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선을 운행하는 KTX 열차가 7월 29일까지 운행함에 따라 이 틀을 제거하였습니다. 운행이 종료되면 다시 틀을 삽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br]{{{#000 '''{{{+2 수색직결선}}}'''[br]水色直結線 | Susaek Direct Line}}} || ||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30307 || || '''노선명''' ||경의선 수색직결선[br](京義線 水色直結線) || ||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 || '''영업거리''' ||2.2㎞ || || '''궤간''' ||1435㎜ || || '''정거장수''' ||0 || || '''기점''' ||{{{-1 (서울 기점 8.882km)}}} || || '''종점''' ||{{{-3 공항연결선분기(서울공 기점 13.583km)}}} || ||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 '''신호장비'''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선로 수''' ||[[복선|2]] || || '''개업일''' ||[[2014년]] [[6월 30일]] || || '''운영노선'''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색직결선'''(水色直結線, Susaek Direct Line)은 [[경의선]]의 [[수색역]] 서쪽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의 [[마곡나루역]] 서울 방면 4.517km 위치 지점을 잇기 위한 경의선의 [[지선철도]]이다. 실제 코레일 영업거리 상으로는 서울 기점 8.1km인 수색역에서 빠져나가, 3.0km[* [[http://info.korail.com/mbs/www/images/content/150401_korailmap_1.jpg|코레일 영업거리표]] 참조]인 연결선을 경유, 서울 기점 12.2km에 연결되어 45.8km[* [[http://info.korail.com/mbs/www/subview.jsp?id=www_010606060000|코레일 영업거리현황]] 참조]의 공항철도 구간을 달리는 것으로 계산되어 있다(56.9km). 이보다 더 정확히는 8.1km 지점에서 8.9km 지점까지는 경의본선, 8.9km 지점에서 연결선(2.2km)을 경유, 12.2km 지점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인천공항행 KTX 개통 후에도 한동안 사람들은 '인천공항으로 KTX 타고 간다' 하면 [[서울역]]에서 공항직통으로 환승하여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역]]까지 간다고 오해했으나, 사실은 KTX가 이 수색직결선을 타고 공항철도, 즉 지하철 선로로 접속하여 인천공항까지 연결되는 것이다. == 역사 == === 연결선 공사 이전 === 공항철도 [[서울역]]~[[김포공항역]] 구간이 완공되었을 때, 공항철도에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 및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를 반입하기 위해 [[수색차량사업소]]에서 공항철도로 이을 수 있는 [[연결선로|연결선]]을 건설한 것이 그 시초라고 볼 수 있다. 공항철도가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지나면 지상으로 올라온 직후에 단선철도 하나가 합류하는데 그것이 수색차량사업소와 공항철도를 이어주는 연결선이다. 공항철도 2차분 차량과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2차분이 이 선로를 통해 반입되었으며, 2010년에 공항철도에 [[KTX]]를 시운전하기 위해 이 선로를 이용해 [[KTX-산천]]을 반입하기도 했다.[* [[http://blog.naver.com/gt36cw/100113245440|당시 연결선로와 KTX-산천의 시운전]], 출처: 네이버 블로그] 그러나 이 선로는 원래 [[수색차량사업소]]와 성신양회 성북공장을 잇는 화물철도 선로를 한 가닥 빼서 만든 거라 본격적으로 열차를 운행하기에는 선로 사양이 매우 낮고 여러가지 장애요인이 많았다. === 연결선 개설 === 한편 인천공항에 [[KTX]]를 투입하려는 계획이 추진되었는데, 비록 연결선이 존재하기는 했지만 이 정도로 선로 스펙이 낮은 곳에 [[KTX]]를 투입하기는 어려우므로, 새로운 [[경의선]]-[[인천국제공항철도]] 연결선을 만들어야 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지선철도가 수색직결선으로, 수색역 서쪽에서 분기하여 지하로 진입한 뒤 남서쪽으로 내려가서 다시 지상의 공항철도로 합류하는 형태로 건설되었다. * [[https://map.kakao.com/?panoId=1119076004&pan=15.757837453953709&tilt=-4&urlX=474599&urlY=1135725|경의선에서 분기되어 지하로 내려가는 지점]] * [[https://map.kakao.com/?map_type=TYPE_SKYVIEW&map_hybrid=true&itemId=25893366&q=%EB%AA%BD%EC%83%81%EA%B3%B5%EA%B0%84&urlLevel=1&urlX=471743&urlY=1136832|지상으로 나온 뒤 공항철도로 합류하는 지점]] 수색직결선은 서울역에서 도라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경의1선이 아닌 [[용산역]]에서 [[용산선]]을 거쳐 이어지는 경의2선과 합류한다. 이는 수색직결선 건설 사업 추진 초기에 이 사업의 또 다른 목적이 [[용산역]]에서 용산선을 거쳐 인천국제공항을 직통하는 열차를 운행하는 데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https://pimac.kdi.re.kr/study/inq_view.jsp?pub_no=11632|공항철도 연계시설 확충사업 예비타당성조사(요약)]], KDI 공공투자관리센터, 1~2페이지 참조] 만약 용산역-인천공항 연결 열차가 운행된다면, [[서울역]]-[[가좌역]] 구간의 선로 내 용량이 포화 상태임을 고려할 때 서울역을 거치는 KTX보다는 용산역에서 인천공항을 잇는 열차가 더 많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결국 최종 계획에서 용산역 연결은 무산된 반면 연결선 계획은 수정되지 않아서[* [[https://www.kr.or.kr/boardCnts/view.do?boardID=52&page=330&boardSeq=16733|KTX와 인천공항철도 연계시설 확충사업 본격 시행]], 국가철도공단] 인천공항에서 온 [[KTX]]는 수색역 구내에서 평면교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다만 2011년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가 확정됨에 따라 올림픽 개최 당시 [[경강선]](원주~강릉)으로 가는 서울역 미정차 계통의 KTX 열차는 [[용산선]]을 경유하여 평면교차가 없었다. 수색직결선과 공항선의 분기점에 공항철도 고양(현천)역 건설을 염두에 두어서 미리 승강장 부지를 만들어놨지만 이 곳에 수색직결선이 만들어지면서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되었다. 향동지구 개발계획에 따르면 수색직결선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 신설할 예정인데, 이미 만들어둔 승강장 부지는 흔적만으로 남을 듯하다.[* [[https://map.kakao.com/?panoId=1138470363&pan=321.5137602781624&tilt=-16&urlX=471215&urlY=1136954|인천공항 방면 승강장 부지]], [[https://map.kakao.com/?panoId=1161130108&pan=194.03820342500023&tilt=1&urlX=471030&urlY=1137195|서울역 방면 승강장 부지]], 카카오맵] 한편, 수색직결선 개통 이후 기존의 연결선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 선로 위에 차고를 만들어 두고 보선용 차량 보관용으로 쓰는 중이다. === [[인천국제공항선 KTX]] 폐지 이후 === [[2018년]] [[7월 30일]]부로 인천공항발 [[KTX]]가 전면 폐지되면서 이 수색직결선도 현재는 정기적으로 다니는 열차가 없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이나 [[인천국제공항철도]] 등의 신차 반입이 되는 [[연결선로]]로 사용되거나, 인천공항발 KTX가 임시로 부활할 때([[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등) 사용된 적은 있다. 앞으로 [[인천국제공항선 KTX]]가 부활한다 해도, 현재 진행중인 [[인천발 KTX]]와 [[제2공항철도]]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연장하는 개념이 유력하게 검토 중이라 국제 행사를 제외하면 수색직결선에 KTX가 더 이상 진입할 일은 없으리라는 예측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제2공항철도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추가검토사업에도 포함되지 않아 착공에 빨간 불이 켜졌고, [[수색-광명 고속철도]]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해당 노선과 본 노선을 연결할 계획을 세우면서 부활 가능성이 생겼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2014년 6월 11일 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339호] || {{{#fff ㎞}}} ||<-2> {{{#fff 역명}}} || {{{#fff 운행계통}}} || {{{#fff 등급}}} || {{{#fff 분기선}}} || {{{#fff 소재지}}} || ||0.0[* 경의선 서울 기점 8.882km, [[수색역]] 방면] || ─ || ─ ||─ || † ||[[경의선]] ||<#c0c0c0><:>[[서울특별시]] [[은평구]] || ||2.2[* 인천국제공항선 서울 기점 13.583km, [[마곡나루역]] 방면] || ─ || ─ ||─ || † ||[[인천국제공항선]] ||<:>[[경기도]] [[고양시]] ||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83%89%EC%A7%81%EA%B2%B0%EC%84%A0|한국어 위키백과의 수색직결선 배선도]] [각주][[분류:경의선의 지선철도]][[분류:인천국제공항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