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식용 도구]][[분류:유행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수저계급론, rd1=수저계급론)] [목차] == 식사용 도구 ==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해 부르는 말로 숟가락을 뜻하는 '술'과 젓가락을 뜻하는 저(箸)의 [[합성어]]다(ㄹ 탈락). [[한자어]]로는 시저(匙:숟가락 시, 箸:젓가락 저)라고 한다. 일상에서 [[숟가락]]을 달리 이르는 말로 이 말을 쓸 때도 있지만, 어원에 의한 원칙적 뜻은 위에서 보듯 숟가락과 젓가락의 합성어이다. [[문화어]]로는 수저가락이라고 부른다. === 관련 표현 === '''식사할 때 사용하는 도구'''인 만큼 오래 전부터 상징적인 의미를 많이 갖고 있다. [[속담]]에도 수저를 소재로 한 것이 많다. * "옆집 수저 개수도 안다." - 옆집의 모든 식구를 알고 같이 밥을 먹을 정도로 친밀하다. * "눈물은 내려오고 수저는 올라간다." - 아무리 힘들고 고통스러워도 밥은 먹는다. * "밥 숟갈을 놓았다." - 수명이 다함 * (상을 다 차려놓으니) "밥 숟가락만 얹는다." - 일은 거들지 않고 얌체처럼 이득만 빼먹는다는 뜻. 젊은 세대에겐 [[황정민]]의 "배우는 그저 숟가락만 얹어서..."란 인터뷰로도 유명하다 요즘 들어 본인이 태어난 집안이나 부모의 경제력 정도를 '''[[수저계급론]]'''으로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데, 원래는 [[은수저]], [[나무수저]], [[플라스틱수저]]로 나뉜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수저계급론이 수입되면서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흙수저]] 등으로 세분화되어 나타내고 있다. ~~[[북한|북쪽]]에는 [[핵무기|핵]][[백두혈통|수저]]도 있다.~~ 자세한 것은 [[수저계급론]] 문서 참고. == 한자 수저([[水]][[底]]) == 물 아래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