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인천광역시의 공원|{{{#000,#fff 인천광역시의 공원}}}]]''' || ||<-2> {{{#fff {{{+2 '''수봉공원'''}}}[br]壽鳳公園 | Subong Park}}}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봉공원, 너비=100%, 높이=200)]}}}|| ||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수봉안길 84 || || '''개원일''' ||1976년 || || '''면적''' ||33만 2694㎡ || || '''분류''' ||[[근린공원]] || || '''개방 기간''' ||연중무휴 || || '''개방 시간''' ||24시간 || || '''이용료''' ||무료 || || '''관리·운영''' ||[[미추홀구청]] 공원녹지과 || || '''전화번호''' ||032-880-4500~2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6년]]에 이루어진 현충탑 보수를 계기로 조경 시설과 편의 시설을 설치하면서 조성되었다. *70년대~90년대 [[월미도]] 일대, [[인천대공원]] 일대가 관광지로 개발되기 전에 인천 시민들이 주로 방문하던 공원이었으며, 수봉공원 외에 [[자유공원]], [[송도유원지]]도 있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수봉안길 84 수봉산에 위치해 있다. == 역사 == *[[1979년]]에 [[수봉놀이동산]]이 조성되면서 방문객이 크게 늘었지만, [[2009년]] 노후화로 철거되고 그 자리에 150석 규모의 야외무대와 잔디 피크닉장, 조합 놀이 시설, 야생 화원 등을 조성하였다. 이때 [[수봉도서관]]으로 이어지는 공원 일주 산책로도 조성하였다. *[[2000년]]도부터 AID 아파트[*A 1975년에 인천 지역에서 최초로 미추홀구에 생긴 단지형 아파트. 서울 강남 AID아파트와 다르다.]을 철거하고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인공폭포를 조성하기 시작하여 2009년에 완성되었다. *[[2010년]]에는 수봉 근린공원 웰그린(Well-Green) 사업을 시작하면서 꽃나무 식재, 인공 폭포 연결 계단 설치, 산책로 정비, 놀이터 정비 등 각종 편익 시설을 조성하였다. 2012년 5월 14일에 1단계 사업을 마치고 쾌적한 환경의 도심 공원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 시설 == 인천 시내가 한눈에 들어오는 우강정을 비롯하여 각종 업적과 역사를 전하는 비석들이 있어 휴식처와 역사 교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 === 현충탑 === [[1972년]] [[자유공원]]에 있던 [[충혼탑]]을 서울 국립묘지[* 현재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이장하면서 인천시 내에서 다시 충혼탑을 건립해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1972년 4월 수봉산 정상에 현충탑으로 이름을 바꿔 준공하였다. [[6·25 전쟁]] 중 전몰한 장병 379위의 영령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대한민국 대통령]]과 [[서울특별시장]]이 취임하는 임기 첫 날과 현충일에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하는 것처럼 [[인천광역시장]]이 취임일과 매년 현충일에 이곳을 참배한다. === 방송송신탑 === [[경인방송]]이 [[iTV|지상파 TV 채널]] 송출 때부터 쓰던 송신소로 현재도 지상파 라디오 방송 송신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송신탑이 잘보여서 [[만남의 광장]]으로 쓰인다. ==== 송출 채널 ==== ||<#dcdcdc,#383b40> ㎒||<#dcdcdc,#383b40> ㎾||<#dcdcdc,#383b40> 방송국 ||<#dcdcdc,#383b40> 호출부호 ||<#dcdcdc,#383b40> 비고 || || 88.1|| 0.02|| [[BBS FM|[[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width=100]]]] || HLSG-FM || 중계국 || || 90.7|| 5|| [[경인방송|[[파일:경인방송 로고.svg|width=100]]]] || HLDO-FM || || || 100.5|| 1|| [[TBN 경인교통방송|[[파일:TBN 경인 로고.png|width=100]]]] || HLSU-FM || || === 팔각정(우강정) === [[1979년]] [[6월 13일]] 준공되었다. 1979년 2월, 팔각정 건립에 큰돈을 기탁한 영제한의원 1대 원장인 우강 노학영의 호를 따서 우강정(佑江亭)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팔각정이 지어질 때만 해도 서해가 한 눈에 들어와 풍광과 낙조가 멋지기로 유명했는데 주변이 나무들로 둘러싸여 이제는 경관을 잃었다. === 인공폭포 === 채석장으로 이용됐던 부지에 인천 지역 최초로 생긴 단지형 아파트인 AID아파트[*A]부지를 2000년대부터 인천시 미추홀구가 노후화된 아파트를 쾌적한 공원 조성을 위해 공원 부지로 편입하였다. 10년에 걸쳐 총사업비 553억 원을 투입, [[2007년]] [[8월]]에 착공되어 [[2009년]] [[8월]]에 높이 37.5m, 폭 122m의 큰 규모[* 당시에는 국내 최대 규모였다. 현재는 인천아라폭포이다.]의 수봉 인공 폭포가 완공됐다. === 수봉도서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봉도서관)] === 인천통일관 === [[1994년]] [[12월]] 개관한 인천지역 유일의 실증적 통일교육장으로 분단현실을 올바로 이해하고 통일 미래를 상상하는 문화, 체험, 전시공간이다. [[http://www.icuh.or.kr/|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통일관 웹 사이트 참고.]] === UN참전 기념탑 === 당시 UN군 참전국들의 현재 국기가 있다. {{{#!folding 참전국 [ 펼치기 · 접기 ] [[캐나다]][* 당시 [[캐나다 자치령]]] [[에티오피아]][* 당시 [[에티오피아 제국]]] [[호주]] [[네덜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 당시 [[남아프리카 연방]]] [[콜롬비아]] [[영국]] [[태국]] [[뉴질랜드]] [[룩셈부르크]] [[미국]] [[튀르키예]] [[그리스]] [[프랑스]] [[필리핀]] [[벨기에]]}}} === 비석 === *[[재일학도의용군]] 참전기념비 [[1979년]] [[10월 2일]] 인천광역시 남구에 세워진 [[6·25전쟁]]에 참가한 재일 학도 의용군을 기리는 기념비이다.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contentsId=GC95200221&localCode=jpn&menuGbn=category&searchCnd=%EC%9C%A0%EC%A0%81%2F%EB%B9%84&parentName=%EC%9C%A0%EC%A0%81&categoryName=%EC%9C%A0%ED%98%95#:~:text=1950%EB%85%84%20%ED%95%9C%EA%B5%AD%20%EC%A0%84%EC%9F%81%20%EB%8B%B9%EC%8B%9C,%E5%A3%BD%E9%B3%B3%E5%85%AC%E5%9C%92)%EC%97%90%20%EC%9E%88%EB%8B%A4.|자세한 내용은 세계한민족문화대전 웹 사이트 참고]] *인천지구 전적기념비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헌신한 국군과 유엔참전용사를 기리기 위해 [[1980년]] [[9월 15일]]에 건립됐다. [[https://ncms.nculture.org/korean-war/story/4344|자세한 내용은 지역N문화 웹 사이트 참고]] *무공수훈자 공적비 [[6·25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한 용사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무공수훈자 공적비가 [[2014년]] [[12월 8일]]에 건립됐다. === 망배단 === 실향민들의 제사 및 참배를 드리는 망배단이다. === 어린이 물놀이터 === 7월과 8월에만 임시 개장하고,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월요일과 우천 시엔 문을 닫는다. 여름 개장 기간 이외에는 일반적인 놀이터로 이용 가능하다. === 자연 학습장 === 아이들이 숲 해설가와 함께 곤충, 조류, 야생화를 관찰하는 탐방교실, 나뭇잎·꽃잎 손수건과 솔방울·나뭇가지 공작물을 만드는 체험교실 프로그램이 있다. === 체육 시설 === *수봉궁도장/양궁장: 인천광역시체육회에서 운영한다. *배드민턴장 *테니스장 *농구장 === 문화회관 === 크고 작은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 === 전통민속놀이마당 === 민속 공연이 열린다. === 은율탈춤전수관 === 무형 문화재 공연을 한다. 무료 강습회도 있다. [[http://www.unyul.kr/skin_nw2/index.php|자세한 내용은 은율탈춤전수관 웹 사이트 참고]] == [[수봉놀이동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봉놀이동산)] 현재 수봉산 일대를 당시 [[인천광역시|인천시]]에서 [[민간투자사업]]으로 조성한 테마파크로 현재는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수봉공원(인천수봉문화회관입구) 정류장: [[인천 버스 4|4번]], [[인천 버스 15|15번]], [[인천 버스 22|22번]], [[인천 버스 23|23번]], [[인천 버스 33|33번]], [[인천 버스 63|63번]], [[인천 버스 512|512번]], [[인천 버스 인천e음31|e음 31번]] === 지하철 === * [[수도권 전철 1호선]]: [[제물포역]] == 관련 문서 == * [[자유공원]] * [[송도유원지]] * [[인천대공원]] * [[수봉놀이동산]] [[분류:인천광역시의 공원]][[분류:미추홀구]][[분류:인천광역시의 산]][[분류:나무위키 공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