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순우리말/목록)] [목차] == 개요 == [[순우리말]]을 테마별로 분류한 문서이다. 흔히 순우리말로 잘못 아는 한자어·외래어가 있으며, 순우리말인지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말도 있다. 순우리말 목록에 넣을 때에는 이에 주의하기 바람. [include(틀:순우리말)] == 목록 == * 가라지: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ᄀᆞ랏, 가랏, 가라지 《출전》 稂 ᄀᆞ랏 - 시경언해(7)(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4157|가라지(샘)]] * {{{#8b4513,#wheat 가락나무}}}: → 떡갈나무. *《옛》 가락나모 《출전》 柞 가락나모 - 시경언해(14)(1613) * {{{#8b4513,#wheat 가랍나무}}}: 떡갈나무. *《옛》 가랍나모 《출전》 栩 가랍나모 우 柞 가랍나모 작 - 훈몽자회(상)(1527) * 가랒: ‘가라지’의 준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3138|ᄀᆞ랏]], 가랏 《출전》 稂 ᄀᆞ랏 - 시경언해(7)(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4157|가라지(샘)]] * 가래: 가래나무의 열매.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12013|ᄀᆞ래]],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22814|가ᄅᆡ]] 《출전》 ᄀᆞ래為楸 - 훈민정음 해례본(1446), 楸 ᄀᆞ래 츄 - 훈몽자회(상)(1527), 梓 ᄀᆞ래 - 시경언해(3)(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38795|가래(샘)]] * 가래나무: 가래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63650|ᄀᆞ래나모]],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49164|가래나모]], 가래나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3584|가래나무(샘)]] * [[가시나무(식물)|가시나무]]: 참나뭇과의 돌가시나무, 북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가ᄉᆡ나모 《출전》 棘 가ᄉᆡ나모 - 시경언해(2)(1613) * 가위톱: 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옛》 가희톱 《어원》 가히(犬)+-의+톱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5615|가위톱(샘)]] * 가회톱: 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5657|가희톱]] 《출전》 白斂 가희톱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5615|가위톱(샘)]] * {{{#8b4513,#wheat 가회톱풀}}}: 가회톱.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5658|가희톱플]] 《출전》 蘞 白蘞藥草 가희톱플 - 사성통해(1517) * 갈: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ᄀᆞᆯ 《출전》 ᄀᆞᆯ為蘆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감|감]]: 감나무의 열매. *《옛》 감 《출전》 감為柿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감나무: 감나뭇과의 낙엽 교목. * [[갓(채소)|갓]]: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옛》 갓 《출전》 芥菜 갓 又云 계ᄌᆞ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개암: 개암나무의 열매. *《옛》 개얌 《출전》 榛 개얌 - 시경언해(2)(1613) * 개암나무: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0442|개욤나모]] * 거여목: 콩과의 두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4042|게여목]], 거여목, 거어목, 게유목, 거유목, 게오목, 게목 《출전》 苜 게유목 목 蓿 게유목 슉 - 신증유합(상)(1576) * [[겨우살이]]: 겨우살잇과의 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3944|겨으사리]],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87065|겨ᅀᅳ사리]] 《출전》 蔦 겨으사리 - 시경언해(14)(1613) * [[고비(식물)|고비]]: 고빗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고비 《출전》 고비 궐 蕨 - 국한회어 坤(1895) * 고사리: 양치식물 고사릿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고사리 《출전》 蕨 고사리 궐 虌 고사리 별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9128|고사리(샘)]] * 고수: 산형과의 한해살이풀. *《옛》 고ᄉᆡ, 고싀 《출전》 芫 고ᄉᆡ 원 荽 고ᄉᆡ 슈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9083|고수(샘)]] * 고욤: 고욤나무의 열매. *《옛》 고욤 《출전》 고욤為梬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梬 고욤 비ᇰ - 훈몽자회(상)(1527) * [[고욤나무]]: 감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 {{{#8b4513,#wheat 골}}}: 골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91367|골]] 《출전》 菅 골 관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0773|골풀(샘)]] * 골풀: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골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0773|골풀(샘)]] * 과남풀: 초용담 * 구릿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78118|구리대]] 《출전》 芷 白芷藥草 구리대 - 사성통해(1517) * 귀리: 볏과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01464|귀보리]],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02049|귀우리]] 《어원》 귀+보리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25709|귀리(샘)]] / ‘귀보리’는 ‘귀’와 ‘보리’가 결합한 것이다. 모음 사이에서 ‘ㅂ’이 약화되어 ‘우’로 변하면서 ‘귀우리’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 ‘우’가 탈락한 ‘귀리’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귀보리) * {{{#8b4513,#wheat 귀밀}}}: ‘귀리’의 북한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04648|귀밀]] 《출전》 馬麥은 귀밀이라 - 월인석보(21)(1459) * {{{#8b4513,#wheat 귀보리}}}: ‘귀리’의 방언(경상, 전남, 충남, 중국 흑룡강성).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01464|귀보리]] 《어원》 귀+보리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25709|귀리(샘)]] * 그령: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04469|글희영]],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2304|글ᄒᆡ영]], 그령 《출전》 菅 글희영 - 시경언해(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62623|그령(샘)]] * 기장: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기자ᇰ, 기장, 기쟝, 디장 《출전》 黍 기자ᇰ 셔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06084|기장(샘)]] * 까마종이: 가짓과의 한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4036|가마조ᅀᅵ]], 가마조이, 가마종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2775|까마종이(샘)]] * [[꼭두서니]]: 꼭두서닛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77368|곡도손]],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90613|곡도손이]] 《출전》 茹藘 곡도손 - 시경언해(4)(1613) * 꽃무릇: 석산, 피안화 * [[나리]]: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나리 《출전》 나리-꽃 名 「백합꽃」의 사투리. - 수정증보조선어사전(1940) * 나무쑥갓: 마가렛 * 남가새: 남가샛과의 한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3425|납거ᄉᆡ]],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79919|납가ᄉᆡ]]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3305|남가새(샘)]] * [[냉이]]: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13045|나ᅀᅵ]], 나이, 낭이, 냉이, 나히, 낭히 《출전》 薺 나이 - 시경언해(2)(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14924|냉이(샘)]] * 넘나물: 원추리의 잎과 꽃으로 무쳐 먹는 나물. *《옛》 넘ᄂᆞᄆᆞᆯ, 넙ᄂᆞᄆᆞᆯ, 넘나물 《출전》 萱 넘ᄂᆞᄆᆞᆯ 훤 - 훈몽자회(상)(1527), 萱 넙ᄂᆞᄆᆞᆯ 훤 - 신증유합(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16429|넘나물(샘)]] / '넘ᄂᆞᄆᆞᆯ'은 16세기부터 '넙ᄂᆞᄆᆞᆯ'과 함께 나타났는데(萱 {넙ᄂᆞᄆᆞᆯ} 훤 1576 신합 상:7ㄱ), 현대 국어에서는 '넘ᄂᆞᄆᆞᆯ'의 후대형인 '넘나물'만 남아 있다. 19세기에는 '넘나물'이 나타난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넘나물) * 농동우: 봉선화과 * {{{#8b4513,#wheat 눈비앗}}}: 암눈비앗. 익모초.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64367|눈비엿]], 눈비옂, 눈비얏 《출전》 【喉閉 益母草 不拘多少擣爛以新汲水】 모기 ᄀᆞ리븟거든 눈비여즐 하나 져그나 므르디허 ᄀᆞᆺ 기론 믈 - 구급간이방(2)(1489), 茺 눈비얏 츄ᇰ 蔚 눈비얏 울 萑 눈비얏 츄 蓷 눈비얏 퇴 - 훈몽자회(1527) * 눈색이: 복수초. 얼음새꽃이라고도 한다. * 눈풀꽃: 설강화 * [[느릅나무]]: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27577|느릅나모]], 느릅나무 《출전》 느릅나무 楡 - 한불자전(1880) * 느티나무: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느틔나모,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4109|누튀나모]]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64460|느티나무(샘)]] * [[다래]]: 다랫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6244|ᄃᆞ래]], 다래, 다ᄅᆡ 《출전》 㮕 ᄃᆞ래 ᅀᅧᆫ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89|다래(샘)]] * 다릅나무: 콩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91455|다릅나모]]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80822|다릅나무(샘)]] * {{{#8b4513,#wheat 다봊}}}: 다북쑥.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64881|다봊]] * 다북쑥: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다봇ᄡᅮᆨ,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2890|다복ᄡᅮᆨ]], 다복쑥, 다북ᄡᅮᆨ, 다북쑥 《어원》 다봊+ᄡᅮᆨ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91503|다북쑥(샘)]] * 다시마: 갈조류 다시맛과의 하나.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2547|다ᄉᆞ마]], 다사마, 다스마, 다시마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1902|다시마(샘)]] * 닥: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옛》 닥 《출전》 닥為楮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닥나무]]: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옛》 닥나모 《출전》 【楮骨^^거플 벗긴 닥나모^^新好者硏碎緜裏舍】 거플 벗긴 닥나모 새 됴ᄒᆞ니ᄅᆞᆯ 브ᅀᅳ ᄀᆞ라 소오매 ᄡᅡ 머구므라 - 구급간이방(6)(1489), 楮實 닥나모 여름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달: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달 《출전》 薍 달 란 荻 달 뎍 蒹 달 겸 萑 달 환 菼 달 담 - 훈몽자회(상)(1527), 菼 달 - 시경언해(3)(1613), 萑 달 - 시경언해(8)(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4910|달(샘)]] * [[달래]]: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8959|ᄃᆞᆯ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8963|ᄃᆞᆯ외]]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4465|달래(샘)]] * 달맞이꽃: 한자로는 야래향 또는 월견초라 한다. * 대: 볏과의 대나무속(屬)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더덕]]: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더덕 《출전》 蔘 더덕 ᄉᆞᆷ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5175|더덕(샘)]] * [[도꼬마리]]: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옛》 됫고마리,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92605|돗귀마리]], 돗고마리, 돋고마리, 도ᄭᅩ마리, 독고마리 《출전》 葈 돗고마리 시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9749|도꼬마리(샘)]] * [[도라지]]: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도랒, 도랏, 도라지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5109|도라지(샘)]] * 도랒: ‘도라지’의 준말. *《옛》 도랒, 도랏 《출전》 桔 도랏 길 莄 도랏 겨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28796|도랒(샘)]] * {{{#8b4513,#wheat 도투랒}}}: *《옛》 도ᄐᆞ랏, 도토랏 《출전》 藜 도ᄐᆞ랏 례 - 훈몽자회(상)(1527), 【杖藜妨躍馬 不是故離群】 도토랏 막대 디퍼 ᄃᆞᆫ뇨미 ᄆᆞᆯ ᄐᆞ기예 妨害ᄒᆞ란ᄃᆡ만뎡 이 부러 무를 여희우미 아니니라 - 두시언해 중간본(13)(1632) * {{{#8b4513,#wheat 도투라지}}}: ‘명아주’의 방언(경상).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8124|도ᄐᆞ랓]], 도ᄐᆞ랏 《출전》 【杖藜從白首】 도ᄐᆞ랏 막다히ᄅᆞᆯ 디퍼셔 셴 머리ᄅᆞᆯ 므더니 너기노니 - 두시언해 초간본(3)(1481) * 두여머조자기: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두야머주저기 * [[딸기]]: 장미과 딸기속, 거문딸기속, 뱀딸기속 및 나무딸기속의 일부를 포함하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1927|ᄠᅡᆯ기]], ᄯᅡᆯ기, ᄯᆞᆯ기, ᄠᆞᆯ기, ᄯᅡᄋᆞᆯ기, 딸기 《출전》 苺 ᄠᅡᆯ기 ᄆᆡ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14720|딸기(샘)]] * 때찔레: 해당화 * [[떡갈나무]]: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덥갈나모 《출전》 櫟 덥갈나모 륵 - 훈몽자회(상)(1527) * 띠: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뒤, ᄠᅱ, ᄯᅱ, ᄯᅴ 《출전》 뒤為茅 - 훈민정음 해례본(1446), 茅 ᄠᅱ 모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29731|띠(샘)]] * 마: 맛과의 덩굴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맣, 마 마 《출전》 마為薯藇 - 훈민정음 해례본(1446)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9|마(샘)]] * [[마름]]: 마름과의 한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46318|말왐]], 말암, 마람, 마름 《출전》 藻ᄂᆞᆫ 말와미니 - 능엄경언해(9)(1461), 芰 말왐 기 菱 말왐 루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0|마름(샘)]] * 말여뀌: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ᄆᆞᆯ엿귀 《출전》 龍 ᄆᆞᆯ엿귀 - 시경언해(4)(1613) * 맨드라기: 계관 * {{{#8b4513,#wheat 머구리밥}}}: 개구리밥. 부평초(浮萍草).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48395|머구릐밥]] 《출전》 薸 머구릐밥 표 萍 머구릐밥 펴ᇰ - 훈몽자회(상)(1527) * {{{#8b4513,#wheat 머귀}}}: 오동나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48617|머귀]] 《출전》 桐 머귀 - 시경언해(3)(1613) * {{{#8b4513,#wheat 머귀나무}}}: → 오동나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0435|머귀나모]] 《출전》 桐葉 머귀나모 닙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머루]]: 포도과의 왕머루, 까마귀머루, 새머루, 개머루, 털개머루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7534|멀위]], 머뤼, 머루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839|머루(샘)]] * {{{#8b4513,#wheat 멎}}}: 능금. *《옛》 멎, 멋, 먿 《출전》 【有舟柰結實 母命守之 每風雨 輒抱樹而泣】 머지 여렛거늘 어미 디킈라 ᄒᆞᆫ대 ᄇᆞᄅᆞᆷ비 티ᇙ 저기면 남ᄀᆞᆯ 안고 우더라 - 삼강행실도(1481), 【輕籠熟㮈香】 가ᄇᆡ야온 籠애 니근 머지 곳답도다 - 두시언해 초간본(1481), 㮏 멋 내 - 훈몽자회(상)(1527), 柰 먿 내 - 신증유합(상)(1576), 奈 멋 내 - 석봉천자문(1583), 有丹柰結實이어늘 母ㅣ 命守之ᄒᆞᆫ대 블근 먿이 이셔 여ᄅᆞᆷ ᄆᆡ잣거ᄂᆞᆯ 어미 命ᄒᆞ야 딕희라 ᄒᆞᆫ대 - 소학언해(6)(1588), 柰子 먿 或云 농ᄇᆡ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메: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옛》 메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6340|메(샘)]] * 메꽃: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50458|멧ᄭᅩᆺ]] 《출전》 旋花 멧ᄭᅩᆺ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0518|메꽃(샘)]] * 메밀: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53800|모밇]], 모밀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78441|메밀(샘)]] * {{{#8b4513,#wheat 모밀}}}: → 메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53800|모밇]], 모밀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78441|메밀(샘)]] * 모시: 모시풀 껍질의 섬유로 짠 피륙.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모시 《출전》 【大丹瘡擣紵麻根^^모싯 불휘와 사ᇝ 불휘^^傅之】 큰 단독이어든 모싯 불휘와 사ᇝ 불휘와ᄅᆞᆯ 디허 브티라 - 구급간이방(3)(1489), 苧根 모싯 불휘 - 동의보감(1613) * 몰목: 상사화의 전남방언 * 무: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옛》 무ᅀᅮ, 무우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6122|무(샘)]] * 물쑥: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95255|믈ᄡᅮᆨ]] 《출전》 蔞 믈ᄡᅮᆨ 루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57357|물쑥(샘)]] * 물푸레: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56144|므프레]], 무프레, 무푸레, 무풀에 《출전》 梤 므프레 ᄌᆞᆷ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55086|물푸레(샘)]] *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8336|무프레나모]], 무푸레나무 《출전》 白蠟 무프레나못 진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1172|물푸레나무(샘)]] * 미나리: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미나리 《출전》 芹 미나리 - 시경언해(14)(1613) 《참고》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57197|미나리(샘)]] * 밀: 볏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옛》 밇, 밀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84942|밀(샘)]] * 바꽃: 미나리아재빗과의 바꽃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바곳 《출전》 菫 바곳 - 시경언해(16)(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68375|바꽃(샘)]] * 박: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박열매. *《옛》 박. * 밤: 밤나무의 열매. *《옛》 밤 《출전》 栗 밤 - 시경언해(3)(1613) * 밤나무: 참나뭇과의 약밤나무, 모밀잣밤나무, 산밤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4725|밤나모]], 밤나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15705|밤나무(샘)]] * 배: 배나무의 열매.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4258|ᄇᆡ]] 《출전》 ᄇᆡᆺ곶為梨花 - 훈민정음 해례본(1446), 梨 ᄇᆡ 리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7958|배(샘)]] * 배꽃: 배나무의 꽃.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34643|ᄇᆡᆺ곶]], ᄇᆡᄭᅩᆺㅊ 《출전》 ᄇᆡᆺ곶為梨花 - 훈민정음 해례본(종성해)(1446)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69710|배꽃(샘)]] * {{{#8b4513,#wheat 배나드리}}}: ‘나루’의 방언(경기, 경북). *《옛》 ᄇᆡ나드리 《출전》 渡 ᄇᆡ나드리 - 광재물보(1800?) * 배나무: 장미과 배나무속의 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4878|ᄇᆡ나ᇚ]],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4464|ᄇᆡ나모]], ᄇᆡ나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96309|배나무(샘)]] * 버드나무: 버드나뭇과 버드나무속의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2416|버드나모]], 버드나ᇚ, 버들나모, 버드나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68606|버드나무(샘)]] * 버들: 버드나뭇과 버드나무속의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버들 《출전》 버들為柳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8b4513,#wheat 버들개야지}}}: 버들개지. *《옛》 버듨가야지, 버듨개야지, 버들가야지, 버들개야지, 버들개아지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6617|버들개지(샘)]] * 버들개지: 버드나무의 꽃.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7657|버듨가야지]],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7658|버듨개야지]], 버들가야지, 버들개야지, 버들개아지, 버들개지 《출전》 버들-개:지 名 버드나무의 꽃. - 수정증보조선어사전(1940)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6617|버들개지(샘)]] * [[버찌]]: 벚나무의 열매. [[체리]]. * 벚: ‘버찌’의 준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33192|벗]] 《출전》 山桃 벗 或云烏櫻桃 - 역어유해(상)(1690) * 벚꽃: 벚나무의 꽃. * 벚나무: 장미과의 가는잎벚나무, 개벚나무, 잔털벚나무, 털벚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벼: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벼 《출전》 벼為稻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벼꽃: 벼에 피는 꽃.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33415|볏곶]] * 보리: 볏과의 두해살이풀. *《옛》 보리 《출전》 大麥 보리 - 동문유해(1748)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70406|보리(샘)]] * 봇: 자작나무의 껍질. *《옛》 봇 * {{{#8b4513,#wheat 봇나무}}}: 자작나무의 북한어. *《옛》 봇나모 《출전》 樺皮木 봇나모 - 역어유해(하)(1690) * {{{#8b4513,#wheat 봋}}}: 자작나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74299|봋]] 《출전》 【樺皮剉濃煮汁飮】 보ᄎᆞᆯ 싸ᄒᆞ라 딛게 달혀 머기라 - 언해두창집요(상)(1608) * [[부들]]: 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부들 《출전》 【敗蒲席一握細剉】 헌 부들 지즑 ᄒᆞᆫ 우후믈 ᄀᆞᄂᆞ리 사ᄒᆞ라 - 구급방언해(상)(1466), 蒲 부들 - 시경언해(7)(1613) * {{{#8b4513,#wheat 부루}}}: ‘상추’의 방언(강원, 경기, 경북, 제주, 충청).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221|부루]] 《출전》 萵苣 부루 - 사성통해(1517), 萵 부루 와 苣 부루 거 - 훈몽자회(상)(1527) * 비름: 비름과의 개비름, 색비름, 털비름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비름 《출전》 【獨野莧靑靑】 ᄒᆞ올로 ᄆᆡ햇 비르미 퍼러 나니 - 두시언해 초간본(16)(1481), 莧菜 비름 - 역어유해(하)(1690) * 뽕: *《옛》 ᄲᅩᆼ 《출전》 桑 ᄲᅩᆼ - 시경언해(3)(1613) * [[뽕나무]]: 뽕나뭇과 뽕나무속의 낙엽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14734|ᄲᅩᇰ나모]], ᄲᅩᇰ나무, ᄲᅩᇰ남오, ᄲᅩᇰᄂᆞ모 《출전》 桑 ᄲᅩᇰ나무 - 시경언해(4)(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396|뽕나무(샘)]] * 살사리: 코스모스 * 삼: 거칠고 긴 마섬유가 채취되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삼 《출전》 麻 삼 마 - 훈몽자회(상)(1527) * 새박: 박과의 한해살이풀. *《옛》 새박 《출전》 芄 새박 환 - 훈몽자회(1527), 芄蘭 새박 - 시경언해(3)(1613) * 새삼: 메꽃과의 한해살이 기생 식물. *《옛》 새ᅀᅡᆷ, 새삼, 새ᄉᆞᆷ, ᄉᆡ삼 《출전》 唐 새삼 - 시경언해(3)(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9850|새삼(샘)]] * 소나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98865|소나모]] * 솔: 소나뭇과의 모든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솔 《출전》 【種種앳 松直ᄒᆞ며 棘曲ᄒᆞ며】 現前ᄒᆞᆫ 種種앳 소ᄅᆞᆫ 고ᄃᆞ며 가ᄉᆡᄂᆞᆫ 구브며 - 능엄경언해(5)(1461), 【松風이 吹ᄒᆞ니】 소랫 ᄇᆞᄅᆞ미 부니 - 남명집언해(상)(1482), 松 솔 - 시경언해(3)(1613) * 수박: 수박열매. 한자어가 아니다. * {{{#8b4513,#wheat 수세}}}: 수세미외.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48336|수세]] 《출전》 苴 수세 져 - 신증유합(하)(1576) * [[수세미]]: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 수세미외: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 {{{#8b4513,#wheat 수세외}}}: 수세미외.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03741|수세외]] * 수수꽃다리: 라일락 * [[시무나무]]: 느릅나뭇과의 낙엽 교목. *《옛》 스믜나무 《출전》 樞 스믜나무 - 시경언해(6)(1613) * {{{#8b4513,#wheat 신}}}: *《옛》 싣 《출전》 싣為楓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신나무: 단풍나무. *《옛》 싣나모, 신나무 《출전》 楓 신나무 풍 - 속수한문훈몽(1922) * 심: 삼(蔘) * 쑥: 국화과에 속하는 쑥, 산쑥, 덤불쑥, 참쑥, 물쑥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3342|ᄡᅮᆨ]] 《출전》 艾 ᄡᅮᆨ - 시경언해(4)(1613) * 쑥갓: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3343|ᄡᅮᆨ갓]] * 아가위: 산사자. 산사나무의 열매.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15290|아가외]] 《출전》 山楂子 아가외 - 동의보감 탕액편(1613), 杜 아가외 - 시경언해(6)(1613) * 아까시: 회화나무 * 아욱: 아욱과의 두해살이풀. *《옛》 아혹,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18345|아옥]], 아욱 《출전》 葵 아옥 규 - 훈몽자회(상)(1527), 아욱 薁菜 - 국한회어(1895)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54752|아욱(샘)]] * 암눈비앗: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39155|암눈비앚]], 암눈비얏 《출전》 茺蔚子 암눈비얏 ᄡᅵ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암크령: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 애기풀: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14351|아기플]], 아기풀 《출전》 遠志 아기플 불휘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19768|애기풀(샘)]] * {{{#8b4513,#wheat 어어리나무}}}: 개나리.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23630|어어리나모]] 《출전》 連翹 어어리나모 여름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어저귀: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옛》 어저귀 《출전》 檾 어저귀 겨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76032|어저귀(샘)]] * 엉겅퀴 * 여뀌: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엿괴 《출전》 蓼 엿괴 - 시경언해(19)(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28580|여뀌(샘)]] * 여우오줌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여ᇫ의오좀플 《어원》 여ᅀᆞ+-의+오좀+플 《출전》 【蟲心痛 鶴蝨^^여ᇫ의오좀플^^一兩爲末以溫酢^^초^^一盞和空腹服之蟲當吐出】 벌엣 긔운으로 가ᄉᆞᆷ 알ᄑᆞ거든 여ᇫ의오좀플 ᄒᆞᆫ 랴ᇰ을 ᄀᆞ라 다ᄉᆞᆫ 초 ᄒᆞᆫ 되예 프러 고ᇰ심에 머그면 벌에 토ᄒᆞ야 나리라 - 구급간이방(2)(1489) * {{{#8b4513,#wheat 열}}}: ‘삼’의 방언(경상).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9555|엻]] * {{{#8b4513,#wheat 오얏}}}: → 자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96160|오얏]], 오얒, 외앗 《출전》 李 외앗 - 시경언해(4)(1613) * {{{#8b4513,#wheat 오얏나무}}}: → 자두나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35638|오얏나모]] * 옻: 옻나무에서 나는 진. *《옛》 옷 《출전》 漆 옷 - 시경언해(3)(1613) * [[옻나무]]: 옻나뭇과의 낙엽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40389|옷나모]], 옷나무 《출전》 漆 옷나무 - 시경언해(6)(1613) * 외: ‘오이’의 준말. *《옛》 외 《출전》 【生苽少許和油食之】 ᄂᆞᆯ외ᄅᆞᆯ 져기 기르메 섯거 머그라 - 구급방언해(하)(1466), 瓜 외 과 - 역대천자문(1911) * 으름^^1^^: 으름덩굴의 열매.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9821|으흐름]] * {{{#8b4513,#wheat 으름}}}^^2^^: 으름덩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1814|으흐름]] * {{{#8b4513,#wheat 으름너출}}}: 으름덩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51631|이흐름너출]] * 이스라지: 장미과의 관목. * 이스랏나무: 진달랫과의 낙엽 활엽 관목. * {{{#8b4513,#wheat 이스랒}}}: 앵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58485|이스랒]] 《출전》 【炎方每續朱櫻獻 玉座應悲白露團】 더운 ᄯᅡ해셔 ᄆᆡ야ᇰ 이스라ᄌᆞᆯ 니ᅀᅥ 進獻ᄒᆞ더니 玉座애셔 다ᇰ다ᇰ이 ᄒᆡᆫ 이스ᄅᆡ 도려오ᄆᆞᆯ 슬흐시니라 - 두시언해 초간본(15)(1481) * 잇^^1^^: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옛》 니ᅀᅵ * {{{#8b4513,#wheat 잇}}}^^2^^: 이끼.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58978|잇]] 《출전》 【階面靑苔先自生】 이 階砌 面엣 프른 이슨 ᄇᆞᆯ셔 절로 냇도다 - 두시언해 초간본(6)(1481) * 잇꽃: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옛》 니ᅀᅵᆺ곳, 닛곳 《출전》 紅花 닛곳 - 방언유석(1778) * 잔디: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73037|젼ᄠᅬ]], 쟘ᄠᅱ, 쟌ᄠᅱ, 쟘ᄯᅱ, 잔듸, 잔디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0356|잔디(샘)]] * 잣: 잣나무의 열매. *《옛》 잣 《출전》 잣為海松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잣나무: 소나뭇과의 상록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58800|잣나모]], 잣나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58801|잣나무(샘)]] * 전나무: 소나뭇과의 상록 교목. 젓나무. * {{{#8b4513,#wheat 젓}}}: 전나무. 젓나무. *《옛》 젓 《출전》 檜 젓 - 시경언해(3)(1613) * 젓나무: 소나뭇과의 상록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69532|젓나모]] * 조: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74522|좋]] * 조팝나무: 장미과의 갈기조팝나무, 둥근잎조팝나무, 인가목조팝나무, 참조팝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74251|조팝나모]] * 쪽: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73601|족]], ᄶᅩᆨ, ᄶᅭᆨ, 쪽 《출전》 藍 족 남 - 광주천자문(1575), 藍 족 - 시경언해(15)(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85644|쪽(샘)]] * [[찔레]]: 장미과의 낙엽 활엽 관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5972|딜위]],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61964|질늬]] 《출전》 營實 딜위 여ᄅᆞᆷ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4118|찔레(샘)]] * 찔레나무: 장미과의 낙엽 활엽 관목. * 차조기: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37048|ᄎᆞ소기]], ᄎᆞ조기, ᄎᆞ죠기, ᄎᆞ죽이 《출전》 蘇 ᄎᆞ조기 - 시경언해(4)(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87159|차조기(샘)]] * 참꽃: 진달래. 철쭉이 개꽃인 것과 대조를 이룬다. * [[참나무]]: 참나뭇과의 낙엽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10880|ᄎᆞᆷ나모]], ᄎᆞᆷ나무 《출전》 栲 ᄎᆞᆷ나무 - 시경언해(6)(1613) * 참제비고깔: 델피니움 * 촉: 난초를 세는 단위. * 칡: 콩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식물.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96924|츩]] 《출전》 葛 츩 - 시경언해(4)(1613) * 토끼풀 * 퉁퉁마디 * 팥: 콩과의 한해살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76028|ᄑᆞᇧ]],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65343|ᄑᆞᆾ]], ᄑᆞᆺ, ᄑᆞᆺㅊ, ᄑᆞᆺㅌ, 팟, 팟ㅊ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38160|팥(샘)]] * 팥꽃: 팥의 꽃.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49493|ᄑᆞᆺᄭᅩᆺ]] * 피: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피 《출전》 피為稷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피나무: 피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13903|피나모]] 《출전》 椵 피나모 가 - 훈몽자회(상)(1527) * 하눌타리: 박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12664|하ᄂᆞᆳᄃᆞ래]], 하ᄂᆞ타리, 하ᄂᆞᆯ타리, 하ᄂᆞᆯᄐᆞ리, 하늘타리, 하날타리 《출전》 果臝 하ᄂᆞᆯ타리 - 시경언해(7)(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38975|하눌타리(샘)]] * 하루살이꽃: 채송화 * 함박꽃: 작약 * 해바라기 [[분류:순우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