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신 타이거스/간략(외야수))] ---- ||
'''{{{#fff 쉘든 노이지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파일:한신 타이거스 우승 엠블럼 V2.svg|width=70]][br]'''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23년 일본시리즈|{{{#fefe01 2023}}}]]''' ||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64번}}}''' || || [[세자르 발데스]][br](2017) || {{{+1 →}}} || '''쉘든 노이지[br](2019)''' || {{{+1 →}}} || [[켄 왈디척]][br](2022~)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63번}}}''' || || [[이미 가르시아]][br](2014~2019) || {{{+1 →}}} || '''{{{#005A9C,#62BCFF 쉘든 노이지[br](2021)}}}''' || {{{+1 →}}} || [[저스틴 브룰]][br](2021~2023)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6번}}}''' || || [[애덤 콜라렉]][br](2019~2020) || {{{+1 →}}} || '''{{{#005A9C,#62BCFF 쉘든 노이지[br](2021)}}}''' || {{{+1 →}}} || [[히스 험브리]][br](2022)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26번}}}''' || || [[맷 채프먼]][br](2017~2021) || {{{+1 →}}} || '''쉘든 노이지[br](2022)''' || {{{+1 →}}} || [[조나 브라이드]][br](2023~) || ||<-5> '''{{{#000 [[한신 타이거스|{{{#000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7번}}}''' || || [[이토이 요시오]][br](2017~2022) || {{{+1 →}}} || '''쉘든 노이지[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한신쉘던노이지.png|width=100%]]}}} || ||<-2> '''한신 타이거스 No.7''' || ||<-2> '''{{{#ffffff {{{+2 셸던 린 노이지}}}[br]Sheldon Lynn Neuse}}}''' || ||<|2> '''출생''' ||[[1994년]] [[12월 10일]] ([age(1994-12-10)]세) || ||[[텍사스|텍사스 주]] [[댈러스-포트워스|포트워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포실 리지 고등학교 - [[오클라호마 대학교]] || || '''신체''' ||183cm, 88kg || || '''포지션''' ||[[내야수]], [[외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6 MLB 신인드래프트#s-3|2016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58번, [[워싱턴 내셔널스|WSH]]) || ||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9) [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1)[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2)[br][[한신 타이거스]] (2023~) || || '''가족''' ||부모님, 남동생 딜런 노이지^^(1998년생)^^ || || '''SNS''' ||[[https://www.instagram.com/sheldonneus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heldonneuse,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신 타이거스]] 소속 내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use_univ.webp|width=100%]]}}} || [[오클라호마 대학교]]에 진학 후 2016년에는 [[NCAA]]에서 55경기 OPS 1.111이라는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 [[워싱턴 내셔널스]] 산하 마이너 === [[2016 MLB 신인드래프트|2016년 드래프트]]에서 [[워싱턴 내셔널스]]에 2라운드 전체 58번으로 지명되었다. 계약금은 90만달러를 수령했다. 2016년 로우싱글A팀 어번 더블데이스에서 뛰며 36경기 .230/.305/.341의 성적을 기록했다. 이후 2017년에는 싱글A에서 77경기 OPS .818을 찍으며 타격 포텐을 터뜨렸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기 === 2017년 7월 16일, [[헤수스 루자르도]]와 [[블레이크 트라이넨]]과 함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상대는 [[라이언 매드슨]]과 [[션 두리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oakimg.jpg|width=100%]]}}} || || '''{{{#FFFFFF 2017 시즌 [[애리조나 가을리그|{{{#FFFFFF 애리조나 가을리그}}}]]에서}}}}}''' || 2017시즌 종료 후 애리조나 가을리그에 참가해 22경기 93타석 타율 .314, 5홈런, OPS .935의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2018 시즌을 앞두고 MLB.com 팀 유망주 명단 11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후 처음으로 스프링캠프에 초청되었고, 28경기 58타석 5홈런, .310/.375/.621로 엄청난 장타력을 보여주며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정작 AAA 시즌이 시작하자 부진했고, .263/.304/.357의 초라한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오클랜드 팬들에게 큰 기대를 받던 선수 중 한명이었으나 결과적으로 기대 만큼의 성적을 얻지는 못했다. ==== 2019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21675348.jpg|width=100%]]}}} || 시즌을 앞두고 팀 내 유망주 순위 11위에 올랐다. 시즌 개막 후 AAA에서 3루와 2루를 오가며 주전으로 뛰었고, .317/.389/.549의 상당히 좋은 슬래시라인을 기록하였다. 그러던 도중 8월 29일 [[크리스 데이비스(1987)|크리스 데이비스]]가 경조사 명단에 오르자 처음으로 빅리그에 콜업되었다. 이후 8월 30일 [[뉴욕 양키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8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하며 데뷔전을 가졌다. 첫 타석에서는 [[CC 사바시아]]를 상대로 볼넷을 골라나갔으나 이후 세 타석에선 모두 범타로 물러났다. 9월 1일 [[뉴욕 양키스]]와의 경기에선 8번타자 2루수로 출장하였고, 0-0으로 팽팽하게 맞선 7회 초 무사 만루에서 타석에 들어서 라이언 둘을 상대로 2타점 적시 2루타를 때려내며 데뷔 첫 안타와 타점을 동시에 올렸다. 팀은 노이지의 안타로 선취점을 획득했으나 9회 말 [[리암 헨드릭스]]가 백투백 끝내기 홈런을 맞으며 패배하고 만다. 9월 6일 치루어진 5월 19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서스펜디드 게임에서 7회 2루수 대수비로 출장하였다. 타석에도 들어섰으나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이후 내야 백업으로 뛰며 25경기 .250/.295/.304를 기록했다. ==== 2020 시즌 ==== 2020 시즌에는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들지 못했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use_LAD.jpg|width=100%]]}}} || 2021년 2월 12일, 마이너리그 투수 [[거스 발랜드]]와 함께 다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반대급부는 [[애덤 콜라렉]]과 [[코디 토마스]]. ==== 2021 시즌 ==== 4월 2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서 [[에밀리오 파간]]을 상대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4월 25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서 닉 라미레즈를 상대로 쓰리런 홈런을 쳤으나 팀이 8:7로 역전패하면서 빛이 바랬다. 5월 16일 마이애미 말린스전에서 평범한 땅볼을 잡았다가 떨어트리면서 실책을 기록하여 팀의 3:2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5월 26일 [[휴스턴 애스트로스]]를 상대로 9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였고, 넉 점 뒤진 8회 초 [[라인 스태닉]]을 상대로 초구에 솔로홈런을 기록하였다. 이후 5월 29일 옵션되었으나 7월 21일 다시 콜업되었다. 7월 23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 2루수 대수비로 출장하였으나 9회 초 2사 만루 유격수 [[크리스 테일러]]의 송구를 팔을 뻗으며 잡지 않아 역전의 빌미를 제공하고 말았다. 7월 24일 콜로라도 로키스전에선 [[코디 벨린저]]의 햄스트링 부상으로 인해 대수비로 투입되어 8회말 안타 하나를 쳤지만 9회말 동점 1사만루 상황 끝내기 찬스에선 4구만에 삼진을 당하며 출장하는 경기마다 공수 모두에서 골고루 말아먹고 있다. 결국 7월 26일 다시 트리플A로 내려갔다. AAA에서는 좋은 성적을 기록하여, 78경기 .293/.352/.478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시즌 종료 후 지명할당되었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기 === 2022년 3월 16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클레임을 걸어 친정팀으로 복귀하였다. ==== 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8088761.jpg|width=100%]]}}} || 3월 20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와의 시범경기에서 8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며 오클랜드 복귀전을 치렀다. 그러나 타석에서 2타수 2삼진을 기록했다. 3월 22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경기에서는 6번타자 2루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땅볼만 두 개를 기록했다. 3월 24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시범경기에서 7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4회 [[맷 무어]]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 이번 시범경기 첫 안타와 홈런을 동시에 기록했다. 오클랜드 이적 후 FA가 된 [[제드 라우리]]가 달던 등번호 8번을 달았으나 일주일 후 라우리가 복귀하며 다시 가져가 26번으로 변경했다. 3월 28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시범경기에서 6회 말 3루수 대수비로 교체 출장하였고, 8회 초 타석에 들어서 [[애런 루프]]를 상대로 중월 솔로홈런을 기록하였다. 9회 초에도 타석에 들어섰으나 [[호세 퀴하다]]를 상대로 헛스윙 삼진으로 물러났다. 현재까지 시범경기 성적은 15타수 타율 .267, OPS 1.046 4월 1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시범경기에서 5번타자 2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5타수 2안타 1타점의 활약을 펼쳤다. 3회 초에는 [[댈러스 카이클]]을 상대로 [[케빈 스미스(1996)|케빈 스미스]]에 이어 백투백 홈런을 기록했다. 시범경기에서 15경기 .343/.351/.743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며 개막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4월 9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넉 점 뒤진 8회 초 선두타자 [[세스 브라운]]의 대타로 들어섰으나 [[호세 알바라도]]를 상대로 2루수 땅볼로 물러났다. 4월 11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시리즈 첫 경기에서 8번타자 3루수로 시즌 첫 선발 출장을 가졌다. 첫 타석부터 [[크리스 마자]]를 상대로 안타를 기록했고, 이후 상대 실책을 틈타 득점에 성공했다. 5회에도 단타를 기록하며 멀티히트 경기를 완성했으며, 9회 초에는 2사 만루 상황에서 타석에 들어서 야수 [[브렛 필립스]]의 44마일짜리 공을 받아치며 데뷔 첫 그랜드슬램을 기록했다. 5타수 3안타 4타점 2득점을 기록하며 팀 승리를 이끌었다. 4월 13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경기에서 7번타자 2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2회 2사 1루에서 [[셰인 맥클래너핸]]을 상대로 우전 안타를 터뜨렸다. 그러나 이후 무안타로 침묵했다. 4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4월 17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경기에서는 5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1회부터 선두타자 [[조지 스프링어]]의 타구를 놓치는 실책을 저지르고 말았다. 이는 이후 상대의 득점으로 이어졌다. 타석에서도 2타수 2삼진 무안타를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8회 초 대타 [[제드 라우리]]로 교체되었다. 4월 18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홈 개막전에서 7번타자 2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2안타 1타점 1볼넷으로 좋은 활약을 펼쳤다. 4월 21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경기에서 3번타자 2루수로 선발 출장하였다. 1회 첫 타석부터 [[타일러 웰스]]를 상대로 2루타를 기록했다. 두 번째 타석에서는 1사 2루에서 [[토니 켐프]]를 불러들이는 1타점 적시타를 터뜨렸다. 5회에는 삼진으로 물러났으나 7회 2사 2루에서 [[딜런 테이트]]를 상대로 [[닉 알렌]]을 불러들이는 1타점 적시타를 때려내며 스코어를 두 점차로 벌렸다. 4타수 3안타 2타점 1득점으로 활약하며 팀의 승리에 크게 일조했다. 4월 23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4타수 무안타로 침묵했다. 4월 24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1안타 1볼넷 1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타율은 .313, OPS는 .785가 되었다. 타격의 정확도는 늘었으나 장타툴을 어디다 내다버리고 왔는지 아직까지 홈런이 하나밖에 없다. 그 하나마저도 [[브렛 필립스]]를 상대로 친 것이라 아직 못 쳤다고 봐도 무방하다. 4월 26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였고, 4타수 2안타 1타점으로 활약했다. 도루도 두 개를 기록하며 도루 부문 팀 내 1위로 올라섰다. 시즌 타율은 .327, OPS는 .801로 상승했다. 4월 27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4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침묵했다. 또 실책만 두 개를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참고로 현재까지 오클랜드의 시즌 실책 수가 15갠데, 이 중 40%인 6개가 노이지의 몫이다. 4월 29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였고, 첫 타석에선 삼진으로 물러났으나 2회 말 2사 후 안타를 기록했다. 4회 말에는 동점 상황 2사 2루에서 [[샘 헨치스]]를 상대로 역전 1타점 적시타를 기록했다. 6회 말에는 한 점 앞선 상황에서 [[에녤 데 로스 산토스]]를 상대로 주자 두 명을 불러들이는 2타점 3루타를 터뜨리며 3안타 경기를 완성했다. 5타수 3안타 3타점으로 대활약했으나 팀은 [[저스틴 그림]]과 [[도밍고 아세베도]]의 불쇼로 패배했다, 4월 30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와의 경기에서 2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하였다. 3회 말 1사 1,2루의 득점 찬스에서 타석에 들어섰고, [[셰인 비버]]를 상대로 풀카운트 끝 볼넷을 기록했다. 이후 한 점 뒤진 5회 말에는 경기를 원점으로 돌려놓는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 시즌 2호 홈런. 그러나 팀은 [[대니 히메네스]]가 방화하며 졌다. 5월 1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와의 경기에서 2번타자 1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안타와 볼넷을 기록하며 멀티출루에 성공했으나 팀은 패배했다. 5월 2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경기에서는 4타수 무안타로 침묵했다. 5월 3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경기에서는 5타수 3안타 2루타 1타점 2득점으로 큰 활약을 펼쳤으나 팀은 연장 승부 끝 패배했다. 6월 6일 옵션되었다. 옵션 후 12번의 AAA 경기에서 52타수 21안타, OPS 1.131로 큰 활약을 펼쳤고, PCL 이 주의 선수에 선정되기도 했다. 결국 얼마 지나지 않은 6월 21일 다시 콜업되었다. 6월 23일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경기에서 9점으로 점수차가 크게 벌어지자 9회 투수로 등판하여 삼자범퇴를 기록했다[* 물론 타구질은 매우 살벌했다. 타구속도 98마일이 넘는 타구만 두 개를 맞았으나 뜬공 처리되었다.]. 그러나 이어지는 9회 말 타석에서는 땅볼로 물러났다. 89경기 293타석 .214/.273/.288 wRC+ 67 fWAR -0.5를 기록하고 9월 24일 [[어니 클레멘트]]가 콜업되면서 지명할당되었다. === [[한신 타이거스]] === 2022년 11월 19일, [[일본프로야구]]의 [[한신 타이거스]]와 계약했다. 연봉은 130만 달러, 등번호는 2022 시즌에 은퇴한 [[이토이 요시오]]가 달던 7번을 사용한다. ==== 2023 시즌 ==== 시즌 초는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타율 2할 8푼 정도로 컨택은 괜찮은 편인데 5월 중반까지 홈런 3개에 2루타도 3개, 도루 0개, 출루율 3할 1푼대, 장타율이 3할 5푼 정도밖에 안 되며 OPS 0.676으로 부진한 모습. 홈런을 못 치고 똑딱질만 열심히 하고 있다. 마이너에서 3할을 여러 차례 쳤을 정도로 컨택이 뛰어나면서도 2019년 마이너리그 트리플A에서 27개를 친 장타 포텐셜도 있기에 고타율에 15개는 쳐줄 옛날 [[맷 머튼]]같은 호타준족형 선수를 기대하고 데려왔는데, 아직까지는 발도 장타력도 타율 대비 출루율도 별로고 그냥 단타만 잘 치고 있다. 그래도 이 성적이 100타석 기준 팀 내 5~6위일 정도로 딱히 대안이 없는데다, 어쨌든 단타나마 안타는 제법 나오는 편이라 3번으로 클린업에 쓰이고는 있다. 앞의 리드오프들이 발 빠른 [[치카모토 코지]]와 [[나카노 타쿠무]]라서 타점은 은근 나오는 편. 수비는 2루와 3루 모두 [[오오야마 유스케]]와 나카노가 있기에 좌익수로 기용되고 있는데, 실책이 2개나 되는 등 그닥 안정적이지 못하다. 시즌 중반이 지나고 6월 월간 타율이 .180일 정도로 헤맸고 한신이 2위 요코하마에게 따이기 직전까지 가는 데 주범 중 하나로 꼽혔는데, 문제는 여전히 대안이 없어서 꾸준히 나오고 있다. 그나마 7월들어 다시 반등하는 모습이 나타났고 본인만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신 타이거스가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아직까지 선수에 대한 전체적인 여론은 나쁘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일본 시리즈에서 큰 활약을 기록하며 팬들에게 승리의 기운과 같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고 20만 달러가 감액된 110만 달러에 재계약을 맺었다. 실제로 구단에서는 일본 시리즈 7차전의 선제 쓰리런 홈런을 계기로 노이지와의 재계약을 진행하는 것으로 방침을 변경했다고 할 정도(...). 물론 후반기에 성적이 반등한 것도 감안해서 재계약을 진행하기는 했지만 기본적인 방침은 딱 일본시리즈까지만 쓰고 퇴출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다만, 2024 시즌에도 작년의 정규시즌과 같은 활약을 기록할 시에는 2025년 이후에 외국인 선수로 [[KBO 리그]]에서 만나볼 수도 있게 될 것이다. ===== 일본시리즈 ===== [[2023년 일본시리즈]] 6차전에서 선제 홈런을 쳤으나 [[야마모토 요시노부]]의 완투승으로 빛이 바랬다. 일본시리즈 7차전에서 4회초 공격에서 3점포를 쳐내고 5회 1타점 적시타, 총 4타점을 뽑아내고[* 팀의 7타점 중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우승 확정 타구를 본인의 손으로 잡으면서 영웅으로 등극하였다. MVP는 [[치카모토 코지]]에게 돌아갔지만 대신 우수선수상을 받았다. == 플레이 스타일 == [[호타준족]]형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유틸리티 플레이어]]. 타격은 육각형 스타일로 마이너에서 통산 .299의 타율에 3할 타율을 기록한 시즌도 여러 차례고, 홈런도 10개 중후반을 치며 최고 1시즌 27홈런을 친 적이 있을 정도로 장타력도 괜찮고, 도루를 10개 넘게 한 시즌도 여러 차례 있을 정도로 발도 빠르다. 수비는 1,2,3루를 다 소화할 수 있고 코너외야도 소화할 수 있는 내외야가 다 되는 유틸리티 요원인데, 미국에서는 주로 내야백업으로 기용되었고 일본에서는 [[좌익수]]로 기용되고 있다. 꽤 공격적인 타격 어프로치를 갖는 타자라 어쨌든 배트부터 내고 보는 편으로 타율 대비 출루율은 높지 않으며, 전반적으로 우수한 신체능력을 바탕으로 야구를 하는 몸야구과 선수. 이런 몸야구로 마이너리그에서는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지만 더더욱 괴물들이 넘쳐나는 메이저에서는 잘 먹히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며 일본에 가게 되었다. 보통 넓은 구장 때문에 홈런타자를 좋아하지않는 [[한신 타이거스]]에서 용병으로 잘 영입하지 않는 스타일인데 의외라면 의외. 연봉도 130만 달러로 확실히 즉전감으로 보고 있는 영입이다. 그래도 잘 영입하지 않을 뿐이지 한신도 이런 3번 스타일의 타자를 가끔씩 영입을 하긴 하는데, 등번호 7번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과거 이 번호를 달았던 호타준족의 [[이토이 요시오]], [[맷 머튼]] 등의 명선수를 기대하며 영입을 한 선수이다. 2023시즌 초반은 약간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컨택 하나만큼은 일본에서도 먹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연도별 성적 == ||<-20>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쉘든 노이지의 역대 MLB 기록'''}}} || || 년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OPS+ || fWAR || bWAR || || 2019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25 || 61 || 14 || 3 || 0 || 0 || 3 || 7 || 0 || 4 || 19 || .250 || .295 || .304 || .599 || 64 || 0.0 || 0.3 || || 2020 ||<-16> MLB 기록 없음 || || 년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OPS+ || fWAR || bWAR || || 2021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33 || 66 || 11 || 1 || 0 || 3 || 6 || 4 || 1 || 1 || 26 || .169 || .182 || .323 || .505 || 33 || -0.5 || -0.5 || || 년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OPS+ || fWAR || bWAR || || 2022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89 || 293 || 58 || 4 || 2 || 4 || 25 || 26 || 6 || 20 || 80 || .214 || .273 || .288 || .561 || 65 || -0.5 || -0.8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3시즌)''' || 147 || 420 || 83 || 8 || 2 || 7 || 34 || 37 || 7 || 25 || 125 || .212 || .262 || .296 || .558 || 59 || -1.0 || -0.9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포트워스 출신 인물]][[분류:오클라호마 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한신 타이거스/현역]][[분류:독일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