == 언어별 표기 == ||[[폴란드어]]||'''Przesmyk suwalski''' / '''Korytarz suwalski'''|| ||[[리투아니아어]]||'''Suvalkų tarpas''' / '''Suvalkų koridorius'''|| ||[[영어]]||'''Suwalki Gap''' / '''Suwalki Corridor'''|| ||[[러시아어]]||Сувалкский коридор|| == 역사 == 수바우키 회랑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폴란드 국경|소련-폴란드 국경]]의 일부였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칼리닌그라드]] 일대를 제외한 수바우키 회랑이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국경이 됐다. 2016년 [[NATO]] 국방장관들은 수바우키 회랑에 폴란드와 [[발트 3국]] 4,000명의 병력을 배치하기로 결정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61265?sid=104|#]]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youtube(Yjp5lwwzZqg)]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와 [[발트 3국]] 사이의 긴장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리투아니아가 러시아에서 칼리닌그라드로 향하는 화물열차를 막자 양국간 긴장이 높아졌고 수바우키 회랑에 군사 긴장이 드리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03937?sid=104|#]] 따라서, 수바우키 회랑을 지키려는 민간봉사자가 크게 늘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78473?sid=104|#]] [[바그너 그룹]]에게 훈련받은 [[벨라루스군]]이 공격한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https://m.yna.co.kr/view/AKR20230716060700082?section=international/all|#]]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08585?sid=104|[국제이슈+] 유럽의 새로운 화약고로 떠오른 '수왈키 회랑']] - 아시아경제 == 관련 문서 == * [[국경]] / [[러시아-폴란드 국경]] * [[러시아-리투아니아 관계]] / [[폴란드-리투아니아 관계]] / [[유럽연합-러시아 관계]] * [[회랑(지정학)]] [[분류:지리]][[분류:유럽의 지리]][[분류:국경]][[분류:폴란드의 외교]][[분류:리투아니아의 외교]][[분류:러시아의 외교]][[분류:러시아-폴란드 관계]][[분류:러시아-리투아니아 관계]][[분류:폴란드-리투아니아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