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fff {{{+1 '''수정터널'''}}}[br] 水晶터널 | Sujeong Tunnel }}} || ||<#fff> ← [[좌천동|{{{#!html좌천동}}}]] {{{#!html방면}}}[br][[성남로(부산)|성남로]] ||<-2><#2131AA> [[관문대로|{{{#!html
33번
부산광역시도
}}}]] ||<#ffffff> [[삼락동(부산)|{{{#!html삼락동}}}]] {{{#!html방면}}} →[br][[백양관문로]] || ||<-4> '''{{{#fff 노선 번호}}}''' || ||<-4> '''[[관문대로|33번 부산광역시도]]''' || ||<-4> '''{{{#fff 기점}}}''' || ||<-4>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좌천동]] 좌천삼거리 || ||<-4> '''{{{#fff 종점}}}''' || ||<-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 ||<-4> '''{{{#fff 연장}}}''' || ||<-4> 2.3km || ||<-4> '''{{{#fff 관리}}}''' || ||<-4> [[수정산터널]] || ||<-4> '''{{{#fff 왕복 차로 수}}}''' || ||<-4> 4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 좌천삼거리 ↔ [[가야동]] ||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좌천동]] 좌천삼거리에서 출발하여 [[부산진구]] [[가야동]]에서 끝나는 터널. [[관문대로|33번 부산광역시도]]의 일부이다. == 상세 == 기존 경로[* [[서면교차로]]나 [[범천동]] [[신암로(부산)|신암로]]를 경유하여 가야 방향으로 갈 수 있다.] 이용 시 30분이 걸리던 거리를 불과 3분 이내로 단축시켰으며 원활한 [[항만]] 물류 수송이 가능해져 [[백양터널]]과 마찬가지로 물류비용 절감 효과가 큰 터널이다. 따라서 백양터널과 마찬가지로 [[컨테이너]] 수송 [[트럭|화물차]]들이 상당히 많이 지나다니는 터널 중의 하나이다. 정식 명칭은 수정터널이지만 수정산[* 동구 수정동과 부산진구 가야 1동 사이에 걸쳐있는 높이 약 315m의 산이다.]터널이라는 이름도 매우 많이 쓰인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수정역]]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수정역의 수정은 옛 부락의 이름이고, 수정터널의 수정은 동구의 산 수정산에서 따온 것이다. [[수정동(부산)|수정동]]도 수정산에서 비롯된 것. 관리 사무소는 동의대 삼거리 회차로를 끼고 위치하고 있다. 진입 시 도보는 위험하니 차량을 이용하도록 하자. 영업소 전화번호는 051-894-5011 == 공사 == 부산광역시 건설본부 시행, (주)동일기술공사는 감리 및 설계, 쌍용엔지니어링은 설계를 맡았으며 쌍용건설(주) 65% (주)반도종합건설 35%를 시공했다. 1996년 12월 부터 2001년 8월까지 걸친 공사 끝에 준공되었다. == 규모 == [[터널]]의 길이 총 연장 '''2,330m'''[* [[백양터널]]이랑 불과 10m 차이난다. 바로 [[부산진구|인접한 구]]를 잇는 것도 공통된 특징이다.]의 편도 2차로(왕복 4차로) 쌍굴식 터널이다. == 시설 == 터널 내부는 자동제어설비 시스템에 의하여 조도, 교통량, 풍향, 풍속, 일산화탄소의 농도 및 가시 거리 측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건물은 2개의 환기동[* 터널 내부를 지나가다보면 중간에 갈라지는 갈림길이 보이는데 여기가 환기동으로 연결되는 입구이다.]과 1개의 관리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터널 내부는 대형 송풍기에 의해 최적 환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터널내의 오염도(일산화 탄소 기준치 50 PPM)가 항상 기준치 이하로 관리된다. == 특징 == 터널 바로 위에 [[동의대학교]]가 위치해있다.[* [[내비게이션]]으로 찍어서 보면 터널과 [[동의대학교]] 캠퍼스 부지가 겹쳐 보인다..] 따라서 동의대학교를 오가는데 매우 큰 기여를 한 터널이다. 동의대학교가 접근성이 워낙 불편한 곳에 위치하다 보니 수정터널 개통 이후 여기를 경유하여 동의대학교로 가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아졌다고 한다. --때문에 [[동의대역]] 교차로는 [[헬게이트]]가 열렸다.-- [[백양터널]]과 함께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연결되어 부산시내로 이어주는 일종의 관문 역할도 행하는 중이다. == 통행료 == 통행료 징수 기간은 [[백양터널]]과 마찬가지로 25년[* 2001년 8월 ~ 2026년 1월]이다. [[2015년]] [[9월 1일]]부로 요금이 인상되었다. || [[경차]] || 500원 || || [[소형차]] || 1000원 || || [[대형차]] || 1500원[* 백양터널보다 딱 100원 더 비싸다.] || 통행료는 무인 수납[* 동전 및 교통카드만 사용]으로 처리하였으나 2017년 3월 1일부터 터치패스[* 하이패스카드, 교통카드]와 현금 유인수납으로 변경되었다. == 통과 노선 == 아직까진 이 터널을 통과하는 버스 노선은 없다. 추후에 이 터널과 백양터널을 경유하여 동구와 사상구를 빠르게 잇는 노선 개통이 이루어질지도 모르는데, 자동차전용도로(고속화도로)라는 특성상 급행버스만 다닐 것이다. 이유는 [[입석금지]]. 520번과 강서21번이 [[낙동강하굿둑]]으로 노선 경로를 바꾼 원인과 같다.[* 고속도로나 고속화도로를 다니는 일반 버스는 다른 지역에 많이 있다. [[인천 버스 202]](단, 이쪽은 입석금지를 일반시내버스에도 확대 적용한 경우), [[고양 버스 96]], [[시흥 버스 5602]], [[시흥 버스 5604]] 등.] 마을버스로 다닐 수도 있으나 [[동의대학교]] 셔틀버스가 [[부산진역]] 혹은 [[좌천역(도시철도)|좌천역]] 정도까지 연장한 것에 그칠 것이고, 자동차전용도로 특성상 카운티, 레스타 등의 자가용/관광 사양의 좌석형 차량 출고에 입석금지 확대적용, 게다가 오지노선으로 분류하여 좌석버스와 비슷한 수준의 요금을 받아먹을 수도 있다. 만약 마을버스로 운행된다면 좌천교차로 부근의 좁은 진입로 때문일 것이다. == 통행 주의 == 암묵적으로 이륜차 통행을 허용하는 백양터널 등과는 달리 이 터널은 [[자동차전용도로]]이므로 긴급자동차로 지정되지 않은 [[이륜차]]나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좌천동 진출입로는 도로 폭이 좁고 급커브 구간이라 5톤이상 차량, 25인승 이상 차량, 버스는 들어갈 수 없다. 버스와 화물차는 5부두사거리에서 진출입로를 이용해야 한다. 수정터널을 경유하여 [[동의대학교]] 방면으로 가려면 톨게이트를 빠져나온 뒤 [[동의대역]] 교차로 쪽으로 내려와서 [[유턴]]하여 오른쪽 두 개의 차로를 타고 동의대학교로 올라가야 한다. 왼쪽 차로는 수정터널로 들어가는 입구이므로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터널 빠져 나왔는데 잘못하는 사이 터널로 다시 들어갈 수 있다...-- 수정터널을 경유하여 [[부산역]], [[부산항]] [[부두]] 방면으로 갈 때는 터널을 나오자마자 분기되어 갈라지므로 미리 차로 변경을 해야 한다. 부산역 방면은 2차로로[* 터널 빠져나오기 100m 전 부터 3차로로 확장되여 3차로로 차로를 변경해야 한다.] 부두 방면은 1,2차로로 주행하여야 한다. 반대로 [[부산진역]]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에서 수정터널로 진입하는 접속도로가 없으므로 일신기독병원앞에서 유턴을 한 후 진입해야 한다. == 복개 공원 == 수정터널 요금소 상부를 [[복개]] 공사하여 공원을 만들었다. 공원의 이름은 '''감고개공원'''으로 카페, 도서관 등이 설치되어있고 이 시설은 주민 자치로 운영된다. 공원 준공으로 터널 인근 아파트 단지 및 빌라 주민들의 터널 [[소음]], [[분진]] 등의 피해에 대해 어느정도 보상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분류:부산광역시의 터널]][[분류:관문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