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rmtiger_’19_red’_(s-n_205543)_–_Patriot_Museum,_Kubinka_(38240137396).jpg|width=100%]]}}} || || '''Sturmmörserwagen 606/4 mit 38 cm RW 61''' || [목차] [Clearfix] == 개요 == [[6호 전차 티거]]의 차체에 대형 고정형 전투실을 얹고 여기에 [[크릭스마리네|해군]]에서 [[폭뢰]] 발사기로 쓰던 38cm 대잠로켓 발사기를 장착한 [[독일 국방군]]의 시가전용 [[돌격포|돌격전차]]. == 제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슈티.jpg|width=100%]]}}} || || 종류 || 돌격전차[* [[자주포]]([[자주박격포]])나 [[돌격포]]로 분류하기도 한다.] || || 개발, 사용국가 || [[나치 독일]] || || 배치년도 || 1944년~1945년 || || 생산대수 || 19대([[프로토타입]] 포함) || || 승무원 || 5명 || || 엔진 || [[마이바흐 HL230]] P45 V형 12기통 가솔린 엔진 || || 길이 || 6.28m || || 높이 || 2.85m || || 폭 || 3.57m || || 중량 || 65t || || 주무장 || 38cm RW 61 대잠 로켓 발사기 || || 부무장 || [[MG34]] or [[MG42]] [[공축기관총]] || == 개발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rmtiger_prototype.jpg|width=100%]]}}} || || '''슈투름티거 프로토타입''' || [[독일 국방군]]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전훈에 따라 이와 같은 시가전용 돌격전차의 개발에 비교적 적극적이었는데 그 결과물 중에서도 가장 거대한 것이 슈투름티거다. 당시 돌격포 설계안 중 하나였으며 다른 하나의 설계안은 [[돌격전차 베어]]이다. 하지만 돌격전차 베어가 폐기되면서 슈투름티거가 티거 차체를 이용한 돌격포가 될 수 있었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rm-Tiger.jpg|width=100%]]}}} || || '''문스터 박물관 소장 슈투름티거와 주포용 38cm 대잠로켓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terior_of_the_Sturmtiger.jpg|width=100%]]}}} || || '''슈투름티거 전투실 내부 도면''' || 38cm 로켓발사기는 포격을 버틸 목적으로 구축한 장갑화 강화콘크리트 요새를 제외하면 포격에 가장 강한 구조물인 적벽돌을 두껍게 쌓아 만든 거대한 건물도 일격에 무너뜨릴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으며 실전 투입 결과에서도 그에 상응하는 막강한 화력을 선보였다. 다만 상기의 사진에서도 보이듯 로켓탄의 구경이 구경인지라 차내 휴행탄수가 고작 14발에 불과하였으며 탄약의 무게가 자그마치 '''351kg'''에 달해서 탄약수 2명이 달라붙어 천장에 달린 도르래를 이용해 장전함에도 불구하고 재장전 속도는 매우 느렸다. 거기에다가 이 무거운 로켓탄의 최대 사거리는 5,670m에 불과해서 본격적인 야포로 써먹기에도 곤란했다. 애초에 대잠폭뢰발사기란 물건이 전차따위보다 규모가 훨씬 큰 선박에서 포격용도 아니고 부무장격 대잠장비로 사용되었던 것인데 그걸 좁은 전차에 옮겨놨으니 운용이 까다로울 수 밖에 없었다. 상기한 특성에서도 유추할 수 있듯 근접전을 고려하여 방어력 면에서도 개선이 이루어졌는데 대전 초기의 설계안이라 수직장갑 구조를 지녔던 티거와 달리 전면에 [[경사장갑]] 설계를 채용하였고 두께 역시 150mm로 늘려서 전면 방어력은 [[티거 2]]와 동등한 수준으로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조로 중량이 크게 증가하여 기존 67톤에 달하게 되었으며 무게가 크게 늘어난 것에 반해서 엔진 출력의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기동성이 크게 저하된 것은 물론이고 사소한 기동에도 고장이 속출하였다. 또한 티거 차체의 생산량 자체가 적은데다가 독일군은 이 특정 역할에 치우친 차량을 티거1과 맞바꾸지는 않았다. 그래서 슈투름티거는 구난전차인 베르게티거와 유사하게 전투 중 포탑이 파손된 티거를 회수한 뒤 개조하는 식으로 생산했으며, 실전배치된 시기도 나치 독일이 후퇴를 거듭해가던 때였기 때문에 추가 생산계획 역시 중단되어 생산량은 프로토타입 제외 18대에 그쳤다. == 실전 == === [[제2차 세계 대전]] === 여러 단점에도 불구하고 38cm 로켓발사기의 화력은 매우 준수했으며, 방어력 역시 뛰어났기 때문에 시가전이라는 본래의 용도에서는 나름대로 활약하였다. 극소수 생산된 슈투름티거는 1000기갑돌격구포중대, 1001중대, 1002중대에 배치되었으며 1944년 [[바르샤바 봉기]] 진압작전에 투입되어 로켓탄 한 방으로 건물과 장애물을 쓸어버리는 상당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w32.jpg|width=100%]]}}} || || '''격파된 슈투름티거 잔해를 구경하는 미군'''[* 포신이 매우 넓어서 사람이 들어간다. 해당 단차는 상단 제원의 사진과 같은 차량으로 추정된다.] || 하지만 이후 독일군이 패주해가는 상황에서 공격전 용도인 슈투름티거는 별다른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고 조직적으로 전투에 투입되지도 못했다. 수가 너무 적은데다 연료도 많이 먹으면서 느리고 고장도 잦은 슈투름티거는 일선에서는 애물단지였으며 미군의 공격에 쉽게 격파당했다. == 미디어 == === 게임 === ==== [[배틀필드 1942]] ==== 확장팩 2차대전의 비밀병기들에서 출현. 장탄수는 장전된거까지 포함해서 15발 뿐이지만 [[포켓몬스터|화력은 굉장했다]]. 하지만 대보병 화력에 비해서 대전차 화력은 그렇게까지 강하진 않은 편. ==== [[배틀필드 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urmtiger.jpg|width=100%]]}}} || || '''배틀필드 V의 슈투름티거''' || 추축국 전용 증원 전용 차량으로 등장, 분대 점수 20,750점을 모아 1대를 요청할 수 있다. 오픈 베타에서는 화력이 38cm 맞나 싶을 정도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줬지만 정발에서는 포탄이 날아가는 모습, 이펙트 등이 개선되어 확실히 느낌이 나아졌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H2 Sturmtiger.jpg.jpg|width=100%]]}}}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의 독일 서부전선 총사령부 소속 슈투름티거''' || 서부전선 총사령부의 지휘관 전용 유닛으로 등장한다. 일반 주포 공격이 없고 짜잘한 기관총 하나가 전부다, 대신 38cm 로켓 발사 스킬이 하나 있는데, 사용하면 착탄지점을 중심으로 주변 일대의 모든 유닛에 540이라는 막대한 피해와 보병 제압, 폭발범위 내 차량 스턴을 준다. 쏘고 난 후엔 자동으로 스킬의 쿨타임이 돌아가지 않고 재장전 명령을 내려 줘야만 재장전을 하는데 과정이 끝날 때까지 아무 것도 할수 없는데다 공격을 조금 받으면 승무원들이 차량을 바로 포기해 버린다. 이 유닛만의 특성으로 로켓의 착탄 지점이 화면 내에 잡히면 잠깐 동안 소리가 들리지 않다가 천천히 복구된다. 각종 전쟁물에서 나오는 폭발음 때문에 귀가 잠시 들리지 않는 현상을 생각 해보면 된다. 서부전선 DLC PV에서 마지막에 등장하는데 그 특유의 엄청난 화력을 선보이는 것으로 영상의 마무리를 장식한다. 미군 PV에서도 등장하는데, 이 때에는 미 공군의 폭격으로 파괴되는 것으로 짧은 등장을 마치게 된다. ==== [[월드 오브 탱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zsuVENsp-8.jpg|width=100%]]}}} || || '''월드 오브 탱크의 슈투름티거''' || [[월드 오브 탱크]] 시리즈에선 플레이는 할 수 없고, 맵 등에 이스터에그로 숨겨져 있다. 그러나 이후 PC 버전에서 2020년 만우절 이벤트에서 10티어 자주포로 한정 등장했다. 다만 위성 시점은 불가능하다. 이전의 픽셀화 [[600mm 자주박격포 칼]]과 동일하게 전용 모드에서만 플레이할 수 있으며, 성형작약탄/고폭탄 '''3000/7000'''에 달하는 정신나간 화력과 1만이라는 정신나간 내구도, 웬만한 중형전차 급 기동력을 자랑하는 마약덩어리다(...). 단점이라면 380mm 대잠폭뢰라는 고증 특성상 탄속이 '''심하게''' 느린 것이 흠. 워쉽에 비하면 버프받은 축이다. 워쉽은 380mm 고폭탄 대미지가 고작 4500이다. 쓰는 전함들이 6~7만을 넘는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후 2021년 10월 12일 콘솔판에 저 미친 포를 '''정규 테크 트리'''라는 딱지를 달고 10티어 정규 구축전차로 정식 출시되었다. 밸런스 조정으로 평균 데미지는 1700으로 깎이고 고폭탄이 주가 되는 탄종 구성을 가졌다. ==== [[워 썬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rageImage_38_cm_Sturmmörser.jpg|width=100%]]}}} || || '''38 cm 슈투름뫼르저''' || 10주년 이벤트 "꿈은 이루어진다"의 6단계 보상으로 등장했다.[* 단종되어서 지금은 얻을 수 없다.] 그전까지 지상장비중 가장 큰 구경의 포였던 [[FV4005]]의 183mm의 배를 넘는 38cm의 주포를 가지고 있으며 포탄의 성능은 명목상 관통력 83mm이지만 이건 함정이고, 실제론 인게임 최대 구경, 최고 화력의 주포로 워썬더 최강의 돌머리 전차들인 '''T-80BVM, M1 에이브람스 등의 MBT나 마우스도 포탑에 직격당하면 그대로 탄약고가 터져(!) 사망하고 어지간한 건 땅치기 폭압만으로도 승무원 전원 사망을 띄우는'''[* 실험 결과 차체에 맞으면 몇몇은 운빨로 살 수 있지만 외부모듈은 파괴 확정이고, 포탑에 맞을 경우 반응장갑 유무 없이 모든 MBT가 탄약고 유폭으로 포탑이 사출된다.] 수준의 최강급으로 강력한 편이나 매우 좁은 좌우 포각과 '''무려 52초'''에 육박하는 매우 긴 장전속도[* 승무원의 장전 레벨을 에이스까지 올려도 '''40초'''가 걸린다. 기존에 가장 긴 장전시간을 보유했던 [[KV-2]]의 장전시간을 갱신했다], 포신에 그대로 노출된 장탄 등,[* 이곳이 피격당하면 곧 바로 탄약 유폭으로 격파된다. 굳이 전차의 포탄이 아니더라도 포발사 연막탄이나 심지어 동축기관총에도 유폭이 나버린다. 엄청난 단점.] 단점이 매우 많아 실질적으로는 [[https://m.youtube.com/watch?v=BFUfvWQSyzE|예능용 장비]]로 평가된다. 반쪽 탄약고를 의도적으로 비우고 그쪽으로 방어를 하면 나름대로 더 쓸만해지긴 한다. 결국에는 많은 유저들이 우려했던 대로 '''트롤러들만 지 좋다고 써대고 팀이 승리하는데 기여는 아무것도 못하는 쓰레기 전차'''라는 혹평만 일색인데다, 가이진도 특단의 조치로 B.R을 5.7로 내렸지만 이마저도 아군이 독일일 시 트롤러 비중만 막대하게 가중되어 유저들의 분노가 이만저만이 아닌 상황이다. 그래도 잘 쓰는 놈들은 엄청난 작약에서 나오는 폭압을 이용해 시가전에서 지근탄 폭압킬 등 슈티무쌍을 찍고 있으니 또 모를 일. 실제로 가끔 드론 등을 동원하여 탄착을 관측, 수정하여 원거리에서 포격하는(...) 플레이나 [[스폰킬]](!!!) 플레이도 나온다. ==== [[장군의 영광 3]] ==== 독일의 경포병 특수부대로 등장한다. 380mm가 경화포라서 어이없어보이겠지만 중포병 특수부대가 '''[[600mm 자주박격포 칼]]'''인지라... ==== [[스틸 디비전]] 시리즈 ==== [[Steel Division 2/공수기갑사단|헤르만 괴링 사단]]의 지원유닛으로 등장한다. 2km까지 공격 가능하며 보병이나 대전차포는 한방이고 멀리서 짤짤이하면 IS-2도 이기는 유닛이다. 하지만 명중률이 매우 낮고 장전속도도 매우 느려서 답답하다. 멀리서 한 발 쏘고 후진해서 장전하고 다시 공격하는 식으로 컨트롤해주는 것이 좋다. === 만화 === ==== [[걸즈 앤 판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rightwingotaku.files.wordpress.com/gup132m.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_1300e5_ce3c7a68_orig.jpg|width=100%]]}}} || || '''걸즈 앤 판처의 슈투름티거''' || [[걸즈 앤 판처 극장판|극장판]]에서 한마디 언급된다. 정체불명의 초대형 규모의 포격을 고등학교 연합팀이 맞자, 이를 분석하는 [[타케베 사오리]]가 [[4호 돌격전차|슈투파]]가 아니냐고하자, [[아키야마 유카리]]가 폭발이 너무 커서 그건 아닐거라며 어릴 때 박물관에서 찍은 사진을 보여주는데 그 무식한 구경[* 포탄 하나가 어린아이보다 거대하다. 맨 위의 실물 사진도 참조. 다만 애니메이션 묘사에서는 사람 대비 비율이 미묘하게 크다. ]을 본 사오리가 "뭐야, '''[[남두인간포탄|포탄이 아니라 사람이 나오는거야]]'''?"며 벙찌고 유카리가 매우 해맑게 "380mm에요!"라고 대답하는 게 백미다. 위의 사진을 보면 진짜로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정도로 구경이 크다. '''[[600mm 자주박격포 칼|참고로 그 포격의 정체는...]]''' [[쿠로모리미네 여학원]]의 전차도팀 현 대장인 [[이츠미 에리카]]가 가장 좋아하는 전차기도 하다. ==== [[소녀종말여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녀종말여행 슈튜룸티거.png|width=100%]]}}} || || '''소녀종말여행의 슈투름티거''' || 28화(애니메이션 11화)에서 건물 안에 여러 대가 버려진 채로 등장한다. == 모형 == === [[프라모델]] === 나름 유명한 차종이지만 상부는 거의 원본인 [[6호 전차 티거|티거]]와 호환되지 않아 원본에 비해 그리 많이 모형화되지는 않았다. * 1/35 * [[타미야 모형]] 1994년 제품으로, 동사의 중기형 티거와 부품을 공유한다. 국내에서는 슈투름티거 모형 중 가장 구하기 쉬운 편이다. * [[이탈레리]] 1997년 제품이다. * 테스터스 이탈레리 제품의 재포장판이다. * [[레벨(모형 메이커)|레벨]] 이탈레리 제품의 재포장판이다. * [[즈베즈다(모형 메이커)|즈베즈다]] 이탈레리 제품의 재포장판이다. * AFV클럽 원판 킷인 AFV클럽 [[6호 전차 티거|티거]]에서 형상 오류가 있는 포탑 부분이 떨어져나가고 디테일과 기믹이 우수하여 한 동안 결정판의 자리를 차지하였으나 현재는 라이필드 제품에게 밀려났다. * [[라이필드 모델]] 전체가 내부재현된 버전과 전투실만 내부재현된 버전이 있다. 원판인 RFM [[6호 전차 티거|티거]]에 비해 조립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기믹이 다양하고 디테일이 우수하며 가격과 입수 난이도도 준수해 결정판으로 취급받는다. * 1/48 * AFV클럽 동사의 같은 스케일의 [[6호 전차 티거|티거]]와 같이 이 스케일에서 결정판으로 취급받았지만 현재는 타미야 제품에게 밀려났다. * [[타미야 모형]] 2017년 제품으로, 타미야 1/48 스케일 AFV답게 품질이 좋다. 현재 결정판으로 취급받는다. * 1/72 * [[드래곤 모델]] * [[트럼페터(모형 메이커)|트럼페터]] === 브릭 === * [[Brickmania|브릭매니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02_Cover_Webcard_1__31910.1593444819.jpg|width=100%]]}}} || * 코비블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513-front_6e4c074c1d8e7987a3d8b848781cfa7a.jpg|width=100%]]}}} || == 둘러보기 ==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6호 전차 티거,version=821)] [[분류:돌격포]][[분류:6호 전차 티거]]