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충주시의 읍면동)] ||<-2> '''[[충주시|{{{#000000,#dddddd 충주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수안보면}}}'''[br]水安堡面 | Suanbo-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수안보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충청북도 || || '''기초자치단체''' || 충주시 || || '''행정표준코드''' || 4390121 || || '''관할 법정리''' || 8리 || || '''하위 행정구역''' || 24행정리 72반 || || '''면적''' || 73.37㎢ || || '''인구''' || 2,832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38.6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충주시'''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종배]] ,,(3선),, || ||<-2> '''충청북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조성태 ,,(초선),, || ||<-2> '''충주시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두원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지원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관동길 9-9 (온천리 100) || || [[https://www.chungju.go.kr/town/contents.do?key=1455|수안보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면. 충주시 최남단이자 최동단에 있다. == 역사 == * 475년: [[고구려]] 국원성(國原城) 잉근내(仍斤內)부[* '잉근내'(仍斤內)는 아래 '괴양'(槐壤)이라는 표기를 쓰기 전에 쓰던 지명이다. '잉걸불'할 때의 '잉걸'이 [덩어리\]라는 의미로서 '塊'(덩어리 괴)로 한역되었다가 이후 '槐'(홰나무 괴)로 바뀌었으리라는 추측이 있다. [[https://www.earticle.net/Article/A5118|삼국사기에 나타난 괴양군(槐壤郡)·잉근내군(仍斤內郡)·괴주(槐州)에 대하여(기관 로그인 필요)]]] 상모(上芼)현 * 757년: [[신라]] 중원경(中原京) 괴양(槐壤)군[* 고려시대에 '괴주'(槐州)를 거쳐 현재 [[괴산군]]이 되었다. 1413년 '-주'(州) 지명들을 일괄적으로 '-산'(山), '-천'(川)으로 바꾼 것의 일환이다. 인근 [[제천시|제천]]도 그렇게 이름이 바뀐 것이다.] 상모현. * 1018년: 장연(長延)현으로 개칭, 충주목 편입. 충주목 장연현. * 1403년: 장연현과 장풍(長豊)현을 합쳐 연풍(延豊)현으로 개칭. * 1895년: [[23부제]] 실시, [[현(행정구역)|현]] 폐지. 연풍군으로 개칭. 수안보면 일대가 남쪽 고사리(古沙里)면/북쪽 수회(水回)면으로 분할됨. 현내(縣內)면/면의(勉儀)면/장풍(長豐)면/고사리면/수회면 5개 면.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연풍군 폐지. [[괴산군]] 상모면[* 고사리면+수회리면]/장연면[* 면의면+장풍면]/연풍면[* 현내면. 단, 북부 일부는 고사리면 신혜원이었다. 원풍리 북쪽에 '고사리'라는 지명이 남아있다.]. 현 수안보면 일대는 괴산군 상모면이다. * 1963년: 중원군 편입, 중원군 상모면. * 1989년: 북부의 문강리, 토계리를 살미면으로 편입 * 1995년: [[도농복합시|도농 통합]], 충주시 상모면. * 2005년: 수안보면으로 개칭, 충주시 수안보면. 충주시 최남부로 [[괴산군]]과 인접한 위치에 걸맞게 [[괴산군|괴산]]과 충주 사이를 오간 역사를 지니고 있다.[* [[제천시|제천]]과도 가깝기는 하나 이 일대에서 가까운 제천시 영역인 [[한수면]]은 조선 시대에는 청풍현이라는 별개의 고을이었기에 제천시와는 역사적으로 무관하다. 오히려 한수면 남부의 송계리와 그 동쪽 [[덕산면(제천)|덕산면]] 일대는 충주에 속했다.][* 북쪽 살미면은 적어도 조선 후기부터는 계속 충주 일대에 속해왔다.] 이웃 괴산군 장연면/연풍면과 함께 연풍군이라는 별개의 군현이었던 적도 있다. 2005년까지 쓰던 '상모'라는 명칭은 무려 고구려 시대부터 쓰던 유구한 지명이다. 역사적으로 거쳐왔던 지명인 '장연', '연풍'은 [[괴산군]] 장연면, 연풍면[* 해체된 연풍군을 계승한 명칭이다. [[부군면 통폐합]]으로 많은 군이 사라졌을 때, 산하 면 중 일부가 본래 군의 이름을 계승하여 이름을 바꾸는 경우가 많았다. 인근 [[제천시]] [[청풍면(제천)|청풍면]] 역시 사라진 청풍군을 계승한 명칭이다.]으로 이어졌다. 1914년에 각기 별개의 면으로서 괴산군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수안보면 일대만이 충주에 편입되어 갈라졌다. '수안보'(水安堡)는 '보(洑) 안쪽의 물탕'을 한역한 명칭이다. 온천리 서쪽의 안보리(安堡里) 역시 유래는 동일하다. 이 지명이 제일 처음 등장한 것은 18세기 문헌인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로 추정된다고 한다. 상모면이던 시절에도 온천은 '수안보 온천'이라고 불려왔다가 2005년에 아예 면 이름까지도 수안보면으로 개칭하였다.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900157|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수안보면]] == 주요 시설 == >수안보온천은 우리나라 최초의 자연용출온천이다. 태조 이성계가 피부병을 치료하고 숙종이 휴양을 위해 찾았다고해서 "왕의 온천"이라 불린다. 수안보온천수는 맑고 깨끗하며, 받아서 한 달 이상 두어도 썩지 않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온천수에 몸을 담그면 피부가 탱탱해지고 윤기가 흐른다. >---- >충주시청 공식 소개 문구 단연 [[온천]]이 유명하다. 이 일대의 온천은 역사적으로도 유명해서 [[고려사]]에도 실려있을 정도이다.[[https://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itemIds=&indexSearch=N&codeIds=PERIOD-0-3&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C%98%A8%EC%B2%9C&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98%A8%EC%B2%9C&searchKeywordConjunction=AND|#]] 현대적인 시설을 설치한 것은 1800년대 말이라고 한다. [[와이키키 브라더스]]에서도 보듯 수안보 온천은 1980년대까지 관광 명소로 무척 유명했다. 오늘날에는 쇠퇴하여 관광객 수가 많이 줄었다. 온천리 서쪽 괴산으로 넘어가는 쪽에는 스키를 탈 수 있는 충청북도 유일의 스키장인 사조 리조트가 있었지만 자금난으로 운영을 중지했다. 남동쪽 사문리/미륵리는 [[월악산]][[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에 속한다. 특히 제천시와의 경계인 미륵리에는 만수 계곡이 있다. 수회리에는 [[중앙경찰학교]]가 소재해있다. 2017년을 즈음해서는 [[국토종주]] 자전거 라이더들이 하룻밤 묵고가는 코스가 됐다. [[이화령]]을 저녁에 넘기엔 위험하기에 보통 [[탄금대]] 근처 [[충주역]]이나 [[충주터미널]], 수안보에서 묵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안보 주변에 자전거 여행객을 환영하는 숙소가 생겼다. == 언어 == 이 지역의 언어권은 충주 방언권에 속한다. 인접한 [[괴산군]][* [[증평군]] 일대는 청주 방언권이다.]과 동일한 언어권이다. [[경기 방언]]과도 95% 이상 동일하다.[* 왜냐하면 사투리라는 것을 찾아보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충주문화원에서도 이에 대해서 설명해 주었다. 다만, 충북 중동부 지방인 [[충주]], [[괴산]]([[증평]] 제외) '밥 먹은 거니?'를 '밥 먹은 거?'라 하거나(수원, 용인, 이천, 여주 일대도 완전히 같다), '''예'''를 '''야''', '''무'''를 '''무수/무우'''라고는 한다. 이는 그나마 경기 방언권과 어느 정도 다른 거라 보면 되겠다.] 소조령 너머의 [[연풍면]]도 동일하다. == 교통 == 외지인이 수안보로 오려면 [[중부내륙고속도로]] [[괴산IC]]가 가장 가깝기는 한데, 바로 연결되는 [[508번 지방도]]가 굴곡이 상당한 왕복 2차로 고갯길이라 [[충주IC]]에서 [[3번 국도]]를 타고 내려오는 게 좀 더 편할 수 있다. 또한 남쪽에서 오는 경우라면 [[연풍IC]]에서 3번 국도를 타면 훨씬 빠르게 올 수 있다. [[충주터미널]] 일대에서 수안보까지 자가용으로 약 25~30분, 대중교통으로는 40~50분 가량 걸린다. 면 내의 리는 중앙의 도로를 따라 거의 일렬로 배치돼있다. 북쪽부터 남동쪽으로 ㄴ자 모양으로 중산리-수회리-온천리-안보리-사문리-미륵리 순이다. 화천리, 고운리는 이 축에서 벗어나있다. 화천리는 안보리 남쪽에, 고운리는 중산리 남쪽을 통해 들어갈 수 있는 깊은 산골이다. 고운리는 2010년대에 남쪽 안보리와 통하는 길이 새로 공사중이다. 충주시의 다른 면과는 북부의 살미면 외에는 접하지 않는다. 1989년 이전까지는 북부 2개리를 통해 대소원면과도 접했었다. [[508번 지방도]] 주정산로를 통해 서쪽 [[괴산군]] 장연면으로 통한다. 508번 지방도는 이후 동쪽으로는 [[미륵송계로]]로 이어져서 [[제천시]] [[한수면]]과 통한다. 한수면과는 꽤 길쭉한 경계를 접하고 있지만 산지로 되어있어 동남쪽 미륵리를 통해 한수면 남쪽으로 이르는 길 외에는 다른 길이 없다.[* 충주시에서 한수면으로 진입하는 또 다른 길인 [[36번 국도]] [[월악로]]는 한수면 서쪽으로 통하는데, 이 길은 수안보면 북쪽의 살미면을 지난다.] [[3번 국도]] [[중원대로]]가 수안보면 온천리를 남북으로 가로질러, 충주 시내로부터 [[괴산군]] 연풍면으로 지나간다.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는 접해있으나 차도는 없고, 등산로만 있다. 다만, 미륵리에서 동쪽으로 뻗는 고갯길은 오늘날에 [[추풍령]]으로 유명한 고갯길이 열리기 전 [[삼국시대]]까지 자주 이용되었었다고 한다. '하늘재'라고 불렸으며 [[월악산]], [[미륵송계로]]에 관련 내용이 있다. [[시외버스]] 관련으로는 [[수안보시외버스정류장]]을 참고. 정류장 전용 건물은 따로 없고 수안보공판장에서 표를 판매하고 있다. 승/하차장도 당연히 없고 그냥 길변에 세워준다. 철도는 아직 없으나 2024년 12월에 [[중부내륙선]] [[수안보역]] 개통이 예정되어 있다. === 버스 === == 도로 == === 중산리 === * 법수동길 * 상촌안길 * 신대안길 * 용천갈마길 * 중산길 * 중산신촌길 * 청룡길 * 큰갓골길 === 수회리 === * 수회리로 * 팔봉로 * 설운장고개길 * 수회뒤뜰길 * 수회신원길 * 수회신촌길 * 수회장터길 * 수회중앙길 * 중골안길 * 창대이길 * 토현길 * 함박골길 === 온천리 === * [[수안보로]] ==== 중부 ==== * 수안보온천길 이름만 들으면 수안보온천을 대표하는 길 같지만 온천리 남부, 석문동천 남쪽만을 경유하기 때문에 이 길에 속한 건물은 그다지 많지 않다. 길 입구 쪽에 있던 대형 호텔인 와이키키 관광호텔도 2002년 이후 부도가 나 [[폐건물]]로 방치되어 있었으나 2024년 리모델링으로 부활한다는 떡밥이 있다. * 온천중앙길 [[수안보시외버스정류장]]이 있는 마을의 중앙 길. 수안보를 지나는 충주시 시내버스는 모두 이 길을 지난다. * 온천천변길 석문동천의 서쪽을 따라가는 길. [[508번 지방도]]이기도 한데, 온천천변길은 중간에 시가지 쪽으로 빠지고 온천천변길 61을 통해 [[주정산로]]로 이어진다. * 관동길 * 귓골길 아래 물탕길/장터길은 각각 동서/남북축 도로를 담당하고 있다. * 물탕1길 * 물탕2길 수안보 온천리 동서축 핵심 도로. 수안보교 동쪽부터는 주정산로로 처리된다. * 장터1길 * 장터2길 * 장터3길 * 조산공원길 시가지의 남쪽을 감싸는 길이다. * 탑골1길 시가지의 서쪽을 통해 남쪽 깊숙히 빠지는 길. 상당히 길어서 2km 가량 된다. * 탑골2길 ==== 북부 ==== * 노포란길 * 다릿골길 * 오산1길 * 오산2길 === 안보리 === --이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아니다.-- * 그리실길 * 뇌곡길 * 대안보1길 * 대안보2길 * 대안보3길 * 동진이1길 * 동진이2길 * 안보복거리길 * 안보선권길 === 사문리 === * 사문한절1길 * 사문한절2길 === 미륵리 === * 미륵리사지길 * 미륵점말1길 * 미륵점말2길 === 화천리 === * 새재로 - [[문경새재]]에서 딴 길.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로 넘어가면 원풍로로 이름이 바뀐다. * 발화동길 * 사시동길 * 은행정길 === 고운리 === * 고운길 * 직마리재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안보로, version=8, paragraph=2, title2=충주시/행정, version2=85, paragraph2=3.9)] [[분류:충주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