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쉐보레|[[파일:쉐보레 로고(2002-2010).sv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필리핀 쉐보레 루미나.png|width=100%]]}}} || || {{{#ffffff '''Lumina'''}}} || [목차] '''Chevrolet Lumina'''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제너럴 모터스]] 산하의 [[쉐보레]] 브랜드에서 [[필리핀]] 시장 전략 차종으로 판매하면서 [[뷰익 리갈]]을 [[배지 엔지니어링]]해 판매한 중형차였다. 이름만 과거 생산했던 [[쉐보레 루미나]]와 같을 뿐 아무런 연관이 없는 차량이다. == 상세 == === 1세대(2005~2006) ===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buick_regal_cn-spec_23.jpg|width=700]] 원판 차량인 4세대 [[뷰익 리갈]] 중국 사양 [[1985년]] 이후 [[필리핀]]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을 이유로 들어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와 함께 철수했다가[* 이로 인해 [[닛산]],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 및 [[토요타]]와 같은 [[일본]]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보았다.] [[1997년]]에 다시 [[오펠]] 브랜드를 들여와 [[오펠 벡트라|벡트라]][* [[필리핀]] 시장에서는 [[닛산 세피로]], [[토요타 캠리]], [[혼다 어코드]]와 경쟁해야 했다.], [[오펠 오메가|오메가]], [[오펠 티그라|티그라]] 및 [[오펠 아스트라|아스트라]]를 선보였으며, 이후 [[2000년]]에 [[쉐보레]]도 재진출해 [[쉐보레 서버번|서버번]]과 [[쉐보레 익스프레스|사바나]]를 출시하였고, 이 둘을 묶어 GM 오토월드 체제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이미 시장의 80% 이상은 일본차가 점령하였고, 남은 15%를 [[현대자동차]] 및 [[기아자동차]]와 같은 국산차 회사들이 차지하던 구조였던지라 [[2003년]]에 철수를 결정했다가 이후 중형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2005년]]에 2차 재진출을 위한 차량으로 개발되었다. 차량의 가격은 1,290,000페소[* 원화가치 약 3,036만원] 정도였고, 전장은 [[오펠 벡트라]]보다 508mm 더 긴 4,983mm, 127mm 정도 더 넓은 1,847mm의 전폭, 1,438mm의 전고 및 2,769mm의 휠베이스가 적용되었다.[* 이는 경쟁 차량인 [[토요타 캠리]] 및 [[혼다 어코드]]보다도 더 큰 편이었었으며, 국산차 기준으로는 [[기아 오피러스]]/[[현대 다이너스티]]보다 근소하게 더 큰 편이었다.] 차량의 대체적인 평가는 편안하며, 넓고 장비가 많이 갖추어졌다는 긍정적 평가가 있는 반면, 차량의 디자인이 너무 싱겁게 생겼다는 비판이 있기도 했다. [[파워트레인]]으로는 152마력의 출력과 208Nm의 토크를 내는 2.5L LB8형 V6 엔진 하나로 구성되었다. 이와 함께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으며, 최고 속도 173km/h, 12.8초의 [[제로백]]을 기록하였다. 배기 가스 배출은 유로2 레벨-3방향-촉매 변환기를 통해 배출가스 저감을 이룩하였다. 기본적인 안전장치로는 AB, 온 보드 차량 진단 시스템,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및 클리어타입 방향 지시등 및 헤드라이트 하우징이 장착된 4륜 [[디스크 브레이크]]가 적용되었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안전벨트 5개[* 앞좌석 2개, 뒷좌석 3개로 구성되었다.]와 앞좌석 이중 에어백이 장착되어 차량 탑승 인원이 계기판을 향해 부딪혀 사고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했다. 실내 보호를 위해 일체형 강철 차체 구조[* 충격 보호 기능도 포함되었다.]와 [[제너럴 모터스|GM]] 전용 세이프티 스틸 4도어 빔이 적용되었다. 또한,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 이모빌라이저와 중앙 잠금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주요 기능으로는 키리스 엔트리, 8방향 전동 조절식 운전석, 원격 트렁크 개폐장치 및 전동식 대시보드 게이지 클러스터 레벨, 사이드 미러 조정 장치로 구성되었다. 가죽 스티어링 휠[* 틸트 조정식 스티어링 칼럼 방식이 적용되었다.]과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이 적용되었다. 실내에는 가죽 장식과 인조 목재 트림, 뒷좌석 스토리지 팔걸이[* 이와 함께 이중 컵홀더가 적용되었다.], 전자식 실내 온도 조절 장치, 6스피커, 유리 재질의 안테나 및 CD/라디오 헤드 유닛이 적용되었다. 생산은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SAIC-GM]]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2008년]]형을 끝으로 4세대 리갈의 생산을 종료하려고 하면서 [[필리핀]] 시장에서도 단종되었으며, [[GM 한국사업장|한국GM]] 부평공장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형태의 8세대 [[쉐보레 말리부]]가 등장하기 전까지 약 7년간 [[필리핀]] 시장 중형차 라인업에 공백이 생겼다.[* 이후 [[2018년]]에 9세대 [[쉐보레 말리부]]가 버젓이 판매되고 있다.] 그로 인해 [[필리핀]]에서 이 차의 희소 가치가 큰 편이라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쉐보레의 차량)] [[분류:쉐보레/생산차량]][[분류:2005년 출시]][[분류:2006년 단종]][[분류:중형 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