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운행중단)] [include(틀:수원시의 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수원시 CI_White.svg|width=15]] 수원시 직행좌석버스 9900번 || ||<-2> 기점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수원버스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막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배차간격 ||<-4> 30~45분 (1일 24회) || ||<-2> 운수사명 || [[용남고속버스라인]] ||<-2> 인가대수 || 6대 || ||<-5> {{{#ffffff 경유 정류장}}} || || '''수원(권선)''' ||<|5>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5> ↔ || '''고양(일산)''' || || [[수원버스터미널]] ||<|2> [[시흥하늘휴게소]] ||<|2>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 || [[수원역]](상)[br][[수원역]].[[AK플라자 수원점 | AK플라자]](하) || || 웃거리 || [[시흥TG | 시흥영업소]] ||<|2>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 [[김포TG |김포영업소]] || == 개요 == 2024년 상반기부터 재개통 예정인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128km다. == 역사 == * 본래는 수원터미널을 출발하여 화정터미널까지 운행하던 시외버스였으며, 당시에는 수원역, 병무청, 한일타운, 지방행정연수원, 고천파출소, 호계사거리, 비산사거리, 관악역, 고양종합터미널에만 정차했다. * [[2012년]]에 [[경기도]] 면허 시외버스 노선들이 GBIS에 등록되면서 R8450번으로 번호가 부여됐다. * 승객감소 및 운영적자의 누적으로 인해 2021년 2월 15일부터 운휴에 들어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307780|관련 글]] 대체 교통편을 공지했는데 공교롭게도 [[시외버스 8478]] 또한 휴업 처리됐다. * 그 후 2021년 3월에 직행좌석버스 9900번으로 전환되었으나 [[이재준(1960)|이재준]] 시장 재직 당시의 [[고양시]]의 [[경기도 공공버스]] 참여거부 여파로 계속 운휴했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07234|관련 글]] 이후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이동환(1966)|이동환]] 시장이 후임 시장으로 부임하게 되어 재운행 가능성이 생겼다. * 결국 고양시가 공공버스 전환을 찬성하여 2024년부터 재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며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15426|#]] 이 과정에서 [[안양 버스 8407|8407번]]의 영향으로 [[안양시]]를 미경유하고, [[화정터미널]]이 폐업되어 종점이 [[고양종합터미널]]로 변경됨과 동시에 [[수원시]] 구간은 한일타운 대신 웃거리,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하도록 변경됐다. * 2023년 8월경에 공공버스 입찰 대상 노선에 포함되었다. 이 과정에서 고양종합터미널 내에서 탑승하는 것이 아니라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20340, 36175)정류장에서 탑승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백석동.요진와이시티, 김포영업소, 시흥영업소, 시흥하늘휴게소에 정차하게 되었다. * 2024년 상반기 부터 운행을 재개할 예정이다. == 특징 == * 운행 재개 전까지는 출발지에 따라서 [[고양 버스 1082|1082번]]이나 [[고양 버스 1500|1500번]], [[서울 버스 9707|9707번]] 버스를 타고 [[영등포역]]으로 가서 일반열차(무궁화호,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로 환승하여 수원역에서 내려야 한다. 또한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통학생들은 [[고양 버스 1000|1000번]]이나 [[고양 버스 1200|1200번]] 등을 타고 서울 도심으로 이동 후 [[광역급행버스 M5107|M5107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강남으로 가서 [[수원 버스 5100|5100번]]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으나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9700번]]은 배차간격이 길고 [[서울 버스 9711|9711번]]은 9700번보다는 배차간격이 훨씬 짧지만 상암동으로 우회한다.] [[아주대학교]]는 [[수원 버스 8800|8800번]]이나 [[광역급행버스 M5121|M5121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하지만 9900번 운행이 재개되더라도 아주대랑 경희대 국제캠퍼스는 서울 도심을 거쳐서 가는 게 편리하다. * 개통되면 의왕, 안양시내를 경유하지 않고 수원시내에서 직통으로 영동고속도로 [[군포IC]], [[서해안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가서 일산신도시의 [[백석역]]까지 운행한다. [[화정역(고양)|화정역]]은 2023년 5월 31일 [[화정터미널]] 폐업으로 인해 가지 않는다. * 운행 재개 시 [[인천 버스 9802|인천 9802번]]과 [[수원 버스 9802|수원 9802번]]을 제치고 전국에서 가장 큰 노선번호를 가진 버스 노선 타이틀을 가지게 된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네자릿수 노선번호를 가진 버스 노선은 [[인천 버스 9902|인천 9902번]]이었다. * 또한 운행 재개 시 인천 북부/부천권에서 수원에 환승으로 갈 때도 유용하게 되었는데, 그 전까지는 [[성남 버스 8106|8106번]]을 타고 의왕청계영업소에서 내려서 반대편으로 횡단 후, [[수원 버스 2007|2007번]], [[의정부 버스 8401, 8409|8409번]]을 타고 가거나[* 반대편으로 횡단할려면 가파른 언덕길에다가 돌계단까지 걸어서 올라가야 한다.] 배차가 긴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을 거쳐가야 하기 때문.[* 특히 서구 검단 및 강화 지역은 수인분당선, 서해선 역과 매우 먼 데다가 그나마 가까운 역으로 가는 노선도 없어서 환승도 많이 해야 하고 시간도 오래 걸려 차라리 김포영업소에서 이 노선을 기다리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청라는 그나마 [[인천 버스 72|인천간선 72번]]이 있긴 하지만 청라 내에 굴곡구간이 있고 동인천으로 우회해야 하는 [[신포역]]으로 가기 때문에 이 노선으로 환승하는 것만도 못하다.] * 운행 재개시 주박은 [[수원버스터미널|수원터미널]]에서 일괄적으로 할 예정이다. === 시외버스 시절 === ||[[파일:용남8450_UNILX14.png|width=100%]] || || 시외버스 시절 운행 모습. || * 배차간격이 매우 길었지만 출퇴근 시간은 물론 주말에도 만석을 찍을 정도로 이용객이 많았다. * 수원버스터미널부터 관악역까지는 터미널 내부에서 타는 것을 제외하면 성우운수의 900번과 중복되었다. 900번과 달리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므로 소요시간은 더 적지만 배차간격이 길어서 900번의 대체 노선으로 선호되지는 않았다. * 수원시부터 안양시까지 경유지가 길고 많은데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막히면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바람에 노선 직선화에 대한 민원이 종종 올라왔다. * 가장 많이 거론된 안양 구간 단축. '안양~일산' 구간은 경원여객의 8407번이 좋은 배차간격으로 다녔고 킨텍스도 경유하여 수요가 더 몰리는 바람에 8450번은 8407번의 남은 수요를 담아가는 역할만 했다. 이 안건이 반영되면 수원 시내를 그대로 경유하고 지지대고개를 넘어 북수원IC로 진입 하게 된다. 하지만 8407번이 운행중단되면서 8450번의 안양 구간 단축은 없는 일이 되었고, 이후 직행좌석버스 재개통 시 안양 구간이 제외되며 어느 정도 실현되었다. * 동수원 경유안도 있었다. 수원터미널을 출발하여 동수원을 경유하고 동수원IC로 진입하는 루트이다. 경남여객의 [[시외버스 8478|8478번]]이 이미 동수원을 지나고 있지만 배차간격이 매우 길었다. 그러나 이 노선이 운행 중단되고, 8478 역시 운행 중단되며 의미 없는 안건이 되었다. * 수원버스터미널에서 탑승하는 경우 승차권과 교통카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원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 [[백석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원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 미경유 직행좌석버스)] [[분류:수원시의 시내버스]][[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201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고양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