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전주 이씨 양녕대군파]][[분류:1414년 출생]] [[분류:1462년 사망]] ---- ||<-3><#94153E> {{{#gold '''조선 태종의 손자'''[br]{{{+1 '''순성군[br] 順城君'''}}}}}} || ||<-2><#94153E> '''[[봉호|{{{#gold 봉호}}}]]''' ||<(> 순성군(順城君)[* [[군호]]는 [[전라남도]] [[화순군]]의 옛 지명 중 하나인 '순성(順城)'에서 유래했다.] || ||||<:><#94153E> '''[[시호|{{{#gold 시호}}}]]''' ||<(> 희안(僖安) || ||||<:><#94153E> '''[[본관|{{{#gold 본관}}}]]''' ||<(> [[전주 이씨|전주]](全州) || ||||<:><#94153E> '''[[이름|{{{#gold 이름}}}]]''' ||<(> 개(𧪚) || ||||<:><#94153E> '''{{{#gold 생부}}}''' ||<(> [[양녕대군]] || ||||<:><#94153E> '''{{{#gold 생모}}}''' ||<(> [[수성부부인|수성부부인 김씨]](隨城府夫人 安氏)|| ||||<:><#94153E> '''{{{#gold 부인}}}''' ||<(> 군부인 [[평산 신씨]](平山 申氏)[br]--첩--군부인[* 두 번째 정실 부인이다. 그런데 친정오빠 정보가 [[사육신]] 사건에 연루되었기 때문에 [[첩]]으로 강등당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za_13705019_002|출처: 《고종실록》, 40권, 고종 37년 5월 19일 양력 2번째기사]].] [[연일 정씨|영일 정씨]](迎日 鄭氏)[* [[정몽주]]의 장남 정종성의 서녀이다. 즉, 정몽주 입장에서는 손녀와 [[태종(조선)|자신을 살해한 사람]]의 손자가 부부가 된 것.] || ||||<:><#94153E> '''{{{#gold 자녀}}}''' ||<(> 4남 4녀 || ||||<:><#94153E> '''{{{#gold 묘소}}}'''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미산리 산40-2번지 || ||<|2><:><#94153E> '''{{{#gold 생몰[br]기간}}}''' ||<:><#94153E> '''[[음력|{{{#gold 음력}}}]]''' ||[[1414년]] [[6월 23일]][*A [[https://sillok.history.go.kr/id/kca_11406023_002|출처: 《태종실록》 27권, 태종 14년 6월 23일 갑자 2번째기사]].] ~ [[1462년]] [[9월 2일]] || ||<:><#94153E> '''[[태양력|{{{#gold 양력}}}]]''' ||[[1414년]] [[7월 18일]] ~ [[1462년]] [[10월 3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전기의 [[왕족]]이다. [[태종(조선)]]의 손자로, [[양녕대군]]의 맏아들이다. 본명은 '개'이고, 시호는 '희안'이다. 품계는 가덕대부에 이르렀다. == 생애 == 1414년(태종 14년) 7월 18일[* 음력 6월 23일.]에 [[양녕대군|왕세자 이제(후일 양녕대군)]]와 [[수성부부인|왕세자빈 김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A] 1435년(세종 17년) 7월 13일[* 음력 6월 9일.]에 순성군 작호를 받았고[* [[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1706009_002|출처: 《세종실록》 68권, 세종 17년 6월 9일 기유 2번째기사]].], 이후 종친으로서 왕실에 크고 작은 행사에 참여하다가 1462년 10월 3일[* 음력 9월 2일.]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49세.[*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 만으로는 48세이다.] 아버지와 닮았던 듯 하다. 《[[세종실록]]》에 적혀있는 순성군의 일부 행적을 보면 [[양녕대군]]의 행적과 비슷하다. 피접한다는 핑계로 판관 김후생의 집에 가서 밤새 술을 마시고 심지어는 하인을 시켜 그의 아내를 엿보는 행동까지 했으며,[*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1202026_004|출처: 《세종실록》 47권, 세종 12년 2월 26일 정유 4번째기사]].] [[세종(조선)|세종]]이 신하들과 종실들이 첩을 간통하는 죄에 대해 논할 때 예시 인물로 언급되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2105013_003|출처: 《세종실록》 85권, 세종 21년 5월 13일 경신 3번째기사]].] == 묘소 == 묘소는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 광명에 있었으나 1978년 [[서울대공원]] 건설로 인해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미산리 산40-2로 이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