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 슈테판 키슬링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분데스리가 득점왕(2010년대)|[[파일:분데스리가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3010d; font-size: 0.9em;" [[틀:분데스리가 득점왕(2010년대)|{{{#ffffff '''2012-13 분데스리가 득점왕'''}}}]]}}} || [[틀:DFB-포칼 득점왕(2010년대)|[[파일:DFB-포칼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7f45; font-size: 0.9em" [[틀:DFB-포칼 득점왕(2010년대)|{{{#fff '''2014-15 DFB-포칼 득점왕'''}}}]]}}}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09-10 VDV 올해의 팀|[[파일:VDV로고.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aaa; font-size: 0.9em;" [[틀:2009-10 VDV 올해의 팀|{{{#ffffff '''2009-10 VDV 올해의 팀'''}}}]]}}}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24%, #ffffff 24%, #ffffff 25%, #e41c1b 25%, #e41c1b 75%, #ffffff 75%, #ffffff 76%, #000000 76%);" {{{+1 '''[[바이어 04 레버쿠젠|{{{#!html 바이어 04 레버쿠젠}}}]]'''}}}}}}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FF 4%, #D0021B 4%, #D0021B 6%, #FFFFFF 6%, #FFFFFF 14%, #000000 14%, #000000 16%, #FFFFFF 16%, #FFFFFF 24%, #D0021B 24%, #D0021B 26%, #FFFFFF 26%, #FFFFFF 34%, #000000 34%, #000000 36%, #FFFFFF 36%, #FFFFFF 44%, #D0021B 44%, #D0021B 46%, #FFFFFF 46%, #FFFFFF 54%, #000000 54%, #000000 56%, #FFFFFF 56%, #FFFFFF 64%, #D0021B 64%, #D0021B 66%, #FFFFFF 66%, #FFFFFF 74%, #000000 74%, #000000 76%, #FFFFFF 76%, #FFFFFF 84%, #D0021B 84%, #D0021B 86%, #FFFFFF 86%, #FFFFFF 94%, #000000 94%, #000000 96%, #FFFFFF 96%);" '''{{{#!html Bayer 04 Leverkusen e.V.}}}'''}}}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efan Kießlinggg.jpg|width=100%]]}}} || ||<-2> {{{#ffffff '''이름'''}}} || '''{{{+1 슈테판 키슬링}}} [br] Stefan Kießling''' || ||<-2> {{{#ffffff '''출생'''}}} ||[[1984년]] [[1월 25일]] ([age(1984-01-25)]세) [br]{{{-1 [[서독]] [[바이에른]] 주 리히텐펠스}}} || ||<-2>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 {{{#ffffff '''신체'''}}} ||191cm, 80kg || ||<-2> {{{#ffffff '''직업'''}}} ||[[축구선수]] ([[스트라이커(축구)|스트라이커]] / ^^은퇴^^) || ||<|2>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TSV E. 밤베르크 (1998~2001 / ^^유스^^) [br] [[1. FC 뉘른베르크]] (2001~2002 / ^^유스^^) [br] [[1. FC 뉘른베르크]] (2002~2006) [br] '''[[바이어 04 레버쿠젠]] (2006~2018)''' || || {{{#ffffff '''기타''' }}} ||[[바이어 04 레버쿠젠]] (2018~ / ^^행정사^^) || ||<-2> {{{#ffffff '''국가대표'''}}} ||6경기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2007~2010)^^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전 축구선수. 무려 12년간 레버쿠젠을 위해 뛴 '''레버쿠젠의 레전드'''이다. 그러나 국가대표팀에는 많이 소집되지 못했다. == 클럽 경력 == === [[1. FC 뉘른베르크]] === 독일 [[바이에른]]주의 리히텐펠스에서 태어난 키슬링은 2003년 1.FC 뉘른베르크에서 성인 무대에 데뷔하였다. 키슬링은 04-05 시즌 부터 주전 자리를 차지했으며 05-06 시즌까지 뉘른베르크에서 [[분데스리가]] 73경기에 출전하여 19골을 넣었다. === [[바이어 04 레버쿠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efan-kiessling-bayer-leverkusen-bundesliga-09162015_qhboy3hnw851df5geyn4oqt1.jpg|width=100%]]}}}|| 뉘른베르크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06년 여름 바이어 레버쿠젠으로 이적하였으며, 첫 시즌 부터 주전 스트라이커 자리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09-10 시즌에는 분데스리가에서 33경기 21골 7도움을 기록하면서 최고의 시즌을 보냈는데 키커지 평점에서도 전체 3위[* 1위는 [[아르연 로번]], 2위는 [[토니 크로스]]], 공격수 1위의 평점을 받았다. 그 후 10-11 시즌에는 부상으로 인해 많은 경기에 결장하였고, 복귀한 후에도 컨디션도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실망스러운 시즌을 보내게 된다. 하지만 11-12 시즌에서 리그 34경기 16골, 컵은 팀의 광탈로 인해 1경기 무득점, 대륙 대회([[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8경기 1골로 총합 43경기 17골을 기록하면서 다시 정상급 스트라이커로 도약하는가 하는 기대를 심어주더니 12-13 시즌 대폭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간판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마르코 로이스]]를 제치고 시즌 내내 득점 선두를 달렸고 최종적으로 25골로 득점왕에 올랐다. 2014-15 시즌 챔피언스리그 16강 AT 마드리드와의 2차전 승부차기 마지막 키커로 나와 실축했다. 이렇게 시즌 내내 부진하다가 시즌 마지막 8경기 동안 5골 2도움을 기록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날렸다. 2015-16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하노버로의 이적을 추진했지만 루디 푈러의 반대에 막혀 잔류하게 된다. 팬들과 구단의 잔류 부탁에 힘입어 재계약을 체결,평생(!) 레버쿠젠에 남겠다는 선언을 하게 된다. FC 쾰른을 상대로 한 2016-17 분데스리가 33라운드에서는 60분에 1골을 넣었지만 팀은 2:2로 비겼다. [[파일:stefan-kiessling-134__v-gseapremiumxl.jpg]] 2017-18 시즌을 끝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하고 레버쿠젠 팬들의 박수를 받으며 영광스럽게 은퇴했다. == 은퇴 후 == 은퇴 후 키슬링은 레버쿠젠의 행정사로 일하고 있다. == 국가대표 == 2007년 3월 28일 [[덴마크]]와의 친선경기에서 교체 출장하면서 데뷔하였다. 그 후 [[2010 남아공 월드컵]]에도 독일 대표로 참가하였으나, 교체로만 2경기에 출장하면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귀국 후 심리치료를 받았을 만큼 크게 좌절했다고 한다.이때부터 자신은 대표팀에 대한 미련을 내려놓았다고.10-11 시즌에는 부상과 컨디션 난조로 인해 국가대표에 선발될 상태가 아니었지만, 12-13 시즌에 득점왕에 오르는 등 다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키슬링을 대표팀에 선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2013년에는 [[마리오 고메즈]]가 주전 출장을 못하고 있고, [[미로슬라프 클로제]]가 부상당한 상황이라서 키슬링의 대표팀 재승선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하지만 독일 대표팀 감독 [[뢰프]]는 끝내 키슬링을 외면하였고, 고메즈가 부상으로 빠져 공격수가 전혀 없었던 상황에서도 제로톱 전술을 사용하면서 아예 최전방 공격수를 쓰지 않았다. 결국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엔트리에서도 [[미로슬라프 클로제]]에게 밀리면서 탈락했고, 독일의 우승을 집에서 지켜봐야만 했다. 대회에 앞서서는 국가대표 발탁에 대해 체념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1. FC 뉘른베르크]] * [[2. 분데스리가]]: 2003-04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월드컵]] 3위: 2010 === 개인 수상 === * [[분데스리가]] 득점왕: 2012-13 * [[VDV 올해의 팀]]: 2009-10 * 키커 분데스리가 올해의 팀: 2009-10, 2012-13 * 분데스리가 이달의 선수: 2009년 8월 * [[DFB-포칼]] 득점왕: 2014-15 * [[바이어 04 레버쿠젠]] 올타임 XI === 출전 기록 === ||<|2> 시즌 ||<|2> 클럽 ||<|2> 소속리그 ||<-2> 리그 ||<-2> FA컵 ||<-2> 대륙대회 ||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2002-03 ||<|4> [[1. FC 뉘른베르크|뉘른베르크]] || [[분데스리가]] || 1 || 0 || 0 || 0 || 0 || 0 || || 2003-04 || [[2. 분데스리가]] || 14 || 2 || 0 || 0 || 0 || 0 || || 2004-05 ||<|2> [[분데스리가]] || 27 || 3 || 2 || 1 || 0 || 0 || || 2005-06 || 31 || 10 || 2 || 1 || 0 || 0 || ||<-3> 총합 || 73 || 15 || 4 || 2 || || || || 2006-07 ||<|12> [[바이어 04 레버쿠젠|레버쿠젠]] ||<|12> [[분데스리가]] || 32 || 8 || 1 || 0 || 10 || 0 || || 2007-08 || 31 || 9 || 1 || 0 || 12 || 7 || || 2008-09 || 34 || 12 || 6 || 2 || 0 || 0 || || 2009-10 || 33 || 21 || 2 || 0 || 0 || 0 || || 2010-11 || 22 || 7 || 1 || 2 || 6 || 0 || || 2011-12 || 34 || 16 || 1 || 0 || 8 || 1 || || 2012-13 || 34 || 25 || 3 || 1 || 6 || 1 || || 2013-14 || 32 || 15 || 4 || 2 || 7 || 2 || || 2014-15 || 34 || 9 || 4 || 6 || 10 || 4 || || 2015-16 || 30 || 5 || 4 || 3 || 9 || 0 || || 2016-17 || 20 || 4 || 1 || 0 || 3 || 0 || || 2017-18 || 8 || 0 || 0 || 0 || 0 || 0 || ||<-3> 총합 || 344 || 131 || 28 || 16 || 71 || 15 || ||<-3> 통산 || 417 || 146 || 32 || 18 || 71 || 15 || == 여담 == * 그 유명한 유령 골의 주인공이기도 하다.[[http://www.youtube.com/watch?v=vq6qw7hUngo|#]] 해당 경기는 13/14 시즌이었던 2013년 10월 19일 [[TSG 1899 호펜하임]]과의 리그 경기로, 레버쿠젠이 1-0으로 앞서 있는 상황에서 곤살로 카스트로가 찬 코너킥을 키슬링이 헤딩으로 연결했다. 그 슈팅은 그물 옆을 맞았는데 찢어진 그물 틈 사이로 공이 골문 안으로 들어가 버렸다. 키슬링은 당초에 공이 밖으로 나간 줄 알고 실망했으나 갑자기 동료 선수들이 축하해주고 공이 골문 안에 들어가 있는 것을 보고는 의아한 표정을 지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상대팀 호펜하임 선수들 역시 무엇에 홀리기라도 한 듯 항의하기는 커녕 오히려 실점한 줄 알고 실망한 채 하프라인으로 걸어가고 있었다는 것이다. --모두를 낚게 한 골-- 키슬링은 [[펠릭스 브리히|주심]]과 무언가 대화를 나누었지만 주심은 '''그대로 골로 인정해버렸다.''' 사태를 뒤늦게서야 파악한 호펜하임 측은 경기 도중 항의를 하였으나 이미 선언된 골은 무를 수 없었다. 이에 호펜하임 측은 재경기 요청을 하였으나 독일 축협은 호펜하임의 재경기 신청을 기각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worldfootball&ctg=news&mod=read&office_id=436&article_id=0000004448|#]] 이 골은 정치인 입에까지 언급될 정도였고[[http://osen.mt.co.kr/article/G1109714531|#]] 결국 호펜하임이 항소를 포기하겠다고 밝혀 논란은 종결되었다.[[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3103008165413§ion_code=20&key=&field=&cp=se&gomb=1|#]] [[파일:키스링피온3.jpg]] * [[피파 온라인 3]]시절 페이스온이 이상한걸로 당시 국내 초딩들에게 알려졌다. 당시 [[감스트]]가 못생긴 축구선수 뽑기 대회를 열었을 때 한 시청자가 제보하며 널리 알려졌다. [각주] [[분류:1984년 출생]][[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1. FC 뉘른베르크/은퇴, 이적]][[분류:바이어 04 레버쿠젠/은퇴, 이적]][[분류:독일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