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원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10_1272.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우운수 310_1316.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수원시 CI_White.svg|width=15]] {{{#ffffff 수원시 일반시내버스 310번}}} || ||<-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수원 310 노선도(신).jpg|width=100%]]}}}||}}}}}}}}} || ||<-2><:>기점||<:>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경희대학교)||<-2><:>종점||<:>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동원고)|| ||<|2><:>종점행||<:>첫차||<:>04:20||<|2><:>기점행||<:>첫차||<:>05:00|| ||<:>막차||<:>23:00||<:>막차||<:>23:50|| ||<-2><:>평일배차||<:>12~40분||<-2><:>주말배차||<:>15~60분|| ||<-2><:>운수사명||<:>[[성우운수]]||<-2><:>인가대수||<:>11대|| ||<-2><:>노선||<-4><:>[[경희대학교]] - 영통역 - 벽적골 - 망포역 - [[수원버스터미널]] - 수원역 - 화서사거리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한일타운 - 파장시장.삼익아파트 → 장안힐스테이트 → 장안STX칸 → 동원고 → 경기도인재개발원 → 파장시장.삼익아파트 → 이후 역순|| == 개요 == [[성우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이며 왕복 운행거리는 33.3km다. [[http://map.naver.com/?busId=9516&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본래는 안양시 면허 운수업체인 [[삼영운수]]에서 운행했던 노선이었다. 당시 노선은 수원역-범계역으로 당시 삼경운수의 301번과 동일한 노선으로 운행하였다. * 몇 년간 꾸준히 운행하다가 1999년 12월 22일에 310번을 수원시 면허 운수업체인 [[삼경운수]]가 인수하였고, 그 이후 수원시외구간이 단축되면서, 영통-파장동 노선이 되었다. * 2003년 6월 10일에 삼경운수에서 성우운수로 이관되었다. * 예전에는 [[수원여객]] 5번과 7번, 7-2번과 노선이 비슷하였으나 변경후에는 동사의 [[수원 버스 900|900번]]과 90% 이상 동일하게 되었다.[* 하지만 900번보다 [[경진여객]]의 [[수원 버스 777|777번]]이 더 타격이 크다고 한다. 그런데 정작 777번 기사들은 310번 한일타운 입성과 동시에 격하게 반긴다 카더라. '''하긴 그 수원역-한일타운을 혼자서 혼잡할정도로 소화해냈으니 말이다.'''] * 본래 운행구간은 '영통회차장 - 경희대 - 영통역 - 벽적골 - 망포역 - 수원시외버스터미널 - 수원역 - 화서문 - 장안문 - 만석공원 - 파장사거리 - 동원고'였다. * 2014년 3월 3일에 경수대로 경유(영통회차장 - 경희대 - 영통역 - 벽적골 - 망포역 - 수원시외버스터미널 - 수원역 - 화서문 - 장안문 - 한일타운 - 파장동 삼익아파트 → 이목동 장안힐스테이트 → 동원고 → 경기인재개발원 → 파장동 삼익아파트 → 이후 역순)로 바뀌었다. * 어째서인지 [[성우운수]]에서는 그다지 이 노선에 관심이 없어서 배차가 굉장히 떨어졌다. 2009년까지만 해도 달랑 한 대 뿐이었으니. 2010년에는 4대까지 늘어난 상황. * 그러나 노선 변경 이후로는 6대까지 증차되었고 지금은 [[수원 버스 301|301번]]에서 차량 5대를 더 가져와 '''11대'''까지 증차되었고, 승객들도 점점 [[수원 버스 777|777번]] 대신 사람이 별로 없는 이 노선을 더욱 선호하는 승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 급기야 2015년에는 303번과 311번이 폐선되면서 310번 증차에 투입됨에 따라 총 '''14대'''가 되었다! 대박까지는 아니더라도 중박 이상은 치는 셈. * 2017년 12월 27일부터 영통회차장이 폐쇄되어서 경희대정문 다음으로 안내방송엔 대놓고 SK아파트라 뜨지만 갑자기 경희대정문에서 강제로 몽땅 하차를 시키는데 이 덕분에 SK나 풍림으로 가려던 승객은 뜬금 데꿀멍 모드가 되었다. 하필 남은 놈이 독점인 주제에 올생각 없어보이는 7-2라 더더욱. * 2018년 날짜불명 경희대학교 단축이 공식반영되었다. 고로 경희대에서 운행 끝나고 남부차고로 날라갔다가 운행시작 때 다시 남부차고에서 날라와서 경희대학교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이는 900번과 동일하다. === 분당선 개통과 310번의 성장 === 분당선 개통 전 수원역과 벽적골, 영통역 주변을 잇는 시내버스는 5, 7, 7-2, 310번 정도였다. --2-1은?-- 허나 5번을 제외하면 배차간격이 노답이였다.(심지어 5번은 벽적골->청명마을을 찍고 영통역을 간다.) 7번과 7-2번은 엇배차를 하다보니 수원역에서 영통방향으로는 배차간격이 뒤죽박죽이였고[* 지금이야 7번이 호매실로 가니까 그렇지 않지만 이때는 욕나올 정도로 심했다.], 310번은 어쩌다 한번 오면 타는, 즉 타면 운이 좋은 그런 버스였다. 당시 영통역 주변 상가, 영통주민들, 경희대 학생들까지 그렇게 수많은 이용수요가 있음에도 그렇게 굴리는게 이해가 안갈정도. 그렇다보니 당시 영통~수원역 시내구간을 이용하는데 좌석버스인 900번도 굉장히 흥했었다. 지금이야 시내버스지만. 허나 분당선이 수원역까지 개통됨에 따라 영통~수원역을 잇는 7번[* 오히려 7번은 호매실로 가서 의외로 굉장히 흥행하고 있다.]과 7-2번은 큰 폭풍을 겪었다. 허나 분당선 개통전까지 듣보잡 취급받던 310번은 북수원 구간 노선 변경과 함께 특이하게 폭풍증차를 하게 된다. 그 결과 현재 승차량 기준으로 7번 7-2번은 물론이고 5번과 비슷한 정도까지 성장하였다. 물론 이용해보면 수원역에서 꽉 채워 터미널 지나면 반이 빠지고, 망포역가면 승객의 80%는 빠지지만 터미널~영통 등 지하철이 대체할 수 없는 구간수요도 쏠쏠한편. 게다가 한일타운에 입성하면서 777에만 의존하던 수요를 대거 흡수하게 된다. 현재 동사 900번 노선이 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310번의 수원구간 노선과 90%가 겹치다 보니 어찌될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310번의 성장은 [[괄목상대|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 특징 == * [[수원 버스 900|900번]]과 함께 북수원에서 영통으로 가는 노선 중 가장 빠르다. 게다가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까지 개장하면서 777번과 함께 야구장 수요도 책임지고 있다. * [[수원 버스 900|900번 버스]]의 [[수원시]] 구간만 다니는 노선이다. * 영통회차장 방향 버스에서 영일중학교 정류장을 지날 때 승객이 적으면, 90%의 확률로 "경희대 가요, 안 가요?"라고 물어본다. 승객의 대답에 따라 '''경희대학교 정류장은 통과한다.[* 이는 경희대학교 정류장에서 영통회차장 및 망포역 방향으로 가려는 승객들을 무시하는 행위로, 여러 민원이 빗발치며 논란이 되었지만 경희대로 단축되어서 옛말이 되었다.]''' 그리고 영통회차장이 기점이던 시절 '회차장~서그내'까지 구간을 잘라먹고 '''[[고가도로]]를 타고 내려와''' 유유히 경희대 정문으로 향하는 버스들이 보였다. * 수원역에서 짱박기를 오래 하는 노선 중 하나이다. 수원역 출발 노선이자 원조인 [[수원 버스 777|777번]]보다도 심각한 정도. * [[수원 버스 5|5번]], [[수원 버스 7-2|7-2번]]과 묘한 라이벌 관계라도 있는지 동사 900번과 함께 둘중 하나라도 왔다싶으면 뒤에서 자동으로 알아서 온다.[* 그러나 5번이라면 몰라도, 7-2는 솔직히 상대가 되질 않는다.] * 최근 2018년 초부터 배차가 3번중 1번은 900번과 310번과 777번이 겹친다. 가뜩이나 수원역부터 장안문,kt 위즈 파크, 한일타운, 수일중을 지나는 경로가 겹치는데 같이 다니게 되니 엄청난 비효율이다. * 900번과 경희대학교에서 연달아 출발하는 경우가 매우 잦다. 900번을 놓쳤다면 310번도 놓쳤을 가능성이 높다. 경희대부터 이목동까지 지그재그식으로 운행하는 경우가 대부분.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 2023년 4월 1일 [[수원 버스 7-2|7-2]]번이 노선을 변경하면서 7-2번과 310번이 거의 유사한 경로를 운행하게 되었다.[* 두 노선은 경희대 - 망포동, 동원고 회차구간에서만 차이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영통역]], [[망포역]], 수원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수원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