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옹주]][[분류:서출]][[분류:1453년 사망]][[분류: 대한민국의 보물]] [include(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 [include(틀:대한제국의 황녀/태조 ~ 고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d43, #29176e 20%, #29176e 80%, #190d43); color: #FFD400" '''대한제국 태조의 황녀[br]{{{+1 숙신옹주 | 淑愼翁主}}}'''}}}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태조의 왕녀[br]{{{+1 숙신옹주 | 淑愼翁主}}}'''}}}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숙신옹주홍해묘.jpg|width=100%]]}}} || ||<-2> {{{#ffd400 {{{-2 숙신옹주ㆍ홍해 묘 전경}}} }}} || || '''이름''' ||며치(㫆致) || || '''출생''' ||1398년 경 || || '''사망''' ||[[1453년]]^^([[단종(조선)|단종]] 1년)^^ [[3월 26일]]^^([[음력]] [[2월 8일]])^^ || ||<|2> '''능묘''' ||숙신옹주ㆍ홍해 묘 || ||[[경기도|경기]] [[포천시]] [[신북면(포천)|신북면]] [[신북면(포천)#s-3.|덕둔리]] 284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부왕''' ||[[태조(조선)|태조]] || || '''생모''' ||[[화의옹주|화의옹주 김씨]] || || '''부군''' ||당성위 [[남양 홍씨|홍해]](唐城尉 洪海) || || '''자녀''' ||'''슬하 3남 1녀''' 장남 - 홍덕생(洪德生) 차남 - 홍형생(洪亨生) 3남 - 홍이생(洪利生) 장녀 - 홍옥생(洪玉生) || || '''봉호''' ||'''숙신옹주(淑愼翁主)''' || || '''이칭''' ||신숙옹주(信淑翁主)[* [[https://sillok.history.go.kr/id/kfa_10102008_002|단종실록 5권, 단종 1년 2월 8일 을미 2번째기사]]]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태조(조선)|태조]]와 김해의 [[기생|관기]] 출신 후궁 [[화의옹주|화의옹주 김씨]][* 조선 극 초기에는 내명부의 품계가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고려 시대의 관례를 따라 후궁에게도 옹주의 품계가 내려졌다.] 사이에 태어난 딸이다. == 생애 == 태조가 말년에 본 딸로, 그녀의 어머니 [[화의옹주|김씨]]는 원래 김해의 관기 출신이었으며 [[1398년]]([[태조(조선)|태조]] 7년)에 화의옹주(和義翁主)라는 작호를 받고 후궁으로 정식 봉작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aa_10701007_001|출처]]^^ 정확히 언제 태어났는지 알 수 없지만, [[화의옹주|생모]]가 1398년([[태조(조선)|태조]] 7년)에 후궁으로 봉해졌고 1401년([[태조(조선)|태조]] 10년) 당시 아직 어리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1814|숙신옹주가옥허여문기(淑愼翁主家屋許與文記)]]] 1401년에 대략 서너 살 정도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후 검교참찬문하부사(檢校參贊門下府事)를 지낸 홍언수(洪彦修)의 아들 홍해(洪海)에게 하가하여 3남 1녀를 낳았다. 1423년, 태종의 국상기간에 이복언니인 의령옹주와 함께 신을 섬기는 모임이라 핑계대며 거문고를 타고 술을 마시자 사헌부에서 탄핵하였으나 세종이 허락하지 않았다.[* 세종 5년 5월 11일 경인 4번째기사] [[1453년]]([[단종(조선)|단종]] 원년) [[3월 26일]][* 음력 2월 8일]에 사망했다. == 가족 관계 == * 부 : [[태조(조선)|태조]](太祖, 1335 ~ 1408) * 모 : [[화의옹주]] [[김씨]](和義翁主 金氏, ? ~ 1428) * 시부 : 검교참찬문하부사 홍언수(檢校參贊門下府事 洪彦修) * 남편 : 당성군 홍해(唐城君 洪海) * 장남 : 홍덕생(洪德生) * 차남 : 홍형생(洪亨生) * 삼남 : 홍이생(洪利生) * 장녀 : 홍옥생(洪玉生) * 사위 : [[평해 황씨|황계조]](黃繼祖) == 기타 == === 보물 === ||<-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201~400호|{{{#fff 대한민국의 보물}}}]]''' || || 514호 ||<|2> ← || '''515호''' ||<|2> → || 516호 || || 영천 은해사 운부암금동보살좌상 || '''숙신옹주 가대사급성문''' || [[대구 무술명 오작비]]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515호 }}}]]''' || ||<-2> {{{#fff {{{+1 '''숙신옹주 가대사급성문'''}}}[br]{{{-1 淑愼翁主 家垈賜給成文}}}}}}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숙신옹주가대사급성문.jpg|width=100%]]}}} || || '''소재지''' ||[[국립중앙박물관]] || || '''분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민간문서 / 분재기류 || || '''수량/크기''' ||1건 / 세로 56.5cm, 가로 55.5cm || || '''제작시기''' ||[[한국]] / [[조선시대|조선]], [[1401년]] || || '''지정연도''' ||[[1969년]] [[7월 30일]] || || '''관리''' ||[[국립중앙박물관]] || * [[태조(조선)|태조]]가 나이 70세를 앞두고 자신의 딸을 위해 남긴 친필 [[상속|재산상속]] 분재기(分財記). 옹주가 상속받을 집의 터, 방향, 가옥의 배치, 건물의 칸수, 그리고 집에 쓰인 재목을 적었고 마지막 줄에는 그 집에 옹주의 자손이 영원히 거주할 것임을 밝히는 문서이다.[br] >“건문(建文) 3년(1401) 신사년(辛巳年) 9월 15일 [[화의옹주|첩]]의 소생인 며치(㫆致)에게 [[상속]] 문서를 작성해 준다. 비록 며치가 나이 어리고 [[서얼|첩에게서 난 여자 아이]]지만, 지금 같이 내 나이 장차 70이 되는 마당에 가만히 있을 일만은 아닌 듯 하다. 동부(東部)에 있는 향방동(香房洞)의 빈터는 돌아간 재상 허금의 것으로 잘 다듬어진 주춧돌과 함께 샀으니, 집은 종을 시켜 나무를 베어다가 짓도록 하여라. 몸채 두 칸은 앞뒤에 툇마루를 하고 기와로, 동쪽에 붙여 지은 집 한 칸도 기와로, 부엌 한 칸도 기와로 잇는다. 술 방 세 칸은 이엉으로, 광 세 칸은 앞뒤에 툇마루를 하고 이엉으로, 다락으로 된 곳간 두 칸은 이엉으로, 안 사랑 네 칸도 이엉으로, 서방 두 칸은 앞뒤에 툇마루를 하고 이엉으로, 남쪽에 있는 마루방 세 칸은 앞에 툇마루를 하고 이엉으로 잇는다. 또 다락으로 된 곳간 세 칸은 기와로 이어서 모두 스물 네 칸을, 주춧돌과 함께 구입한 허금 집터의 매매 문서와 함께 상속해 주노라. 영원토록 그 곳에서 살도록 하되 훗날에 별다른 일이 있거든 이 상속 문서를 가지고 관청에 신고해서 올바르게 변별하고 자손들이 전해 가지며 오래도록 거주 하도록 하여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숙신옹주, version=69, paragrap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